제1장 서 론 - ir.lib.pccu.edu.twir.lib.pccu.edu.tw/retrieve/68307/203-4.pdf또한...

71
1 1지구촌 시대가 도래하면서 세계는 이상 너는 , 나는 라는 개인주의적인 개념이 아니다. 특히 통신의 발달로 더욱더 네가 없으면 나도 없는상호의존적인 개념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상호의존 관계에 있는 나라들 간의 교류는 언어와 언어 간의 접촉을 전제로 하지만 나라 사이에는 커다란 언어의 장벽이 존재한다. 이런 장벽을 없앨 있는 도구가 바로 번역이다. 그래서 번역은 지금의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업무이고 또한 시대의 관심사이다. 이런 번역은 세계가 하나 되는 길이기도 하지만 한국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도구가 되기도 한다. 한국의 문학 작품, 특히 소설 등은 일부의 베스트셀러를 제외하면 아직도 외국에서 출판되는 예는 미미한 실정이지만 이와는 대조적으로 한국의 영상문화는 현재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한국 TV드라마나 영화는 일본과 중화권(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 동남아시아에서 대단한 인기를 누리며 소위 말하는 한류()‟붐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소개라는 측면에서 영상 매체는 문학 작품에 뒤지지 않을 만큼 영향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있다. 1 위에서 언급한 한류라는 말은 중국의 북경청년보(北京靑年)에서 19991119일에 처음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드라마 방영으로 조성된 한국에 대한 관심이 한국 대중가요의 음반발매와 더불어 커져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열기가 조성되기 시작할 무렵, 클론의 공연이 성공적으로 끝나자 중국의 언론매체가 이런 용어를 만들어 것이다. 거기다 이듬해 2월에 있은 HOT공연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자 한류용어는 널리 유포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렇게 중화 문화권에서 일어난 한국의 대중문화 붐이 몽고, 베트남, 태국, 일본 등지에서도 비슷한 현상으로 보고됨에 따라 용어는 이제 중화권을 넘어서서 범아시아권의 한국 대중문화 붐을 포함하게 되었다. 한국의 대중매체들이 경쟁적으로 아시아의 한국 대중문화 열풍을 보도하면서 한류일반인에게 아주 익숙한 단어가 되었다. 2 또한 한류는 문화적 현상이지만 문화적 효과에 의해 산업적 효과로까지 1 김명순, <영상번역에 대하여 : 한일번역교육면에서의 고찰>, ≪통역번역연구소 논문집≫, 7 , 2003 . p.42. 2 이제영, 최정기 <인터넷 이용자들의 한국영화 이해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34 , 2006 . p.203.

Transcript of 제1장 서 론 - ir.lib.pccu.edu.twir.lib.pccu.edu.tw/retrieve/68307/203-4.pdf또한...

  • 1

    제1장 서 론

    지구촌 시대가 도래하면서 세계는 더 이상 „너는 너, 나는 나‟라는

    개인주의적인 개념이 아니다. 특히 통신의 발달로 더욱더 „네가 없으면 나도

    없는‟ 상호의존적인 개념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상호의존 관계에 있는 나라들

    간의 교류는 언어와 언어 간의 접촉을 전제로 하지만 각 나라 사이에는 커다란

    언어의 장벽이 존재한다. 이런 장벽을 없앨 수 있는 도구가 바로 번역이다.

    그래서 번역은 지금의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업무이고 또한 이 시대의

    관심사이다. 이런 번역은 세계가 하나 되는 길이기도 하지만 한국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도구가 되기도 한다.

    한국의 문학 작품, 특히 소설 등은 일부의 베스트셀러를 제외하면 아직도

    외국에서 출판되는 예는 미미한 실정이지만 이와는 대조적으로 한국의

    영상문화는 현재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한국 TV드라마나

    영화는 일본과 중화권(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 동남아시아에서 대단한 인기를

    누리며 소위 말하는 „한류(韩流)‟붐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소개라는

    측면에서 볼 때 영상 매체는 문학 작품에 뒤지지 않을 만큼 큰 영향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1

    위에서 언급한 „한류‟라는 말은 중국의 북경청년보(北京靑年报)에서 1999년

    11월 19일에 처음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드라마 방영으로 조성된 한국에 대한

    관심이 한국 대중가요의 음반발매와 더불어 커져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열기가 조성되기 시작할 무렵, 클론의 공연이 성공적으로 끝나자 중국의

    언론매체가 이런 용어를 만들어 낸 것이다. 거기다 이듬해 2월에 있은

    HOT공연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자 „한류‟란 용어는 널리 유포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렇게 중화 문화권에서 일어난 한국의 대중문화 붐이 몽고, 베트남, 태국,

    일본 등지에서도 비슷한 현상으로 보고됨에 따라 이 용어는 이제 중화권을

    넘어서서 범아시아권의 한국 대중문화 붐을 포함하게 되었다. 한국의

    대중매체들이 경쟁적으로 아시아의 한국 대중문화 열풍을 보도하면서 „한류‟는

    일반인에게 아주 익숙한 단어가 되었다.2

    또한 한류는 문화적 현상이지만 문화적 효과에 의해 산업적 효과로까지

    1 김명순, , ≪통역번역연구소 논문집≫,

    제7 집, 2003 년. p.42. 2

    이제영, 최정기 ,

    ≪한국언론정보학보≫, 34 호, 2006 년. p.203.

  • 2

    연결된다. 문화적 이미지가 고양되면 경제적 상승효과 역시 뒤따르기 마련이다.

    문화는 사람들의 의식과 생활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문화 수출이 활성화되면

    중국인들에 대한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신뢰도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문화

    상품은 상품 자체보다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이미지의 파급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국가 이미지 제고가 한국 상품의 국제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류의 주요 소비자층이 청소년들이라는 점에서도 특별한 기대

    효과가 있다. 한국 대중문화와 생활문화에 열광하는 하한주(哈韩族)와

    한국영화와 드라마팬인 한미(韩迷)가 대부분 감수성이 예민한 10대들이어서

    앞으로 친한(亲韩) 내지는 지한(知韩)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잠재적 인적

    자원이 될 수 있다. 이렇게 한류는 우리의 미래 시장 구축을 위한 토대가 되어

    줄 것이다.3

    특별히 한국 문화가 중국을 사로잡고 있는 이유 4 는 한중간의 문화적

    동질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은 동일한 유교 문화권으로서 문화 상품의

    국가 간 이동 시 문화적 할인율 5 이 매우 낮은데 이것은 한국과 중국은 같은

    유교 문화권으로서 생활양식과 가치관에 유사점이 많기 때문이다. 영화, 드라마

    등의 프로그램 속에도 유교적 정서가 많이 반영되어 중국인들에게 거부감이

    적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문화적 동질성이 높을수록 문화 상품은 호소력이

    커지고, 중국 내 한국 문화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류에 대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해석은 이것이 대중문화의

    일시적인 유행을 넘어서 하나의 사회문화 트렌드가 되어가고 있다고 보는

    견해이다. 한류는 이미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의 특정한 문화 애호 패턴이 되었다.

    이것은 경제력을 배경으로 한국이 보편적으로 대중문화의 선진적인 리더가

    되어가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즉, 대중문화의 유행으로 촉발한 한류가

    대중문화의 일시적인 열풍을 넘어 그와 관련된 파생상품의 구매를 동반하고

    연이어 한국의 문화, 한국의 정서, 한국인 등 한국 자체를 동경하고 선호하는

    것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6

    때문에 한국인의 생활 모습을 가장 잘 반영하고 문화적 측면으로 볼 때 이미

    3

    한국문화정책개발원, , 2001.

    pp.20-21 참조. 4 앞의 책, p.40.

    5 문화적 할인율이라 함은 2001 년 한국문화정책개발원에서 한류(韓流) 지속화 방안에 대한

    연구에서 처음 언급한 단어로 문화가 언어나 인종 등의 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국경을 넘나들

    때에 자국의 문화적 효과가 감쇄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6 김은영, , ≪영화연구≫, 27 호,

    2005 년. pp.91-92.

  • 3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국제무대, 특히 중국이라는 큰

    영화시장에서 발전 가능성이 높은 한류 영화7에 대한 중국어 번역 기법 이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실제로 영화 번역 기술을 터득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번역을 학문의 장에서 논할 때는 번역이 더

    이상 번역가 개인의 지극히 주관적이고 기교적인 글쓰기 작업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번역과정으로 정립되어야 하고, 본고가 그 정립 과정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제1절 연구 목적 및 의의

    외화를 보면서 어색하게 번역된 자막 때문에 현실감이 떨어진 영화 감상을

    마치고 씁쓸한 마음으로 영화관을 걸어 나와야 했던 경험이 누구나 한번쯤은

    있을 것이다. 필자 또한 그런 경험이 있었고, 더군다나 중국에서는 DVD를 볼 때

    학습을 목적으로 한국영화를 중국어 자막으로 감상하는데 분명 화면은

    한국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자막은 터미네이터 영화의 자막이 나왔던 황당한

    경험도 하면서 영화 자막 번역이란 부분에 대해서 처음 궁금증과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솔직히 영화가 중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한국의 대중문화 콘텐츠 중

    하나이긴 하나 불법 CD와 무료상영 사이트가 성행하는 중국에서는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8로 기존 연구의 범위에서 소외되어 왔다고 한다. 그러나 WTO

    가입 이후 중국은 지적 재산권 강화에 대한 압력에 시달리고 있으며 불법

    복제물과 사이트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영화콘텐츠의 경제성은

    보완될 것이고 이와 동시에 영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점차 증가하게 될

    7 한류라는 것은 한국의 대중문화가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에서 크게 유행하는 현상, 또는

    신드롬을 표현한 대중문화의 현상에 대한 개념이다. 그래서 한국 대중문화, 즉, 영화, 드라마,

    가요 등등 모든 것이 다 포함되는 큰 개념이다. 본고에서는 특별히 ‘ 한류 영화’ 라고 범위를

    정했는데 한류 영화의 경계가 모호할 수 있다. 인기가 있었던 영화를 ‘ 한류 영화’ 라 칭하고

    인기가 없었던 영화를 ‘ 비(非)한류 영화’ 라고 하기도 힘들다. 다만 중국의 언론보도나

    자료들을 보면 인기여부를 떠나 한국에서 수입된 대중문화는 일반적으로 한류라고 통칭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정확한 통계수치에 따라 인기의 정도를 따질 수 없기

    때문에 중국에서 수입한 영화를 한류 영화로 보고, 중국 영화관에서 상영되었거나 DVD,

    VCD 로 출시된 영화를 본고의 한류 영화 범주에 넣기로 한다. 본고에서는 중국의 인터넷

    사이트나 일반 매체에서 소개되었고 보편적으로 인지도가 있는 작품들을 최대한 모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 4

    것이라고 한다. 외화를 감상할 때 전적으로 자막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는

    관객들은 자막을 통해 영화의 내용을 비롯한 제반적 사항을 이해하게 되는데

    이것은 영화의 자막 번역 연구의 필연성에 대해서 잘 말해주고 있다.

    또한 영화 번역 기법 연구가 가치 있는 이유는 드라마나 다큐멘터리, 토크쇼

    등은 제한된 방송국 채널 중에서 선택되어 노출이 되지만 영화는 자신의 능동적

    의지가 없이는 노출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가령 한국 드라마를 보는 것은

    TV를 보려는 사람이 현재 방영되고 있는 것들 중에서 자신이 보고 싶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지만 제한된 영역 내에서 선택하는 것이고, 분명한 의지 없이도

    노출될 가능성이 있어 반드시 수용자 자신의 의지를 표현하는 것이라 할 수

    없다. 반면에 한국 영화를 본다는 것은 영화를 보려는 사람이 많은 영화 중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영화를 선택하여 본다는 하는 점에서 강제적 노출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즉, 대상의 노출됨에 있어서 영화는 보다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의지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9 이러한 측면에서 영화의

    번역 기법을 연구하는 것이 더욱 가치 있다고 생각된다.

    사실 현대사회에서 영화가 대중문화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결코 적지 않다.

    특정한 사회 문제를 영화를 통해 여론화시켜 대중과 공유하여 사회 현상을 함께

    생각해 보기도 하고 여러 모양의 감동으로 국민 모두가 함께 울고 웃기도

    하면서 영화는 이미 우리 생활의 일부분이 되어버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화의 사회계 역할도 계속해서 커지고 있는 사회 현상을 볼 때 이전에 이와

    같은 역할을 했던 여러 인쇄매체보다도 이후에는 영화를 통한 사회적 활동이

    더욱 커지리라 예상된다. 10 그러나 지금 국내에서 영화 번역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현실이다. 지금도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영화나 영상매체를 통해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배우려 하고 있고, 교학 자료로도 영화가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영화가 일반 출판번역과는 다르게 연구대상의 한 파트로

    뿌리를 탄탄히 내리지 못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통·번역학은 대부분

    서양에서 연구된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고 아직은 통·번역학에 대한 역사가

    깊지 못해 영화 번역에 관한 심도 깊은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국인 관객들의 영화를 통한 한국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고려해 볼 때, 특히

    한국 영화가 외국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를 생각해 볼 때 영화

    8 2003 년 보고된 전 세계의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율은 36%에 이르며, 중국의 경우 92%에

    달한다. 9 이제영 ‧ 최정기, p.200.

    10 장민호, , ≪국제회의 통역과 번역≫, 제 6 집,

    2004 년. p.98 참조.

  • 5

    번역은 더욱더 바르고 정확함이 요구되고 있다.

    때문에 필자는 본고에서 한류 영화의 중문 번역 기법을 제시하여 실제 번역에

    활용하는데 가장 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영화가 점점 국내 및 해외의

    대중문화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번 영화 번역

    기법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영화가 번역이란 과정을 거칠 때 더 정확하고

    세련된 번역이 되도록 일조하는 것에 이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1999년 한국번역학회가 창립되면서 번역에 관한 논의가 활발해졌지만 아직도

    중국어 번역은 걸음마 단계에 있다. 현재 중국어 번역에 관한 연구가

    통‧번역대학원과 번역연구소, 번역학회를 중심으로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지만 중국어 영상 번역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영상 중국어 번역에 관한 선행 연구로는 나민구(2002)가 로 중국영화의 제목과 자막의 번역에 나타나는 내용의 양상을

    분석하여 중한번역의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였고, 김강민(2004)이 «韓中

    影像飜譯의 諸樣相 考察: 드라마『가을동화』의 중국어 飜譯을 中心으로»라는

    주제로 『가을동화』의 중국어 번역을 중심으로 한중 영상 번역에서 나타나는

    번역한 다양한 양상들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이영주(2004)가 «중국영화

    패왕별희 자막연구»라는 주제로 『패왕별희』의 영화자막 분석을 통해

    중국영화자막 번역시 주의할 점을 연구하여 한계점과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장은주(2004)가 «중국영화 번역 양상 연구: 영화『남인사십』을

    중심으로»로 중국 영화 번역기법을 아홉 가지로 정리하여 한글 자막에 대한

    여러 가지 제약요건과 번역 기법 양상에 관해 연구하였고, 김은령(2005)이 «中國

    映像텍스트 飜譯 硏究 : 中國 映畵를 中心으로»에서 『和你在一起』란 중국

    영화 번역을 통해 영화 번역에 대한 여러 가지 제약사항과 번역 기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정유희(2005)가 «台灣드라마『流星花園』字幕 中韓飜譯

    硏究»란 주제로 영화의 자막 번역방법 및 기교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분석

    설명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연구된 대부분은 중한번역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진

    것이다. 한중번역 연구에는 유일하게 김강민(2004)의 «韓中 影像飜譯의 諸樣相

    考察: 드라마『가을동화』의 중국어 飜譯을 中心으로»가 있긴 하나 아직까지

    한국 영화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고는 한중 영화 번역 기법

  • 6

    연구의 작은 시발점이 되어 한중 번역의 실제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본고의 연구는 한국 영화가 중국어로 번역될 때 발생하는 여러 현상들을

    분석하여 몇 개의 번역 기법으로 나누어 정리하고, 실례로 영화 한 부를

    선택하여 번역된 자막을 원대사와 대조하여 앞서 정리된 번역 기법에 대입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우선적으로 좋은 실례를 들 수 있는 적합한

    텍스트를 선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시 되었는데 중국에서 인기리에

    상영되었던 많은 한류 영화들 중에서 『엽기적인 그녀』를 중심 텍스트로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분석 대상의 중심 텍스트로 삼은 한류 영화 『엽기적인 그녀』는

    „我的野蛮女友‟라는 제목으로 중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한류‟를 주도한

    한국 영화로 문화컨텐츠 항목에서는 유일하게 „한국을 상징하는 10대 단어‟에

    선정되었다. 이는 2007년 „한중 문화 교류의 해‟를 앞두고 2006년 6월부터

    8월까지 총 3개월간 중국, 대만, 홍콩의 한류팬 1500만 여명을 대상으로 „한류의

    모든 것‟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11 이다. 이를 통해 영화 『엽기적인

    그녀』는 중국에서 한국을 상징하는 대표 컨텐츠로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이 조사는 인터넷 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주 사용계층인

    젊은이들의 성향을 엿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420만 명을 모은 국내 흥행 외에도 중국에서의 비공식적 흥행으로

    화제가 된 『엽기적인 그녀』는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으며 현재까지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데 중국의 DVD/VCD 시장의 특성상

    정확한 통계는 알 수 없으나 약 300만 장에서 1000만 장 사이의 판매고를 올린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혹자는 불법 복제 비디오를 포함하여 이 영화를

    관람한 관객들이 약 1억 명은 넘을 것이라는 비공식적 통계도 나와 있다12고 할

    만큼 이 영화의 인기는 대단하였다. 또한 홍콩개봉 당시 박스오피스 1위를

    하였고, 중국 중경시(重庆市)의 경우 개봉 성적이 미국 영화 『스타워즈

    11

    2006 년 11 월 1 일 영화제작사 ‘ 신씨네’ 의 설문조사 결과이며 ‘ 엽기적인 그녀’ 외에

    연속극, 애국, 불고기, 성형수술, 그룹가수, 서울, 한국요리, 김치가 ‘ 한국을 상징하는 10 대

    단어’ 에 선정되었다. 12

    김우영, , ≪대한정치학회보≫, 제12집 1호, 2004년.

    p.174 참조.

  • 7

    -에피소드2』다음으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때 중국판 „엽기적인 그녀‟인

    „野蛮女友‟의 드라마 제작 논의가 이뤄져 치열한 경쟁 속에 엽기녀 선발대회가

    열리기도 했는데 한국영화 『엽기적인 그녀』는 이미 중국인 14억의 마음을

    흔드는 „브랜드‟라고도 할 수 있다.13 이러한 이유로 중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 인지도가 높은 영화이면서, 중국에서 한국을 가장 대표할 수 있는 영화인

    „엽기적인 그녀‟를 본고의 연구 대상 텍스트로 삼았다.

    우선 연구를 진행하는 것에 대한 선행 작업으로 서론에서 기존 한류 관련

    정책 보고서 및 학계의 논문들을 살펴봄으로써 한류 영화의 현재 조류를

    알아본다. 본론으로 들어가면서 일반적인 번역이론을 살펴보기로 하는데 먼저

    번역의 개념을 짚어보고 번역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지, 또한 영상 번역은

    형태에 따라 어떻게 나누어지는지 알아보면서 본고에서 집중적으로 연구할 자막

    번역에 이르기까지의 제반적인 번역 이론들을 살펴본다. 이어서 크게 제목 번역

    기법, 자막 번역 기법, 문화차이 번역 기법으로 나누어 한류 영화의 중국어 번역

    기법에 대해 살펴보는데 먼저 제목 번역 기법은 한자어 차용, 직역, 의역,

    재의미부여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다음으로 자막 번역 기법과 문화차이 번역

    기법은 영화『엽기적인 그녀』의 번역된 자막을 원대사와 대조 분석하여 실례를

    들면서 실질적인 영화 번역 기법에 대해 고찰하는 형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3

    http:// news.media.daum.net/PrintPage/net/200611/01/starnews/v145

  • 8

    제2장 번역의 일반적 이론

    제1절 번역의 개념

    바벨탑 사건 이후 인간은 언어 공동체에서 추방당하였다. 한 문화권의 언어와

    다른 문화권의 언어 사이에는 건너지 못할 깊은 강이 가로놓여 있게 되었고

    번역의 필요성은 그때부터 시작되었다. 독일 언어철학자 훔볼트(Humboldt)는

    일찍이 이 세계에 여러 언어가 존재하는 것은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세계관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한마디로 그는 “언어의 차이는

    기호의 차이가 아니라 세계관의 차이이다”라고 못 박아 말한다. 독일미국

    문화인류학자 서피어(Edward Sapir)에 따르면 언어가 다르면 사회 현실이 다르고,

    사회 현실이 다르면 세계가 다르게 마련이라고 했다. 이 점과 관련하여 그는

    “어떤 두 언어도 동일한 사회 현실을 재현(표상)한다고 생각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비슷하지 않다”고 지적한다.14

    이렇게 완전히 다른 세계관을 가진 한 언어를 다른 한 언어로 바꾸어

    옮긴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다른 언어문자를 쓰고 있는 여러

    나라들이 정치, 경제, 문화상의 교류를 할 때 꼭 필요하면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이 „번역‟이란 부분이다.

    무릇 모든 분야가 그러하듯이 어떤 분야의 실정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그

    분야의 전문 용어에 익숙해지는 것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전문 번역사들은

    모국어를 A로, 외국어를 B로 칭하여 모국어를 외국어로 번역하는 것을

    “번역A(to)B”라고 하고, 외국어를 모국어로 번역하는 것을 “번역B(to)A”라고 한다.

    또한 번역대상이 되는 언어를 출발어 또는 1차 언어 혹은 기점언어(Source

    language: SL)라고 하고 번역결과가 되는 언어를 도착어 또는 2차 언어 혹은

    대상언어(Target language: TL)라고 한다. 즉 출발어가 중국어, 도착어가 한국어일

    때는 중한번역이라고 하고 이와 반대로 출발어가 한국어, 도착어가 중국어일

    경우에는 한중번역이라 한다.15

    14

    김욱동, ≪번역인가 반역인가≫, 문학수첩, 2007 년. p.17 참조. 15

    필자는 본고에서 출발어와 도착어로 용어를 통일하기로 하고, 영상번역의 용어는 인쇄번역의

    용어와 차별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필자가 본고에서 일컫는 출발어는 인쇄번역

    용어의 Source language 가 아닌 영상번역 용어의 Source screen language 이며 도착어

    또한 Target language 가 아닌 Target screen language 임을 앞서 일러두기로 한다.

  • 9

    사람은 인생을 살 때 어디로부터 왔으며 어디로 향해 가는지를 잘 알아야

    한다고 한다. 이 원리는 비단 인생뿐만 아니라 모든 영역에 적용할 수 있다.

    때문에 여기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 „번역은 과연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라는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을 아직 찾아내지는 못했지만 인류에게

    문자가 생긴 후,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 간 또는 부족 간에 교역이

    이루어지면서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되기도 하고, 고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에서 문자를 기록하는 일을 직업으로 가졌던 기록관이 번역도 가끔

    하면서 시작되었을 수 있다고 추측되기도 한다. 벨기에의 번역사 앙리 반 오프가

    쓴 «서양번역사»에 따르면 이집트 고왕국 시대(기원전 3000년경)에 이미 번역이

    행해졌음을 엿볼 수 있는 기록이 낡은 파피루스에서 발견되었다 16 고 하지만

    정확히 번역이 시작된 시기를 알아내는 것은 여전히 우리에게 남은 어려운

    과제이다.

    그러면 과연 번역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알기 위한 방편으로 여러 학자들이

    내린 번역의 정의를 살펴보도록 하자. 번역에 대한 정의는 동서양을 넘어서

    학자에 따라 자못 다양한데 번역에 대한 다양한 정의17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번역이란 출발 언어의 메시지를 대상 언어의 기호 단위로써가 아니라 그

    메시지 자체와 대치시키는 것이다. (Jakobson)

    • 우선은 의미면에서, 다음으로는 문체에 대응하여 원문에 가장 가까우면서도

    자연스럽게 동등하도록 재현하는 것이 번역이다. (E.A.Nida)

    • 모든 번역은 내게 있어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Von Humboldt)

    • 번역이 자식이라면 원문은 부모이다. 원어와 역어 사이에 시간적, 문화적

    차이가 나는 것은 부모와 자식의 세대 차이와 비슷하다. (Waldrop)

    16

    김난미외 3 명, ≪통역• 번역 핵심가이드북≫, 현학사, 2005 년. pp.80-85. 17

    이영주, ≪중국영화 패왕별희 자막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년.

    pp.4-5.

    이용해, ≪중한번역 이론과 기교≫, 국학자료원, 2002 년. pp.33, 36-37.

    유영난, ≪번역이란 무엇인가≫, 태학사, 1991 년. pp.10-11.

    김효중, ≪번역학≫, 민음사, 1999 년.

    최희섭, ≪번역 첫걸음 내딛기≫, 동인, 2007 년. p.29.

  • 10

    • 모든 번역은 일종의 화해인데, 그것은 축자적이고 관습적이게 하는 노력이다.

    (B. Jowett)

    • 한 언어로 된 텍스트를 다른 언어로 된 동등한 텍스트로 대치하는 것이

    번역이다. (John Catford)

    • 모체가 되는 기호, 목표 기호, 새로운 기호(번역)가 있는데 새로운 기호가

    성공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면 번역이 아무런 정보도 전달해 주지 못한다.

    (Frawley)

    • 번역이란 작가의 의도를 헤아리는 작업이다. (Anzilotti)

    • 번역이란 한마디로 말의 무게를 다는 것이다. (Valery-Nicolas Larbaud)

    • 진정한 번역은 영혼의 재생이다. (Wilamowitz)

    • 그리스 작품을 번역으로 읽는 것은 무용하다. 번역은 불확실한 등가를

    제공할 뿐이다. (V.Woolf)

    • 번역은 진실의 언어에 호소함으로써만이 언어의 화해를 가능하도록 해주는

    왕국을 약속하며 이 약속은 두 언어를 가깝게 해주고 짝지어주고

    결혼시켜준다. (Johnson)

    • 번역은 신(信) ‧ 달(達) ‧ 아(雅)이다. „신‟은 원문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고 „달‟은 역문이 순탄해야 한다는 것이며 „아‟는 표현이 옛스러우면서

    우아해야 한다는 것이다.(엄복18(嚴復))

    • 번역이라고 한다면 두 측면을 다 고려하여야 한다. 그 하나는 알기 쉽게

    18

    신흥 부르주아 계몽사상가 엄복(嚴復, 1853-1921)은 청일전쟁 후 권비(拳匪)난을 피하여

    상해(上海)에 있으면서 고문(古文)으로 헉슬리의 ≪천연론(天演論)≫, 스펜서의

    ≪군학이언(群學肄言)≫, 몽테스키외의 ≪법의(法意)≫, 애담스미스의 ≪국부론(國富論)≫ 등

    9 종의 철학서적, 사회과학서적을 번역 출판하였다. 그의 이러한 역서들은 임서(林紓)의

  • 11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원작의 표현방법을 보존하는 것이다. 순통하지

    못하더라도 원문에 충실해야 한다. (노신(魯迅))

    위와 같이 번역이 단순한 언어기호의 전환이라는 정의로부터 문화의

    전환이라는 정의까지 번역에 대한 그들의 정의는 매우 다양하지만 현재까지

    완벽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은 없다. 번역을 어떠한 이론의 여지도 없이 명백하게

    정의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번역을 어느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그 정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번역은 „반역‟이라느니, 번역은 원문이나 원서

    못지않은 „제2의 창작‟이라느니 주장하는 것은 어쩌면 부질없는 일이 될지도

    모른다.19 번역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반역이 될 수도 있고 새로운 창작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번역의 이론을 논할 때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많은 의견 차이를 보이면서 번역

    이론 정립의 큰 기로가 되는 문제점인 직역이냐 의역이냐 하는 것이다. 이 말이

    나올 때마다 2002월드컵에서 한국팀 감독이었던 히딩크의 어록에서 “I am still

    hungry”라는 말을 자주 언급한다. 그 말을 만약 의역을 해서 “나는 아직도

    승리에 굶주려 있다”라고 했다면 그다지 큰 주목을 받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아직도 배가 고프다”로 직역함으로써 이 말은 명언이 되었다.

    이렇게 번역은 때로는 직역이 더 적합한 경우도 있고, 직역을 해서는 전혀

    의미를 알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기원전부터 생겨난 이론이 의역이다.

    기원전 1세기경에 이미 로마의 키케로(Marcus Tullius Cicero)는 번역이 그저

    따르기 식의 직역보다는 의미전달을 위주로 하는 의역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뒤 2천 년 동안 직역이냐 의역이냐 하는 번역 이론은 주로 이

    이분법의 논쟁에 국한되어 왔다.20

    마지막으로 번역 이론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지는 것 중의 또 하나는

    출발어와 도착어 사이의 등가성(等價性) 21의 문제이다. 수세기 동안 반복적으로

    문학역서와 더불어 서양문화를 소개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또한 엄복(嚴復)은 1898 년에

    ≪천연론(天演論)≫을 번역하였다. 19

    김욱동, p.15. 20

    박찬순, ≪그때 번역이 내게로 왔다 영상 번역, 소통의 미학≫, 도서출판 한울, 2005 년.

    pp.25-26 참조. 21

    등가성(等價性)은 번역학에서 출발어 텍스트와 도착어 텍스트의 요소들끼리의 관계, 또는

    출발어 텍스트 전체와 도착어 텍스트 전체와의 관계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출발어

    텍스트의 요소와 도착어 텍스트의 요소, 또는 출발어 텍스트와 도착어 텍스트는 각기 소속된

    영역 안에서 동일한 위계에서 동일한 가치를 지니고 동일한 범주에 속해야 한다. 그림으로

    간단하게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 12

    있었던 직역과 의역의 논쟁 이후, 1950~60년대 이론가들은 보다 체계적인 번역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렇게 시작된 새로운 논쟁에서 20년간 번역학의 핵심으로

    자리하며 가장 두드러졌던 것이 야콥슨(Roman Jakobson)이 제기한 의미와

    „등가(equivalence)‟에 관한 것이다. 22 한 나라의 어휘는 다른 나라 말의 어휘와

    일대일로 상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한 문화권에 있는 말이 다른 문화권에

    없을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한 문화권에 없는 말이 다른 문화권에는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예를 들어보자. 에스키모들에게 눈[雪]을 가리키는 낱말에는 무려 30여

    가지가 있지만 열대 지방에 사는 사람들은 „눈‟이라는 낱말 자체를 잘

    사용하지도 않는다. 한편 열대 지방 사람들의 언어에는 „바나나‟를 가리키는

    낱말이 크기, 모양, 용도에 따라서 대여섯 가지나 된다고 하나 에스키모들이

    사용하는 국어사전 어휘에 „바나나‟라는 말은 아예 없다.23

    물론 „책상‟이나 „의자‟처럼 순전히 물리적인 대상을 지칭하는 어휘는

    여기에서 벗어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서로 다른 두 언어 사이에

    일대일로 상응하는 어휘란 없다는 것이 언어학자들의 일반적인 견해이다.24

    이렇게 번역이라는 것이 단순히 언어 대 언어, 텍스트 대 텍스트만의 관계만을

    문제 삼는 것이 아니라 복잡한 인간의 사고와 활동 전 영역에 걸쳐 있는

    것이므로 보다 넓은 시각에서 번역에 관여되는 모든 요소들을 분석하고 그것의

    상호작용을 조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번역은 이론보다는 실천의 영역에

    속하는 행위이며, 그 실천 또한 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기 보다는 번역가의

    직관에 의존한 것이기 때문에 쉽게 이론화 시킬 수는 없다. 비록 번역에

    내재하는 그 실천적 성격으로 인해 이론의 정립이 어렵다 하더라도 번역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필요하다. 그것은 단순히 번역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신비

    속에 방치해 두어서는 안 된다는 당위에서가 아니라 실제에서 마주치는 어려움

    들을 드러내 수집, 분류하고 개념화함으로써 각각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선택과 결정의 길잡이를 제시할 수 있기 위함이다.25

    22

    Jeremy Munday, ≪번역학 입문-이론과 적용≫,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6 년.

    pp.44-45. 23

    김욱동, pp.21-22. 24

    앞의 책, p.16. 25

    황윤정, ≪번역이론과 번역과정의 제문제≫,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년. p.26 참조.

  • 13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직은 번역이 시작된 시기도 불명확하고, 명확한

    정의를 내리기도 힘들뿐더러 직역이 옳은지 의역이 옳은지에 대한 문제도 어느

    것 하나 시원하게 단정 지을 수 있는 부분이 없다. 어쩌면 이 모든 것들이

    영원한 숙제로 남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이미 번역이 우리의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조건이 되었기 때문에 번역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지속적으로 번역 이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이런 연구가

    계속되어야 비로소 보다 정확한 번역 이론이 확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번역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고 번역상의 오류들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절 번역의 종류 및 특징

    문서번역 도서번역 기계번역 영상번역

    장르

    각종 서신,

    계약서, 공무서,

    보고서 등

    시, 소설, 희곡,

    수필, 동화, 동시

    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토크쇼, CF 등

    특징 전문성과 정확성

    요구

    문학적 감수성과

    탄탄한 외국어

    실력 요구

    단어의 전환이

    아닌 내용의

    전환 요구

    간단명료함과

    창작성 요구

    1) 문서번역

    개인과 집단의 모든 영역에서 발생하는 일 가운데 외국과 관계가 발생할 때

    그리고 그 관계가 기록을 통하여 전달되어야 할 때 문서번역도 아울러 발생한다.

    일반 분야, 비즈니스 및 금융 분야, 법률 분야, IT 정보통신 분야, 기초과학 분야,

    산업기술 분야 등 각종 분야에서 문서번역을 요구하고 있는데 문서번역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첫째, 먼저 원문을 여러 번 정독하여 출발어 텍스트를

    완전히 이해하여야 한다. 자기소개서, 이력서 등과 같은 일반분야 이외의

    문서번역은 특히 고도의 전문성과 엄밀한 정확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일차적으로는 의뢰인을 통하여, 이차적으로는 관련 전문잡지 및 인터넷 등을

    통하여 관련 자료를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 둘째, 번역물의 목표 대상이

  • 14

    누구이고 용도가 무엇인지, 또한 사용 지역이 어디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목표 대상이나 용도에 따라 텍스트의 문체나 호칭 등이 달라지며 사용되는

    지역이 중국인지 대만인지 또는 홍콩인지에 따라서 용어와 글꼴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셋째, 정확하고 간단명료해야 한다. 실용번역이라고도 불릴 정도로

    문서번역은 내용이나 쓰임이 모두 실용적이기 때문에 내용의 정확성, 절제된

    표현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26

    2) 도서번역

    문서번역은 훈련될 수 있지만 도서번역은 어느 정도 타고나야 한다고 말들

    한다. 외국문학 작품의 독특한 표현 그리고 그 표현 속에 녹아 들어 있는 묘한

    매력과 감수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그것을 우리말로 옮겨내는 작업은 단지 해당

    외국어를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다고 해서 감당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좀 더 엄밀히 말하자면 아무리 문학적 감수성이 빼어나다고 하더라도 해당

    외국어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갖추어지지 않는다면 도서번역을

    감당해낼 수 없기 때문에 문학적 감수성과 더불어 탄탄한 해당 외국어 실력, 이

    두 가지 요소가 다 갖추어져야 한다.27

    도서번역은 다른 번역과 달리 저작권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외국 저작물을

    국내에서 번역 출판하려면 먼저 번역저작권을 확보해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번역저작권이란 해당 외국 저작물을 국내에서 번역하여 출판할 수 있는

    배타적인 권리를 말한다. 이는 국제저작권조약(WTO와 베른조약 포함)에 의거한

    것이고 이러한 조약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 예컨대 대만 같은 국가와는 따로

    국가 간 조약을 맺어 서로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있다. 저작권 계약을 반드시

    해야 하는 시효는 저자 사후 50년 이내이고, 저자가 사망한지 50년이 넘은

    저작물은 누구나 마음대로 번역 출판할 수 있다.28

    3)기계번역

    26

    김난미외 3 명, pp.90-91 참조. 27

    앞의 책, p.108. 28

    앞의 책, p.113.

  • 15

    기계번역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한국어나 영어, 중국어 등의 자연언어29를 다른

    자연어로 자동적으로 번역하는 것을 말한다. 기계번역의 역사는 제2차

    세계대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자동기계번역에 대한 최초의 시도는 2차 대전 중

    적군의 암호 메시지를 해독하는 작업으로 볼 수 있다.30 우리나라는 1980년대에

    들어서야 기계번역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는 당시 국제

    교류의 증대, 번역 수요의 빠른 증가, 컴퓨터 처리속도의 향상과 기억용량의

    증가 등으로 말미암아 자연어의 처리 능력이 향상되었던 환경적 요인에

    기인한다.

    그동안 부단하고도 끈질긴 연구 결과 기계번역의 발전은 상당히 이루어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 초기의 기대와는 달리 기계번역이 인간이 하는 번역을

    대체하지 못하고 단순히 번역사의 보조적인 도움만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번역이라는 것이 „단어의 전환‟이 아니라 „내용의 전환‟이며, 이때 내용이란 것은

    단순히 단어에만 의지해서 글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문맥 속에 함축되어

    있는 것인데 기계번역이 이것들을 잡아내기가 쉽지 않다. 번역시 단어의 의미를

    결정하는 것은 사전이나 기계가 아니라 그 단어가 사용된 전후 맥락과 상황이다.

    동일한 단어가 전후 맥락과 상황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기계가 이런 상황을 얼마나 유연하고 정확하게 파악해내어 이를 도착어

    문장으로 번역해낼 수 있는가가 관건인데 아직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단계이다.31

    4) 영상번역

    영상번역은 영상매체가 지니는 상업성, 대중성으로 인하여 수용문화의 요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할 뿐만 아니라, 기술적으로나 표현적인 면에서도 많은

    제약조건이 따르는 작업이다. 영상번역가는 배우들의 입 모양과 실제 대사가

    진행되는 시간, 화면 위의 공간 등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이고 압축적으로

    대사의 의미가 전달되도록 신경을 써야 하며, 표현에 있어서도 향유관객 층의

    문화적, 언어적 습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32

    사실 영상 번역은 특히 원문에 충실한 번역보다는 창작이 더 큰 위력을

    29

    자연언어(自然言語)란 인공언어와 대치되는 개념으로 한국어, 영어, 중국어와 같이 인간이

    일상생활을 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언어를 말한다. 이에 반하여 인공언어는 언어

    특성의 몇 가지를 이용하여 인간이 만든 에스페란토어, 모스부호, 기계어 등을 말한다. 30

    최정화, ≪21 세기 최고의 전문직, 통역번역사에 도전하라≫, 넥서스, 2004 년. p.207. 31

    김난미외 3 명, p.128 참조.

  • 16

    발휘한다. 그래서 출발어의 형식에서 가장 자유로운 번역 형태 중 하나가

    영상번역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영상번역이 출발어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영상화면, 즉 그림 텍스트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영상 번역이 흥미를 더하기 위한 창작의 재량이 다분히 허용됨으로써 다른

    번역보다 도착어의 문화를 많이 반영한다. 번역자의 창작 재량이 많이

    허용된다는 것은 그만큼 번역자를 통해 도착어 문화와 언어, 그리고 사회를 엿볼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33

    제대로 된 영상번역을 위해서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을 살펴보자. 첫째, 우선

    영화의 전체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여야 한다. 둘째, 출발어 국가의 문화와

    정서를 충분히 이해하여 대사의 내용뿐만 아니라 그 속에 녹아있는 감정까지도

    도착어로 옮겨낼 줄 알아야 한다. 셋째, 간단명료해야 한다. 넷째, 대본이나

    대사에는 없다하더라도 시청자들의 장면 이해에 필요한 간판이나 지명 등은

    번역을 해주어야 한다. 34 즉 번역사는 도착어 시청자의 입장에 서서 그

    필요여부를 판단하고 번역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제3절 영상번역 형식 및 특징

    영상번역은 영상물의 번역 형식에 따라 자막번역(subtitle translation),

    더빙번역(dubbed translation), 보이스-오버(voice-over)로 나뉜다.

    1) 자막번역(subtitle translation)

    본고에서 중심적으로 다룰 자막번역은 문자로 도착어 버전의 대사가 화면에

    나타나는 방식으로 영상번역 중 가장 일반적인 방법임과 동시에 가장 오래된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극장용 영화나 비디오에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자막번역의 어려운 점은 화면 속 대사의 속도와 자막을 읽는 속도에 감안해서

    화면과 출발어의 대사가 조화를 이루게 번역 하는 것이다. 따라서 완벽하게

    영화나 영상물의 대사를 그대로 번역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화면상 자막 공간의

    제한과 발화된 말의 속도 때문에 번역은 언어의 경제성을 고려해야만 한다. 이와

    32

    조성원, , ≪比較文學≫, 제32 권, 2004 년. p.35. 33

    장민호, p.99.

  • 17

    같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는 자막번역의 특성 때문에 자막번역을 할 때

    삭제, 요약, 생략, 대체 등의 방법을 잘 사용하여 번역해야 한다.

    이런 자막번역은 비속어나 욕설 등도 걸러지지 않고 관객 및 시청자에게

    그대로 전달되는 단점과 영화나 드라마에서 좋아하는 배우의 음성을 원음

    그대로 들을 수 있고 학습 도구로 사용할 때 원래 외국어 표현을 정확한

    발음으로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35

    2) 더빙번역(dubbed translation)

    더빙번역은 도착어의 대사로 원래 배우의 대사를 덮은 방식으로 배우의

    대사는 숨겨져 있고, 관객이나 청중은 단지 도착어의 대사에만 노출된다. 그래서

    배우의 말보다 길거나 짧지 않게 호흡을 제한해야 한다. 이때 „억양‟의 조절이

    아주 중요한데 억양은 대사뿐만이 아니라 언어의 다의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36 또한 더빙번역에서 중요한 것은 번역시 화면

    속 배우의 제스처, 연기, 호흡, 뉘앙스 등에 따라 입모양과 자막 길이를 잘

    맞추어 완벽한 구어체와 표준어를 사용한 성우의 대사가 화면과 일치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한국어와 중국어는 다른 어순구조로 구와 절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길이와 호흡을 똑같이 맞추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문화적인

    차이도 있기 때문에 번역할 문장을 그대로 다 번역해 줄 수도 없다. 한국어의

    대사 그대로 번역을 하고 더빙을 하게 될 경우 우리말은 끝났는데 중국어는

    아직 끝나지 않은 상황이 연출될 수 있기 때문에 길이와 호흡을 최대한

    정확하게 맞추어야 한다.37

    더빙번역의 장점은 번역가의 기량에 따라 대사의 맛과 내용을 충실하게 옮길

    수 있으며 원영상물에 등장하는 비속어나 혐오스러운 표현들을 걸러내 국민의

    언어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편 영화의 사운드 트랙과 배우의 고유한

    목소리 연기를 원음대로 감상할 수 없다는 것과 성우비나 녹음실 사용료, 믹싱료

    34

    김난미외 3 명, p.123. 35

    정인희, , ≪번역학 연구≫ 제 7 권, 2 호, 2006 년. pp.210-211

    참조.

    金銀鈴, ≪中國 映像텍스트 飜譯 硏究 : 中國 映畵를 中心으로≫, 釜山外國語大學校

    通譯飜譯大學院, 2005 년. p.30 참조. 36

    이다현, ,

    ≪번역학연구≫, 제 8 권 1 호, 2007 년. p.229 참조. 37

    金江珉, ≪韓中 影像飜譯의 諸樣相 考察 - 드라마『가을동화』의 중국어 飜譯을 中心으로≫,

    동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년. pp.11-12 참조.

  • 18

    등 적지 않은 비용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만화나 어린이용 프로그램은 시청

    대상자의 문자 가독률(可讀律)이 낮다는 특성으로 인해 더빙을 필수적으로

    선택하기도 한다. 38

    3) 보이스-오버(voice-over)

    더빙의 변형으로 보이스-오버라는 방법이 있다. 더빙은 원본의 소리를 완전히

    없애고 성우가 새로 녹음을 하는 반면, 보이스-오버는 원어 소리는 그대로

    살리고 그 위에 성우의 음성을 올려놓는 방법으로서 다큐멘터리나 정보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다.39

    본 연구는 영상번역 중에서 특히 자막번역을 다루고자 한다. 번역의 일반적

    이론을 살펴보면서 번역이라는 큰 범위에서부터 본고에서 집중적으로 연구할

    자막 번역까지를 간단하게 도표화하면 다음과 같다.

    38

    윤순봉, ≪영상번역 특징 연구 : 오만과 편견을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년. pp.9-10.

    정인희, pp.110-111. 39

    김명순, p.46.

  • 19

    제3장 한류 영화의 중문 번역 기법

    제1절 제목 번역 기법

    영화의 제목은 그 영화의 얼굴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얼마나 예쁜 얼굴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선택의 빈도가 달라지기는 하나 너무 과장되거나

    지나친 꾸밈은 오히려 본래의 가치를 떨어뜨리게 된다. 영화 제목도 영화에 맞게

    지어야 한다. 제목 안에 영화의 내용을 함축시키고 또한 도착어의 정서를 고려한

    알맞은 번역이 되었을 때 비로소 관객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 수 있는 것이다. 그

    영화에 딱 맞는 영화 제목을 선택하기가 쉬운 일이 아니지만 너무 과장되지도

    않고 너무 투박하지도 않은 세련된 이름을 지어주는데 소홀히 하면 안 된다.

    그래서 영화를 번역할 때 가장 짧지만 가장 힘든 것이 바로 제목 번역인지도

    모른다. 심사숙고 끝에 정해진 영화 제목을 다른 외국어로 번역 할 때도

    원제목을 지을 때만큼이나 신경을 써야한다.

    본고에서 영화에 대한 기본 자료는 각 영화 공식 홈페이지를 참조하였고, 한

    영화에 번역된 중문 제목이 공식적인 제목 외에도 여러 개가 있을 경우에는

    여러 개를 모두 나열하여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한 영화에서 번역되어진 많은

    제목들 중에서 공식적인 제목을 중심으로 분석하기로 하는데 영화 제목을

    번역할 때 크게 한자어 차용 번역, 직역, 의역, 재의미를 부여하여 번역하는

    4가지 기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번역되어진 한류 영화 제목들을 위의

    번역 기법에 따라 차례대로 예를 들어 살펴보도록 하자.

    1) 한자어 차용

  • 20

    한자어 차용(借用)40은 한자 그대로 음을 빌려서 온 것으로 특별한 번역 없이

    한자어를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다. 이는 한국과 중국이 모두 한자권에 속한

    나라이기 때문에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두 나라 모두 같은 뜻으로 통용되는

    한자라면 그대로 차용하여 번역하는 것이 군더더기 없이 훨씬 간결하게 정확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비록 같은 한자이긴 하나 각 나라마다

    사용되어지는 의미가 동일하지 않을 때는 오히려 오역의 주범이 될 수 있는데

    예41를 들면 아래와 같다.

    學生-학생 / 學校-학교 / 敬禮-경례 / 校長-교장 / 卓子-탁자 / 椅子-의자 / 산-山

    / 江-강 / 電器-전기 / 電話-전화 / 軍人-군인 / 軍隊-군대 / 上官-상관 /

    靑年-청년/ 幼稚園-유치원 / 中學生-중학생 / 門-문 / 電燈-전등 / 頭腦-두뇌 /

    聰明-총명하다 / 科學-과학 / 氣車-기차 / 質量-질량 / 飯店-반점 / 嗜好-기호/

    交流-교류 / 交換-교환 / 改善-개선 / 改正-개정 / 事情-사정 / 家長-가장 /

    病故-병고

    대부분은 의미와 한자 사용이 한국어와 중국어가 동일하나 일부분의 어휘는

    한자는 같으나 서로 다른 의미를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 „氣車-기차‟는

    „자동차‟의 의미이고 우리말의 „기차‟는 중국어로 „火車‟라고 한다. 또한 „飯店‟은

    중국에서의 의미가 „酒店‟으로 „호텔‟이라는 의미를 갖지만 우리말에서의 반점은

    „중국음식점‟을 뜻하고 „酒店‟은 술집을 뜻한다. „家長-가장‟은 우리말에서는

    „가장(집주인)‟을, 중국에서는 학부형을 뜻한다. 이처럼 한자는 함축성이 크기

    때문에 잘만 사용하면 언어의 경제성을 잘 활용할 수 있지만 자칫 잘못

    사용하면 원문과 완전히 뜻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다음은

    40

    일반적으로 번역 대상 외국어의 문자와 음 그대로 번역하는 것을 음차(音借)라고 한다.

    영어권 영상물의 중국어 음차 기법은 ‘ 음역(音譯)’ 이라고 한다. 실베스타 스텔론(Sylvester

    Enzio Stallone) 주연의 ‘ 록키(Rocky)’ 를 ‘ 뤄치(洛奇)’ 라고 음역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한국과 중국은 한자를 공유하는 국가로서 한국어의 중국어 음차 방식은 외래어일 경우나

    한국 고유어 일 경우에만 이루어진다. 서울을 ‘ 首尔’ 이라고 표기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하지만 중국어의 한국어 음차는 두 가지 방식으로 분석한다. 첫째는 ‘ 음역’ 으로

    홍콩영화 ‘ 亲你亲你’ 를 중국어 음 그대로 ‘ 친니친니’ 로 번역하는 것이고, 둘째는

    ‘ 한자어 차용’ 으로 한자를 한국어 독음 그대로 표기하는 방식이다. 본고의 음차 번역

    방식은 두 번째 방식인 ‘ 한자어 차용’ 에 해당하는 Text만을 분석 대상으로 다루었다. 이에

    ‘ 음차’ 라는 용어 대신 ‘ 한자어 차용’ 이라는 구체적인 번역기법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41

    김진아, , ≪중국학연구≫,

    제27 집, 2003 년. pp.193-194.

    이운락, ≪中韓飜譯 技法硏究≫, 釜産外國語大學校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2005 년.

    pp.77-78.

  • 21

    한자어를 차용한 제목을 가진 한류 영화이다.

    ⑴ 연리지 - 连理枝

    연리지는 두 나무가 자라면서 가지가 붙어 하나의 나무가 되어가는 자연

    현상이다. 이 영화에서는 각자 다른 모습과 다른 성격을 지닌 남녀가 사랑으로

    하나 되는 모습을 „연리지‟라는 제목으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한국 사람이

    „연리지‟라는 제목을 접할 때는 이 단어가 어떤 뜻인지 또한 어떤 내용의

    영화인지 전혀 예측하기가 어렵다. 중문 이름은 한자어를 차용한 „连理枝‟로

    중국의 «후한서(后汉书)» 채옹전(蔡邕传)의 이야기이다. 后汉 末의 文人인 蔡邕은

    어머니가 병으로 돌아가시자 무덤 곁에 초막을 짓고 시묘(侍墓)살이를 하던 중

    방 앞에 두 그루의 싹이 나기 시작했는데 가지가 점점 자라서 서로 붙어(连)

    결(理)이 이어지더니 마침내 한그루(枝)처럼 되었다고 한다. 사람들은 이를 두고

    蔡邕의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와 자식이 한 몸이 된 것이라고 말하며 이후

    连理枝는 효성이 지극함을 나타내게 되었다. 이 작품뿐만 아니라 唐诗人

    백거이(白居易)는 에서 현종(玄宗)과 양귀비(杨贵妃)의 사랑을

    七月七日长生殿 夜半无人私语时 在天原作比翼鸟 在地原为连理枝 天长地久有时尽

    此恨绵绵无绝期 42 로 읊었는데 위 시에서 비익조(比翼鸟 )는 날개가 한 쪽

    뿐이어서 암컷과 수컷의 날개가 결합되어야만 날 수 있다는 새로 连理枝와 같은

    뜻으로 쓰였다. 이렇게 문학에서 „连理枝‟를 접할 수 있는 중국인에게는 오히려

    한자어가 차용된 „连理枝‟란 제목이 한국인이 접하는 „연리지‟란 제목보다 더

    친근하게 다가올 것이라 생각된다.

    ⑵ 음란서생 - 淫乱书生

    한국어 제목의 음란서생을 그대로 차용하여 중국어로 „淫乱书生‟이라 하였는데

    한자어 그대로 음란하다는 뜻을 지닌 형용사 „淫乱‟과 선비, 학자, 지식층을

    나타내는 명사 „书生‟이 만나서 음란한 선비가 되었다. 제목을 보면 점잖은

    선비들의 음란은 어떠한 것일지 궁금증을 자아내기도 하며 조선시대 사대부

    양반의 점잖음과 솔직한 욕망이 잘 드러나 있다. 이렇게 제목이 모호한 경우에는

    관객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나는 유리한 점도 있고, 관객들로 하여금 고개를

    42

    7 월 7 일 장생전에서/ 밤 사람들 모르게 한 약속/ 하늘에서는 비익조가 되기를 원하고/

    땅에서는 연리지가 되기를 원하네/ 높은 하늘 넓은 땅 다할 때가 있건만/ 이 한은 끝없이

    계속되네

  • 22

    갸우뚱거리면서도 표를 사게 만드는 괴력을 발휘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굳이

    의역이나 재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한국어를 그대로 차용하여 표현한 것이

    관객들의 호기심을 자아내는데 플러스 요인이 되었지 않았나 생각한다.

    ⑶ 역도산 - 力道山

    이 영화는 한때 일본의 국민적 영웅이었던 한국 출신의 전설적인

    프로레슬러 역도산의 일대기를 그린 작품이다. 그의 삶을 사실 그대로

    자아성찰의 전기 드라마로 완성하였는데 영화제목만 봐서는 역도산이

    사람 이름이라고 추측하기 어렵다. 중문 제목도 그대로 차용하여

    „力道山‟이라고 번역하였는데 중국어로 „力道‟는 „힘, 기운, 효력, 효과,

    효능‟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어 영화 제목만 보고 무슨 큰 효력이 있는 산에 관한

    이야기 정도로 생각하지는 않을까? 역도산이 사람 이름이라는 것과 한 때의

    프로레슬러로서 국민적인 영웅이었다는 사실을 함께 드러내어 „英雄 力道山‟이란

    제목을 붙이는 것이 더 적합하다 생각된다.

    (4) 광복절특사 - 光复节特赦/ 逃回监狱

    광복절은 우리나라 4대 국경일 중 하나이며, 한국에서 „光復‟이란 „빛을

    되찾다‟라는 뜻의 명사로 빼앗긴 주권을 도로 찾는 국권의 회복43을 의미한다.

    중국어에서 역시 „光复‟는 동사로 „나라를 다시 찾다‟라는 의미로 망했던 국가의

    회복 또는 잃어버린 영토를 다시 찾는다44는 뜻이다. „特赦‟란 법률용어로 „특별

    사면‟을 줄여서 이른 말이다. 중국어 역시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어서

    한국인이나 중국인 모두 제목을 보고 이해하는 정도는 비슷하리라 생각된다.

    만약 코믹 스토리의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제목만 듣고 한국 광복의 역사를 다룬

    역사극 정도라고 생각한 관객이 있다면 제목과는 다른 내용의 반전에 더 큰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자어 그대로 차용된 중문 제목은

    관객들의 관심을 모으는 데는 다소 역부족이다.

    그 밖에 제목이 차용된 영화는 아래와 같다.

    애인 - 爱人 , 청춘 만화 - 青春漫画, 색즉시공 - 色即是空, 동거, 동락 -

    43

    김민수 등,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1995 년. p.289. 44

    光复 - 恢复(已亡的国家); 收回(失去的领土)

    中国社会科学院语言研究所词典编辑室编, ≪现代汉语词典≫, 商务印书馆出版, 2002 年. p.469.

  • 23

    同居,同乐, 숙명 - 宿命, 신기전 - 神机箭, 추격자 - 追击者, 궁녀 - 宫女, 마왕 -

    魔王, 행복 - 幸福, 야수 - 野兽, 구세주 - 救世主, 두사부일체 -

    头师父一体/头师傅一体, 한반도 - 韩半岛, 불량가족 - 不良家族, 남극일기 -

    南极日记/南极天气, 강력3반 - 强力三班, 빙우- 冰雨/冰暴, 하류인생 - 下流人生,

    인어공주 - 人鱼公主/ 小美人鱼,我的妈妈是美人鱼, 황산벌 - 黄山伐, 해안선 -

    海岸线, 몽정기 - 梦精记, 밀애 - 密爱, 연애소설 - 恋爱小说, 무방비도시 -

    无防备都市/ 不设防的都市, 无防备城市

    2) 직역45

    직역(直譯)이란 원문의 어순과 표현들의 의미를 최대한 존중하여 옮기는

    것이다. 즉 직역이란 출발어를 그대로 생동감 있게 자기 고유의 언어로 옮겨

    놓는 작업인데 이때 번역된 어휘가 앞뒤 단어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게 되면

    온전한 번역이 되지 못한다. 직역은 정확성에 있어서는 탁월하나 자연스러움이

    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 글자 한 글자 정확하게 번역하다 보면 비록 각

    글자의 뜻은 명확해도 전체의 뜻은 모호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전체 글에서

    가지는 의미를 간과한 채 각 글자 자체의 의미를 직역하여 어색하고 잘못된

    번역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다음은 직역한 제목을 가진 한류영화이다.

    ⑴ 주먹이 운다 – 哭泣的拳头

    „주먹이 운다‟를 그대로 „哭泣的拳头‟라고 번역하였다. 우리는 „주먹이

    근질근질하다‟, 또는 정말 분한 감정이 격해졌을 때는 „주먹이 운다‟ 등으로

    표현한다. 하지만 중국어에서는 „주먹‟과 „운다‟는 전혀 대응되지 않는 단어이다.

    중국어에서 „哭泣‟는 그저 „슬픔‟을 나타낼 뿐이다. 그렇다고 의역하여 성어

    „咬牙切齿 (격분하여 이를 부득부득 간다)‟로 짓기엔 영화의 내용과 의미가 전혀

    다르다. 이 영화는 서로 원한이 있어 복수를 하는 내용은 아니기 때문이다. 양국

    간에 신체를 비유한 여러 표현은 서로 다르다. 하지만 이 점을 전혀 고려치 않고

    단순 직역해 이상한 중문 제목이 되었다.

    45

    직역 부분의 예 (1)-(6)의 분석은 ‘ 제목 번역 기법’ 의 아이디어를 제공ㆍ지도한 본 논문의

    지도교수인 김현태 교수의 저서 ≪한권으로 읽는 현대중국어학≫, 경남대학교 출판부,

    2006 년. pp.310-325 를 인용하기로 한다.

  • 24

    ⑵ 스캔들 - 丑闻/ 挑情宝鉴, 偷情宝鉴

    사극임에도 제목을 „스캔들‟로 했다는 점에서 우선 신선하고 부제가

    „朝鮮男女相悅之詞‟라는 한자인 점에서 더욱 오묘한 느낌이 든다. 부제

    „朝鮮男女相悅之詞‟는 „조선 남녀가 서로 좋아한다는 말‟이라는 뜻이다.

    중국에서는 우선 „스캔들‟을 그대로 „丑闻‟이라고 했었다. 우리가 느끼는 사극과

    영문제목의 대응에서 오는 느낌이 전혀 없는 직역이다. 그렇다면 부제인 한자

    제목을 그대로 중문으로 써도 무난할 것이라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는 않다.

    이유는 중국인들은 „한국‟이라는 이미지에는 세련됨과 호기심을 가지나

    „조선‟이라는 말에는 별 흥미를 못 느끼기 때문이다. 그러니 굳이 „조선‟시대라는

    이미지를 줄 필요가 없다. 그래서 „明心宝鉴‟이란 책 제목처럼 영화의 내용을

    고려하여 „挑情宝鉴‟, „偷情宝鉴‟이라 제목을 붙였다. 둘 다 적절한 제목이다.

    하지만 의미는 서로 조금 다르다. „挑情宝鉴(욕정을 불러일으키는 보감)‟,

    „偷情宝鉴(남녀 간에 은밀히 정을 통하는 보감)‟으로 전자의 의미는 부정적

    의미가 있기는 하나 조금 추상적이며 표현이 완곡한 편이다. 하지만 후자는

    부정적 의미가 강하고 자극적이다. 즉, 한국이라는 다가가기 쉬운 이미지를 주고,

    이와 함께 상업적인 흥행을 위해서 자극적인 표현을 사용한 후자가 흥행

    면에서는 더 적절하리라 본다.

    ⑶ 왕의 남자 - 王的男人

    한국이나 중국이나 „왕‟에게는 „여자‟란 단어가 붙었던 게 습관화 되어있다. 그

    고정관념을 깨고 왕과 그 왕의 남자, 그리고 왕의 남자의 동료 간에 얽힌 미묘한

    동성애 감정을 역사적 픽션으로 다루었다는 그 소재 자체로 대한민국 최고

    기록을 갈아치운 영화다. 특히 여자보다 예쁜 왕의 남자 „공길‟역의 이준기로

    인해 중화권에서도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중국에서는 동성애 문제를

    다루었다고 하여 상영금지 당하였으나 DVD로는 인기가 아주 많았다) 번역을

    떠나 그 발상 자체만으로도 환영 받을 제목이다. 하지만 그냥 „王‟이란 한 자만

    쓰는 것으로는 이미지가 약하다. „国王‟이나 „皇帝‟라 하였으면 더욱 강한

    이미지로 다가설 수 있었을 것이다.

    ⑷ 그놈은 멋있었다 - 那小子真帅/ 那小子真酷

    „놈‟은 한국어에서 세 가지 의미로 쓰인다. 첫째, „남자‟를 욕으로 이르는 말,

  • 25

    둘째, 남자 아이를 귀엽게 이르는 말, 셋째, 어떤 대상을 홀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놈‟에 해당하는 중국어 „小子‟는 우리말 첫째, 둘째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다.

    다만, 첫 번째 의미는 우리말보다 조금 약하고 일상생활에서는 두 번째 의미로서

    많이 쓰이는 편이다. 우리말 느낌을 잘 전달한 적절한 번역이다. 또 다른

    번역으로 멋있다라는 „帅‟대신 쿨하다는 의미를 지닌 „酷‟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那小子真酷라고 하였다. 酷는 영어 cool의 소리를 본따 만든 외래어이며 유행어

    또는 신조어로 젊은이들이 최근 많이 사용하는 단어이다. „멋있다‟라는 말을

    „쿨하다‟는 말로 바꾸니 더욱더 구어체적인 느낌이 든다.

    ⑸ 친절한 금자씨 – 亲切的金子/ 她要复仇,复仇的金子

    중국어에는 존칭접미사 „-씨, -님‟이 없다. 그래서 „科长‟, „部长‟, „先生‟만으로도

    존칭어가 된다. 그래서 „금자씨‟가 아니고 그냥 „금자‟다. 이 역시 삼순이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금자라는 이름에서 촌스러움과 아무런 힘도 능력도 없는 한

    여성을 연상한다. 그런데 그 여자가 상상을 초월하는 잔인한 복수극을 펼친다.

    상상을 초월하는 스토리 전개로 이 영화는 세계 영화제에서 많은 상을 받았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금자에서 일본 여성을 떠 올릴 것이다. 많은 일본 여성의

    이름이 „-子(꼬)‟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인들은 오히려 일본 여성의

    부드럽고 순종적인 이미지를 연상해 영화가 원래 의도하고자 했던 이미지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⑹ 조폭마누라 - 我的黑道老婆/ 我的老婆是大佬

    미국 헐리우드에서 리메이크 한다고해서 더 유명해진 영화이다. 중화권에서는

    제목을 „我的黑道老婆‟와 „我的老婆是大佬‟ 두 가지로 쓰고 있다. 전자는

    전형적인 영화제목인 „수식구조‟이나 후자는 „주술목구조‟이다. 일반적으로 영화

    제목은 „수식구조‟로 짓는 것이 무난하다. 우리나라도 „달콤한 인생‟, „엽기적인

    그녀‟, „살인의 추억‟, „친절한 금자씨‟ 등 주로 „수식구조‟이고 중국도

    „我的父亲母亲‟, „漂亮妈妈‟처럼 „수식구조‟가 대부분이다. 요즘은 특이하게 영화

    제목을 길게 서술하는 것이 가끔 주목을 받긴 하지만 간단명료한 „수식구조‟가

    관객에게 가장 쉽게 어필될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또한

    „我的老婆是大佬‟처럼 „주술목구조‟는 영화 내용을 이미 다 알려주고 있다. „내

    마누라는 조폭두목‟ 이런 식이니 그저 „조폭‟과 „마누라‟ 정도의 전혀 어울리지

    않는 소재에 강한 호기심을 가질 찰나 „아, 마누라가 조폭두목이구나!‟까지 알게

  • 26

    되면 호기심이 많이 줄어드는 작용을 할 수도 있다. 영화 제목이란 지나치게

    추상적이어서도 안 되지만 그렇다고 너무 자세해도 안 된다.

    그 밖에 제목이 직역된 영화는 아래와 같다.

    웰컴 투 동막골 - 欢迎来到东莫村, 올드보이 - 老男孩/原罪犯, 말아톤 -

    马拉松/我的马拉松,马拉松小子, 친구 - 朋友, 그녀를 믿지 마세요 - 请别伤心她/

    别信她,美丽的谎言,不要相信她,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 我们的幸福时光,

    마지막 선물 - 最后的礼物, 오래된 정원 - 古老的庭院/ 故园, 그놈 목소리 -

    那家伙的声音/电话谋杀者, 화려한 휴가 - 华丽的休假,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

    客房高手和妈妈/ 爱情高手、租进我家, 爱情房选手和妈妈, 舍廊房选手与妈妈,

    바보 - 笨蛋, 비열한 거리 - 卑劣的街头,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

    我一生最美丽的一周/ 我人生中最美丽的一周, 我生涯中最美丽的一周(香港), 너는

    내운명 - 你是我的命运/你是我的阳光, 안녕! 유에프오 - 哈罗! UFO, 내

    머릿속의 지우개 - 我脑中的橡皮擦/ 拥抱这分钟(香港), 살인의 추억 -

    杀人回忆/謨杀记忆, 杀人记忆, 조용한 가족 - 风流家族/偷情家族, 家有艳妻,

    오아시스 - 绿洲, 슈퍼맨이었던 사나이 - 曾经超人的男子/ 相信超人的男子,

    超人男, 마이 뉴 파트너 - 我的新拍档,마이파더 - 我的父亲

    3) 의역

    의역(意譯)이란 가시적인 틀을 벗어나 고정된 궤도를 이탈함으로써 오히려

    정답을 찾아내는 방법을 말한다. 이것은 교과서적인 해석을 넘어 사전에 명시된

    개념을 무시하거나 초월하고, 현실적인 언어 습성의 이해에 바탕을 둔 번역의

    실천 양식이라고 하겠다. 46 그러나 고정된 궤도를 이탈한다고 해서 전혀 다른

    해석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의 틀은 깨되 원제의 의미를 크게 벗어나지 않은

    차원에서 해석해야 한다.

    번역자가 편집자 노릇을 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지나친 의역을

    못마땅해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의미의 전달을 위해서는 편집이 불가피하다. 또

    의미전달에는 문제가 없더라도 도착어의 문장을 어색하지 않게 만들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편집은 피할 수 없는 번역자의 역할에 포함된다.47 다음은 의역한

    제목을 가진 한류영화이다.

    46

    안정효, ≪번역의 테크닉≫, 현암사, 1996 년. p.51. 47

    유영난, p.30.

  • 27

    ⒧ 엽기적인 그녀 - 我的野蛮女友/ 我的淘气女友48

    „엽기적인 그녀‟가 대히트를 치면서 „엽기‟란 말이 이 시대를 읽는 한 코드가

    되었다. „엽기‟란 „비정상적이고 기괴한 사물에 호기심을 갖고 남달리 흥미를

    느낀다‟는 뜻으로 „엽기 행각‟, „엽기적 살인‟ 등 나쁜 뜻으로 쓰인다. 그러나

    지금은 그 의미가 톡톡 튀고 엉뚱한 매력을 표현할 때 사용되고 있다.

    중화권에서는 „엽기=야만‟으로 번역하였는데 „야만‟이란 „미개하고 난폭하고

    상스럽고 거칠다‟라는 뜻이다. 하지만 엽기적인 그녀가 „我的野蛮女友‟로 바뀌어

    대단한 히트를 친 후 „야만‟이란 단어 역시 엄청난 히트를 치며 모방 영화와

    드라마, 소설이 넘쳐나고 있다. 그 후 „야만‟이란 단어가 너무 자극적이라

    „我的淘气女友‟로 바꾸었으나 „淘气‟를 기억하는 중국인은 많지 않다. 이에

    „첫사랑 사수궐기 대회‟도 „我的野蛮初恋‟으로 번역되었고, „내 여자친구를

    소개합니다‟도 „我的淘气女友Ⅱ, 野蛮师姐, 我的野蛮师姐‟로 번역되었다. 하지만

    한국에서 줄임말 „여친소‟로 새로운 유행어를 창출한 반면 중국에서는 „엽기적인

    그녀‟ 아류작 정도로 평가 받았다. 전지현의 „엽기적인 그녀‟의 이미지를

    탈피하지 못한 옛 것의 명성을 등에 업고 가려는 제목이다.

    ⑵ 6년째 연애중 - 六年之痒/ 六年恋爱中,第六年恋爱中

    „6년째 연애중‟이란 중문 제목은 „六年之痒‟이다. 사전적 의미로 „痒‟은 가렵고

    근질근질 하다는 뜻인데 이 영화에서는 가슴 설레고 행복한 연인 간의 사랑의

    설레임을 „痒‟으로 표현했고, 또 다른 각도로 6년이란 긴 시간의 교제로 인해

    풋풋한 사랑보다는 기존의 습관적인 사랑에서 느끼는 염증의 가려움 또한

    „痒‟으로 표현했다. 이런 „痒‟의 이중적 의미를 사용하여 „六年恋爱中‟이라고

    직역하는 것보다는 „六年之痒‟으로 영화 내용까지 중의적으로 표현하여 의역 한

    것이 더 참신한 느낌을 준다.

    ⑶ 눈에는 눈 이에는 이- 有仇必报/ 以牙还牙, 以眼还眼、以牙还牙, 硬碰硬

    탈리오법칙 (lex talionis)에서 „눈에는 눈 이에는 이‟란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

    이는 반좌법(反坐法), 동해보복법(同害報復法)이라고도 하는데 응보(應報) 원칙의

    48

    김현태, p.316.

  • 28

    가장 소박한 형태로써 원시 미개사회규범 중에서 볼 수 있는 정의 관념에 대한

    원시적 표현이다. 이 법칙은 함무라비법전에 규정되어 있고, 성서에도 이와

    유사한 것이 있는데, „생명에는 생명으로써, 눈에는 눈으로써, 이에는 이로써‟라고

    표현되어 있는 것이 그것이다. 그밖에 중국에도 비슷한 표현으로 논어(论语)

    헌문편(宪问篇)에 나오는 „以直报怨 以德报德 49 ‟라는 공자의 말이 있다. 이

    영화는 경찰청 특별 수사반의 형사 이름을 사칭해 현금 18억원이 든 신용금고의

    수송차량을 강탈한 범죄자와 이름을 사칭 당한 형사의 화려한 복수 대결을 펼친

    영화로 당한 만큼 지독하게 돌려준다는 복수의 심리를 진하게 그렸다. 그래서

    영화의 제목을 복수의 의미를 담은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고 한 것 같다.

    하지만 중문 제목에서는 „복수는 반드시 갚겠다‟란 뜻으로 „有仇必报‟라고 하여

    영화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여 의역하였는데 오히려 비공식적인 „以牙还牙‟라는

    중문 제목이 훨씬 더 원제목의 의도를 잘 살린 번역이라 본다. 중국인들은

    „以牙还牙‟만으로도 „以眼还眼、以牙还牙‟ 모두를 연상시키기 때문에

    „以牙还牙‟가 중국인 정서에도 적합하고 간단명료한 번역이라 생각된다.

    그 밖에 제목이 의역된 영화는 아래와 같다.

    번지점프를 하다 - 爱的蹦极/ 情约笨猪跳, 8월의 크리스마스 - 八月照相馆,

    귀신이 산다 – 幽灵鬼屋, 첫사랑 사수궐기대회 - 我的野蛮初恋, 분신사바 -

    笔仙, 뜨거운 것이 좋아 - 热情似火/ 喜欢火热, 집으로 - 爱,回家/ 回家路上,

    有你真好,外婆的家,回家路, 도레미파솔라시도 - 七音符/ 哆来咪发梭拉西哆, 괴물

    - 汉江怪物/ 怪物, 홍반장 - 洪班长我的白事通男友, 하늘정원 - 连连花园/

    天堂花园 蓝天花园

    4) 재의미 부여

    영화의 원제목과는 무관하게 영화의 내용과 관련하여 영화의 제목에 재의미를

    부여한 영화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⑴ 말죽거리 잔혹사 - 高校往事

    제목의 „말죽거리‟는 옛 역마을의 이름으로, 현재의 지하철 양재역

    49

    원망하는 이에 대해서는 공명정대한 태도로 보복하고, 은혜를 입은 이에게는 은혜로써

    보답하라

  • 29

    부근에 해당된다. 이 영화는 유신말기, 개발 붐에 들어선 서울 강남

    말죽거리의 어느 남자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폭압적 학교 분위기와

    순수한 교복세대의 가슴 시린 첫사랑을 통해 70년대 말의 학원 풍경을

    사실적으로 다룬 영화이다. 군사 정권 하의 학교 내 분위기라든가,

    주인공이 동경하는 비운의 무술 스타 이소룡, 혹은 당시 히트했던

    진추하(Chelsia Chan)의 „One Summer Night‟, „Graduation Tears‟ 등의 음악이

    적재적소에 사용되어 순수함이 폭력에 희생되었던 당시의 시대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중문 제목으로는 „말죽거리 잔혹사‟가 „高校往事‟로

    고교시절 이야기쯤으로 번역되었다. 영화 대부분의 이야기가 1978년 고등학교

    시절의 학교 배경으로 이루어졌긴 하지만 „高校往事‟라고 하기엔 너무 단조로운

    번역이 아닌가 생각된다.

    ⑵ 클래식 – 爱有天意/ 爱有缘分

    영화 „클래식‟은 1960~70년대와 현재라는 30여 년의 시간차를

    넘나들며 보여주는 사랑에 관한 이야기이다. 현재와 과거를 넘나들며 한

    모녀의 로맨스를 서정적으로 그린 영화인 „클래식‟을 중문으로는

    „爱有天意‟ 라고 번역하였다. 사랑에는 하늘의 뜻이 있다는 뜻으로 과거

    부모님이 못 이룬 사랑을 우연 같은 필연으로 현재에 자녀들이 이룬다는

    내용을 드러내고 있다. 한국어로는 „하늘이 정해준 사랑‟ 정도로 표현할

    수 있을 법한 „爱有天意‟는 표의문자인 중국어의 장점을 살려 4음절로

    간단명료한 컨셉으로 깔끔하게 제목을 단장했다.

    ⑶ 미녀는 괴로워 - 丑女大翻身/ 美女也伤心,美女的烦恼

    뚱뚱하고 못생겼던 여자가 최고의 성형 미인으로 거듭나면서 겪는

    좌충우돌기로, 뛰어난 가창력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뚱보라는 이유로

    주위의 멸시를 받던 여성이 목숨을 건 성형수술을 통해 미녀로

    변신하면서 벌어지는 소동과 외모지상주의를 풍자한 코믹 드라마이다.

    역대 로맨틱 코미디 분야에서 흥행 1위를 한 작품이기도 하다.

    중국어로는 제목을 „丑女大翻身‟이라 하였다. 일반적으로는 영화가 어떤

    영화인지 확실하게 알려주는 제목을 선호하기 마련이지만, 어떤 경우엔 숨기는

    것이 전략이 될 수도 있다. 미녀가 괴롭다는 반어적인 표현으로 미녀가 왜

    괴로운지 궁금증을 유발하는 관객들의 심리를 „丑女大翻身‟이란 중문 제목으로는

  • 30

    느끼기가 어려운 아쉬움이 있다.

    그 밖에 제목에 재의미가 부여된 영화는 아래와 같다.

    시월애 - 处不到的恋人, 기다리다 미쳐 - 男友从军记/ 等到发疯, 等到疯狂,

    在等待中发疯,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 机器人之恋/ 是机器人也没关系,

    电子人也无所谓, 赛拍格之恋(台湾), 再造人之恋(香港), 내 여자친구를

    소개합니다 - 野蛮师姐/ 介绍我的女朋友, 我的野蛮师姐, 아는여자 - 求爱咖啡屋/

    特别的人, 불어라 봄바람 - 偷欢嫁期,죽어도 좋아 - 七十好年华, 동감 -

    情迷步话机/ 爱的空间,同感

    영화로 시작해서 영화로 끝나는 영화 제목 짓기의 중요한 법칙은 컨셉과

    장르를 중시하는 것이다. 예전에는 스케일이 크거나 화제가 됐던 영화는 원제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요즘도 원제를 그대로 사용하는 추세이긴

    하나 보다 세련되고 영화 내용을 잘 대변하는 영화 제목을 짓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금은 영화 관객들의 연령층이 낮은 편이고 인터넷, 매체 등

    영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통로가 많아지면서 관객들의 영화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제목 마케팅은 영화의 승패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는데, 작품의 성행을 위해 신비감이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제목을 정하는 것도 좋지만 무엇보다 그 영화의 제목과 내용이

    연관성이 있는 번역이 되도록 해야 한다. 만약 어줍지 않은 제목을 선택하게

    된다면 오히려 관객들의 영화에 대한 호감도를 떨어뜨리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관객뿐만 아니라 한국 영화를 통해 또 다른 생활의 풍요로움을

    누리고자 하는 외국인들에게 우리의 영화가 선택되어지기까지 제목 번역의

    전문적인 연구와 세심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제2절 자막 번역 기법

    자막 번역 기법과 문화차이 번역 기법 연구에 앞서 본 연구의 중심 텍스트로

    삼은 영화 『엽기적인 그녀』 50 에 대한 간략한 작품 소개를 하고자 한다.

    『엽기적인 그녀』는 남녀가 진실한 사랑을 만들어가기까지의 갈등, 사건,

    50

    2001 년 박건섭 ‧ 신철 등이 제작하였으며 곽재용 감독이 연출하였다. 차태현, 전지현이

    남녀주연을 맡았고, 상영시간은 122 분으로 젊은층의 감성코드를 잘 표현하였다.

  • 31

    전환점을 따뜻하고 유쾌한 시선으로 그리고 있다. 영화를 운동경기의 형식처럼

    전반전, 후반전, 연장전으로 특이하게 구성하였다. 엽기적이지만 속으로는 한

    남자만을 바라보는 그녀와 세심하고 소심해 보이지만 대범하고 속 넓은

    견우라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였다. 이들은 마음에 깊은 상처를 안고

    고통스러워하지만 진정한 사랑을 통해 해소한다는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감동을

    전해주고 있다.51

    원작은 김호식이 1999년 8월 PC통신 나우누리 유머란에 올린 자기

    여자친구와의 연애담으로 당시 인터넷 이용자 사이에 폭발적인 화제를 불러

    모았다. 원작이 인터넷 소설이기 때문에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DVD(신씨네)의

    한글 자막도 채팅 표기법이 그대로 나타나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표기 기법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번역 기법을 다루는 것이므로 본고에서 자막 대사를 실례로

    들 때 자막의 길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채팅 언어로 표기된

    대사를 어법에 맞게 고쳐 표기하기로 함을 미리 알려둔다.52

    2006년 한국언론정보학회 학보지 34호에서 중국 인터넷 이용자의 『엽기적인

    그녀』 관람후기 게시판에서 수집한 글들을 계량화하여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평가를 한 글이 전체의 65.8%로 부정적인 평가의 글 16.1%보다 훨씬 많았다.

    이는 영화 『엽기적인 그녀』가 한‧중 양국에서 관객들의 큰 사랑을 받았으며

    동시에 중국에서 한류를 이끈 영화 중 하나임을 다시 한 번 실감하게 한다. 많은

    중국인에게 감동과 신선함을 전해주었던 위 작품의 번역된 자막을 토대로 영화

    중문 번역 기법의 실례를 들어보고자 한다.

    1) 자막의 길이

    영화 자막에서는 글자 수가 제한되어 있다. 길이를 더빙처럼 원대사와

    엄격하게 맞출 필요는 없지만 더빙용보다 더욱 간결함과 함축성이 요구된다. 한

    줄에 13자를 넘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두 줄을 넘지 않아야 함53을 원칙으로

    한다. 만약 관객이 1초에 3~4자 정도 읽을 수 있다고 본다면 한 줄 대사가

    화면에 지속적으로 떠 있는 시간은 3초 정도, 두 줄이면 적어도 5~6초는 떠

    있어야 한다. 그보다 더 빨리 지나가면 다 읽지 못해 관객의 불만을 사게 되고,

    너무 느리게 지나가면 뭔가 충실하지 못한 대사라는 느낌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51

    이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