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전화방문이 재가정신분열병환자를돌보는주가족간호자의 가족 ... ·...

89
전화방문이 재가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의 가족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지도 김소야자 교수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04 12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Transcript of New 전화방문이 재가정신분열병환자를돌보는주가족간호자의 가족 ... ·...

  • 전화방문이

    재가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의

    가족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지도 김 소 야 자 교수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04 12年 月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곽 윤 경

  • 곽윤경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김 소 야 자 ( )印

    심사위원 유 지 수 ( )印

    심사위원 안 양 희 ( )印

    연세대학교 대학원

    년 월2004 12

  • 감사의 글

    하나의 결실을 앞에 두고 참으로 많은 분들이 생각납니다.수련과정을 통해 정신간호학의 길로 들어선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제게 어머니

    와 같은 존재로 가르침을 주시며 본 논문의 주제선정에서부터 실제 연구수행에서,의 문제해결에 있어 다양한 도움을 주신 김소야자 교수님 논문의 방법적 측면과,형식에서 때로 따끔한 회초리도 아끼지 않으시며 지도해주신 유지수 교수님 항상,지치지 않도록 따뜻한 격려와 함께 논문의 이론적 측면과 내용 전반을 섬세하고 꼼꼼하게 지도해주신 안양희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그리고 연구진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도와주신 국립서울병원 김주효 간호과장

    님과 최혜금 이부화 사무관님 선행 연구자로서 연구진행에서 세밀한 부분까지 조, ,언을 주셨던 김은숙 간호감독님 이희덕 교육수간호사선생님 그리고 바쁜 업무 가, ,운데서도 본 연구의 진행을 도와주신 병동 병동 병동 병동 병동11 , 12 , 21 , 31 , 32 ,병동 병동 수선생님과 간호사 선생님들께도 진심어린 감사를 드립니다36 , 55 .또한 많은 수업준비로 바쁠텐데도 기꺼이 통계를 가르쳐주고 연구과정 내내 제

    게 격려와 지지로 함께 해주었던 희정언니 보고픈 것도 논문 나온 후로 미루자며,항상 격려해주었던 현경언니와 혜경이 미경이 부족한 저를 과분하게 사랑해주시, ,고 기도로 지원해주신 행복한 우리집 문정순 목사님과 실무진 그리고 회원들에“ ” ,게도 감사드립니다.

    년 처음 학교와 인연을 맺게 되면서 서툴고 실수가 많았던 제게 늘 편안2004 ,함과 배려 관심으로 지원해주셨던 조희 교수님과 한종숙 교수님을 비롯한 적십자,간호대학 교수님들과 낮과 밤을 함께 했던 임상 교수님들의 관심과 도움이 없었더라면 오늘의 결실을 맺기는 힘들었을 것입니다.더불어 저의 등 뒤에서 보이게 또한 보이지 않게 마음과 기도로 저를 응원해주,

    시는 영남이공대학 간호과 교수님들의 사랑에도 감사드립니다.마지막으로 뒤늦게 공부를 하는 막내딸을 믿음으로 지원해주시고 힘들고 휘청

    일 때마다 내 마음의 지표가 되어주시는 사랑하는 나의 부모님과 준비한 자료를 잃고 며칠 밤을 새는 제게 다시는 자료를 잃지 말라며 메모리 스틱을 선물해준 오빠와 올케 몸과 마음이 지쳐갈 무렵이면 어김없이 부모님을 모시고 나타나 내게 가,

  • 족의 사랑을 재충전시켜주던 형부와 언니 그리고 늘 부족한 이모도 항상 좋아해주,는 장난꾸러기 조카 재한이에게도 오늘의 작은 기쁨과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그리고 이 모든 이들을 제게 주시고 또한 이 과정을 통해 더 많은 것을 배우고

    생각하도록 하신 나의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년 월2005 1

    곽 윤 경

  • 1

    차 례

    표 차 례부록 차례국문 요약

    서 론I .연구의 필요성A.연구의 목적B.연구가설C.용어의 정의D.

    문헌 고찰II.재가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부담감A.재가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요구와 전화중재B.

    연구 방법III.연구 설계A.연구 대상자 및 표집방법B.연구 도구C.실험처치 전화방문D. :자료수집 절차E.자료분석 방법F.

  • 2

    연구결과IV.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A.재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의 가족부담감B.가설 검증C.전화방문 후 주가족간호자의 가족부담감 변화D.추가분석 전화방문 내용분석E. :

    논의V.일반적 특성과 가족부담감A.전화방문의 효과B.

    결론 및 제언VI.결론A.제언B.

    참고 문헌부 록영문 요약

  • 3

    표 차 례

    표 전화방문 자료집 내용< 1 >표 주가족간호자의 일반적 특성< 2-1>표 주가족간호자가 돌보는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2-2>

    질병관련특성표 사전 주가족간호자의 가족부담감< 3 >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가족부담감 비교< 4 > ․표 전화방문 전후 주가족간호자의 가족부담감 비교< 5 >표 주가족간호자의 전화방문 상담내용< 6 >

    부 록 차 례

    부록 가족부담감 척도< 1>부록 전화방문 기록지< 2>부록 전화방문 자료집< 3>

  • 4

    국문 요약

    전화방문이재가 정신분열병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들은 일차적 보호제공자로서 환자의 질환 및 행동과 관련하여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 부담감을 경험하, ,게 되며 이러한 가족 부담감이 적절히 해결되지 않으면 가족원 각각의 생활,효율성이 저하되고 가족 전체 생활의 균형이 위협 당하게 되어 정신분열병 재발 뿐 아니라 가족 전체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재.가 정신분열병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로 전화방문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연구설계는 무작위 할당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의 순수실험연구이다.연구대상은 정신분열병 진단 하에 서울 소재 국립 병원에서 입원치료를S

    받은 후 집으로 퇴원하는 환자 가족 중 환자의 실질적 보호자로서 책임을 느끼는 주가족간호자 명으로 실험군 명과 대조군 명 이었다51 25 26 .전화방문은 먼저 정신질환자 가족의 요구도를 조사한 선행연구와 예비조사

    를 통해 전화방문 기록지와 자료집으로 프로토콜을 마련한 후 마련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실험군에게 퇴원 후 주 동안 본 연구자가 전화방문을 시행하4였다.자료수집은 년 월 일부터 월 일까지 하였다 사전 조사는 실2004 7 29 10 30 .

    험군과 대조군 모두 환자 퇴원 후 주 이내 사후조사를 위해서는 실험군은1 ,연구자의 전화방문 종료 후 주 내에 대조군은 사전조사 주가 경과한 시점1 , 4에서 주 내에 훈련된 연구조사자 인이 전화를 통해 시행하였다1 1 .연구도구는 송현주 가 정신분(1995) 열병환자 부모를 대상으로한 그의 연구

    에서 의 를 토대로 가족의 부담감을 스트레스Zarit(1985) Burden Interview(BI) ,

  • 5

    좌절 분노의 감정으로 측정한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SPSS 12.0 .

    은 실수와 백분율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동질성은 와, X²-test Indepen-로 검증하였고 가설검증은 검증으로 분석하였으며 이dent t-test , ANCOVA

    외에 전화방문 내용을 추가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그룹간 가족부담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1) (F=6.63,전화방문을 받은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의p=0.01) “

    가족부담감은 전화방문을 받지 않은 가족부담감 정도와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본 연구의 가설은 지지되었다.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가족 간호자의 부담감 평균점수는 이었2) 2.63 ±.30

    고 부담 수준이 가장 높은 문항은 환자는 나에게 의존한다 가장 낮, “ (3.49)“,은 문항은 환자가 필요이상의 요구를 한다 로 나타났다” (2.12)“ .실험군 명의 대상자에게 회씩 전화방문을 한 결과 가장 많이 문의되었3) 25 4

    던 내용은 환자의 양성 및 음성 증상과 관련된 가족의 대처 였고 그 다음으“ ” ,로는 환자의 재활관련 환자의 문제행동관련 환자의 치료약물 관련“ ”, “ ”, “ ”,환자의 치료경과 및 예후 관련 환자의 발병원인관련 환자의 사회복지“ ”, “ ”, “관련 문의 내용들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에 대한 전화

    방문이 주가족간호자의 부담감 감소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그러므로 정신보건의료 환경의 변화로 재원기간이 짧아진 정신분열병 환자

    들을 돌봄에 있어 큰 책임을 가지는 주가족간호자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효율적인 대처를 돕는데 구조적인 전화방문의 활용을 제안한다.

    핵심되는 말 전화방문 정신분열병환자 주가족: ,

  • 1

    I. 서 론

    연구의 필요성1.

    년대부터 전세계적으로 일어난 탈병1960 원화 경향은 병원에서 오랜 기간머무르며 치료를 받았던 많은 정신질환자들을 조기 퇴원시켜 가족과 함께 지역사회에서 머물게 함으로써 퇴원한 환자들을 지역사회에서 돌, 보아야하는 정신질환자 가족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 많은 연구는 정신분열병의 발견과.치료 재활의 전 과정에 환자와 가족간의 관계가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는데 안인경 구체적으로는 정신분열병 환(Schulz et al, 1986: , 1991),자에 대한 가족들의 이해와 그에 따른 대응방식이 퇴원 후 환자의 재발율을떨어뜨리고 김민영 박소라 사회적응도에 영(Liberman, 1995: , 1997: , 1998),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하였다 한금선(Thomson & Doll, 1982:외, 2001).정신분열병환자의 치료 및 재활에의 긍정적 자원으로서의 가족의 중요성이

    정신보건전문가들에게 인식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정신보건법의 제정 및 정신보건전문가 배출과 더불어 지역사회와 임상에서 환자를 돌보는 활동 뿐 아니라 가족들을 위한 도움을 주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가족들을.위한 체계적인 도움을 주기에는 열악한 환경 속에 많은 정신분열병환자 가족들은 환자들을 돌볼 준비를 하지 못한 상태에서 초인적인 인내로 환자를 돌보며 고통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가족들을 임상과 지역사회 현장에서 만나는 정신보건전문가들은 많은 책임과 아쉬움을 경험하게 된다.많은 연구들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은 일차적 보호제공자로서

    환자의 질환 및 행동과 관련하여 가정 및 사회생활 경제적 비용 정서적인, ,제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다고 하였고 이러한 어려움을 가족 부담감(family

    이라는 개념으로 연구해오고 있burden) 다(Grad & Sainsbury 1968; Doll, 19

  • 2

    박선영 양옥경 배세봄 김희정76; Hatfield 1978; 1992; 1995; 1999; 2001).이 가족 부담감이 효율적인 대처를 통하여 적절히 해결되지 않으면 가족원

    각각의 생활 효율성이 저하되고 가족 전체 생활의 균형이 위협 당하게 되어가족원들의 더 큰 스트레스와 불안을 야기시키게 된다 이러한 심각한 스트레.스는 다시 정신분열병 환자를 자극하여 병세를 악화시키는 악순환이 되어 정신분열병 재발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임혜숙( , 1991: Goodman, 1978:Grad

    입원치료 후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정신분열병환자를& Sainsbury, 1963)돌보는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켜 가족들의 스트레스 극복 및 효율적 대처를 돕는 전문적 간호중재가 필요하다.실제로 퇴원 후에 많은 환자들이 퇴원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

    인 정보를 필요로 하며 자신의 자가 간호에 대한 염려를 표현하고(Lee NC &정신분열병 환자와 함께 오랜 기간에 걸쳐 생활하는 가족Anderson, 1998),

    들 또한 정기적이고도 지속적인 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고 하였다 이현(주 외 이주훈, 1996: , 1996).이러한 접근을 위해 최근 미국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전화방문은 퇴

    원 후 환자 및 그 가족을 대상으로 증상이나 합병증 투약의 부작용 등 대상,자의 문제에 대하여 전화로 간호사의 조언 지지 의뢰를 제공함으로써 건강, ,관련 문제를 관리하는 새로운 방법이다(Anastasia, 1997; Mohl D, 1986).전화방문은 언어적 설득으로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가족들의 부족한 지식이

    나 부적절한 대처방법에 대하여 설명해주고 수행에 있어 어려운 점들에 대해,서는 정서적 지지와 더불어 함께 의논하여 가장 적절한 대처방법을 권하며 그것을 할 수 있다는 신념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을 통해 단순히 지식이나 기술,만 제공할 경우 대상자의 행위변화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거나 동기를 유발하여 행위를 촉진시키기는 어려운 점을 보완할 수 있다.전화방문의 효과는 다양한 연구에서 확인되어오고 있다 과. Mermelstein

    는 약 분의 전화상담이 지역사회 내에서 대상자의 고립감Holland(1991) 50감소 및 연결감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isolation) (sense of connection)

  • 3

    하였다 도 지역사회에서 노인을 돌보는 가족을 지지하기 위한. Skipwith(1994)분의 전화상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화중재는 정신과적 간호실무에 적절15 “

    한 영역이며 정신보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통합적 접근방법일 수,있다 고 하였다 이 외에도 환자의 재입원률 감소 우울환자의“ . (Jean, 1994),우울정도 감소 및 자존감 향상 치료만족감 향상, (Lynch et al, 1997;Hunkeler

    정신분열병 환자의 지역사회에서의 삶을 조장하는데 효과적일et al, 2000),수 있다 고 하였는데 이 연구들은 정신간호중재로서 전화방문(Hunter, 1997) ,이 문제 해결 건강교육 정서적지지 등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

    년도 이래 국내에서도 전화방문은 퇴원 환자 및 가족에게 보다 쉽게1990접근할 수 있는 마케팅 도구로서 전망이 좋은 것으로 선정되어 퇴원 환자를,위한 서비스 차원 및 사회적 조류의 일환으로 퇴원 후 전화방문이 빈번히 시행되어졌다 그리고 많은 연구에서 퇴원한 환자의 효율적 자기 관리 및 대처. ,만족도 관리 역할 및 이행 지지 등에서 효과가 있음이 지지되었다, (Donnellyet al 2000; Moore & Krowchuk 1997; Piette et al, Lewis et al, 1983;

    한경Hobbie et al 1993; Nelson 1991; Pasquarello 1990; Tack et al 1990;자 외 조유숙1996; , 2001).그러나 국내 전화방문 관련 연구는 아동간호를 비롯한 비정신과 영역이 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정신간호영역에서는 전화방문간호에 대한 정신질환자. ‘와 가족 간호사의 경험 연구 박혜숙 등 와 국립서울병원의 자체 연구, ’( , 1995),로 전화방문을 통해 개방병동과 폐쇄병동에서 퇴원한 환자의 추후 간호관리‘에 대한 비교연구 김은숙 의 두 사례만 있을 뿐이어서 정신간호 영역’( , 1998)에서의 전화방문 효용성에 대한 연구검토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이들 연구.는 국외 알코올 대상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전화방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수행되었고 현재 다른 국내 정신과 병원에서 퇴원환자와 가족들을 위한 서비스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전화 방문들은 대개 일관된 전화방문 프로토콜 없이이루어지는 경우들이 대부분이거나 전화방문의 효과에 대한 연구보고는 수행,되지 않고 있다.

  • 4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퇴원 후 집에서 거주하는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과 구조화된 전화방문이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퇴원 후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주가족간호자들의 전화방문요구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환자의 퇴원으로 인해 그 가족들이 겪게 되는 부담감을 감소시켜 가족의 효과적 대처를 돕는데 필요한 간호중재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2.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가족을 대상으로한 전화방문이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함이다 본.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들이 겪는 부담감을 확인1)한다.전화방문을 받은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의 부담2)

    감과 전화방문을 받지 않은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주가족간호자의 부담감이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연구 가설3.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전화방문을 받은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의 부담1)감은 전화방문을 받지 않은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주가족간호자의 부담감 정도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5

    용어 정의4.

    정신분열병 환자1)이론적 정의 진단기준에 따라 정신분열병으로 진단 받은 자를: DSM-IV①

    말한다.

    조작적 정의 정신분열병 진단 하에 서울 소재 국립 병원에서 입원 치: S②료 후 집으로 퇴원하는 환자를 말한다.

    주가족간호자2)

    이론적 정의 환:① 자와 동거하며 환자를 주로 돌보는 가족 구성원을 말한다.

    조작적 정의 환자:② 의 동거 가족 중 만 세 이상 세 이하인 자로 많20 65은 시간을 환자와 함께 보내거나 또는 환자를 돌볼 직접

    적인 책임을 지고 이를 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전화방문2)

    이론적 정의 상호 신뢰 관계 하에 전화매체를 활용하여 신속하게 도:①움을 요청하고 도움을 주는 개입의 한 형태를 말한다.

    조작적 정의 본 연구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의:②주가족간호자에게 주 동안 주 회씩 매회 분 동안4 1 15전화하여 질문으로 접근하고 주가족간호자의 문의에 대,해 답하는 것을 말한다.

    가족 부담감3)

    이론적 정의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이 환자의 일차적 보호제공자로서:①환자의 행동 및 상태변화와 같은 상황이나 사건과 관련

  • 6

    되어 경험하게 되는 정서 신체 사회 및 경제적 어려움, ,과 불편감의 정도를 말한다(Zarit, 1980).

    조작적 정의 송현주 가 의 를 토: (1996) Zarit(1985) Burden Interview(BI)②대로 수정 보완하여 활용한 가족의 부담감 도구에 의․해 측정된 점수를 말하여 전체 점수가 높을수록 주가족,간호자가 경험하는 부담감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 7

    문헌고찰II.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부담감1.

    정신분열병의 만성화로 인한 결함을 예방하기위한 년대의 전 세계적1960인 탈병원화 경향은 오랜 기간동안 병원에 머물렀던 많은 정신질환자들을 지역사회로 내보내었고 우리나라에서도 이는 정신보건사업을 촉진시켜 정신분,열병 환자의 비효율적인 장기 입원률을 감소시키고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재,활과 사회복귀를 진작시켜 퇴행을 예방하고 신체 심리 사회적 기능을 촉진,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프로젝트 보고서(UNDP , 1998).그러나 퇴원한 많은 정신분열병 환자는 단기간에 치료되지 않는 질병의 증

    상으로 인해 일상의 스트레스에도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대인관계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또 생활비를 마련하거나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방법 식. ,사를 준비하는 방법 세탁하는 방법 등 생존에 필요한 기술이 결여되어있어,많은 지지와 이해가 필요하다.따라서 가족 내 정신분열병 환자의 발생은 정신질환 특성상 나머지 가족원

    에게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 는 정신질환자 가족들은 신체적. Hatfield(1978) ,심리적 기능 파괴를 경험하고 개인 생활의 효율이 저하되며 가족 생활의 균형을 위협받는다고 하였고 도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가족에게, Liakos(1975)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스트레스가 초래한다고 하였다, , .구체적으로 가족은 늘 집에 있는 환자를 관찰하고 돌보아야하기 때문에 자

    신의 일이나 취미생활 등을 소홀히 하거나 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개인이, .중심이 되는 서구와는 차이가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족 내 정신질환자의 발생은 누군가가 환자의 간호에 매달리게 됨으로써 가정의 일상적 평형상태가 깨어지고 죄의식 상실감 그리고 낙인찍힌다는 느낌까지도 감수하도록 하는 어, ,려움이 있으며 김정숙 결국 많은 정신분열병 환자(Goldman, 1982; , 2001),

  • 8

    가족들이 엄청난 어려움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편견과 지식 부족으로 국가나 사회로부터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한 채 이웃과 사회로부터 격리되어 살아가고 있다.많은 연구들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이 일차적 보호제공자로서

    환자의 질환 및 행동과 관련하여 가정 및 사회생활 경제적 비용 정서적인, ,제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다고 하였고 이러한 어려움을 가족부담감(family

    이라는 개념으로 연구해오고 있다burden) (Grad & Sainsbury 1968; Doll, 197박선영 김소야6; Hatfield 1978; Zarit et al, 1980; Goldman, 1982; 1992;

    자 외 양옥경 배세봄 김희정, 1993; 1995; 1999; 2001).가족부담감에 대하여 등 은 환자를 돌보는 가족이 환자의 행동Zarit (1980)

    이나 상태변화와 같은 상황 및 사건과 관련되어 경험하게 되는 정신 신체, ,사회 및 경제적 어려움과 불편감의 정도라고 하였다 그리고. Goldman(1982)은 환자가 정신병원에서 퇴원하여 집으로 돌아올 때 가족이 경험하는 정서적재정적 긴장으로 환자의 치료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복잡한 문제라고 하였다.

    는 가족원이 환자를 돌보면서 막연하게 느끼는 어떤 두려움Mongomery(1985)이나 죄책감이라고 하였다 은 환자가 신체 정신적 건강상태와 기. Bull(1990) ․능장애 등으로 자기 관리가 힘들고 우울한 상황에서 이들을 돌보는 가족들이인지하는 스트레스라고 하였다.또 과 은 가족부담감을 주관적 부담감과 객관적 부Hoenig Hamilton(1969)

    담감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객관적 부담감은 정신질환으로 인해 초래되는 가,족들의 일상생활이나 대인관계 직업 재정적 측면의 실제적인 어려움을 의미, ,한다 그리고 주관적 부담감은 정신질환자의 비정상적인 행동들로 인해 가족.이 느끼는 상실감 비애 죄책감 불안 등과 같은 심리적인 반응으로서의 정서, , ,적 부담감과 정신질환과 관련된 문제 혹은 증상이나 문제행동을 얼마나 부담스럽게 지각하는지에 대한 지각된 부담을 말한다.이상의 다양한 가족부담감에 대한 정의를 종합해보면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부담감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가족이 환자의 질병 상태나 기능의

  • 9

    변화로 인해 경험하게 되는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으로 요약, , ,될 수 있을 것이다.

    등 은 실제로 정신분열병이 있는 친인척이 정신병원에서 퇴Struss (1975) ․원하여 가족에게로 돌아왔을 때 가족들은 어떠한 내용의 부담을 갖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가족들은 질환발생시의 의학적 위기를 처리하고 예방하는.것 정신분열병 증상을 조절하는 것 의료진의 처방에 따르는 것 타인과의 상, , ,호작용을 정상화하는 것 치료비용을 조절하는 것 질병과정에서 재발을 막는, ,것 등의 역할 감수에 대한 부담을 갖는다고 하였다 그리고 도. Fadden(1987)비록 불평 없이 견디긴 하더라도 사회활동과 여가활동의 제한 가족 수입의,감소 부부관계에서의 긴장 등으로 고통 받으며 상실감과 분노 죄책감을 느, ,낀다고 하였다 또 는 치료자와의 관계에서도 가족들은 부담. Doornbos(1997)을 느낀다고 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치료자와의 의사소통이 부족하거나 가족의참여가 치료자에게 가치 없는 것으로 느껴지는 것 추후관리 부족 환자의 진, ,단 질병 치료방법 및 중재에 관한 지식이 부족함이 부담이 된다고 하였다, , .그리고 가족 스트레스에 관한 많은 연구는 환자가 가정과 지역사회에 복귀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지 못한 상황에서 가족이 환자를 장기간 돌보는 것은 환자 가족들에게 부담감으로 작용된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족들은 환.자의 병적 행동으로 인한 부담 좌절 수치 분노 절망 불안 등의 정서적 부, , , , ,담 치료비 및 가족 수입 감소로 인한 경제적 부담 자유와 여가활동의 제한, ,및 사회적 편견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감을 공통적으로 경험한다고 하였다(Goldman, 1982: Doll, 1976: Fadden, 1987: Lefley, 1987: Arey, Warheit,

    과1980: Thompson Doll, 1982).국내 연구에서도 정신질환자 가족들은 대부분 환자와 관련된 수치심과 죄

    의식 분노 등의 부정적 감정 치료비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경험하였다 박원, , (희 홍순원 김은하 박명희 임혜숙 김명, 1990: , 1993: , 1990: , 1991: , 1991:정 그리고 환자의 치료와 예후에 대한 불확신감 정신건강에 대한 부, 1994). ,정적 태도 박원희 홍순원 등 정보 부족 김은하 사회적( , 1990: , 1993), ( , 1990),

  • 10

    고립 등을 경험하고 친구나 가족과 함께 보낼 시간이 부족하며 신체적 피로,등의 부담감이 높게 인지되어 박명희 임혜숙 김명정 만( , 1991: , 1991: , 1994)성정신질환을 가진 가족원으로 인한 가족 스트레스 및 부담감 정도가 높음을알 수 있었다.이상의 연구들을 볼 때 한 가족 내에서 정신분열병이 발생하여 질병과 치,

    료과정을 거치며 환자로 인해 그 가족들이 겪는 부담감은 신체적 측면 정서,적 측면 사회적 측면 경제적 측면으로 나타난다, , .첫째 신체적 측면에서의 부담감은 환자를 돌보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과,

    육체적 노력으로 인해 겪게 되는 어려움들이다 가족들은 실제로 하루의 많.은 시간을 정신분열병 환자와 함께 지내며 그들의 병적 증상과 행동으로 인해혹은 환자가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일상생활행동을 돕거나 대신하게 됨으로인한 부담감 질병과정이 만성화되면서 과로 피로 등의 문제로 인한 부담감, ,을 높게 인지하고 있다.둘째 정서적 측면에서는 가족내 한 구성원의 정신분열병이 나머지 가족들,

    에게 부정적 감정과 사회적 소외감 자신감 상실 등을 주는 것을 말한다 즉, . ,초기 스트레스 경험 이후 가족들은 거부와 충격 불안 분노 절망 슬픔 우, , , , ,울로 이어지는 정서적 고통을 경험하며 환자의 증상과 발병에 대해 죄책감과공포감을 사회적으로는 수치감과 소외감을 통해 관계의 상실을 겪게 하는데, ,이같이 환자와 사회로부터 이중으로 받는 가족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는결국 가족의 기능 유지에 장애가 된다.셋째 사회적 측면에서는 정신질환자와 가족에 대한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가족들이 느끼는 부담감 환자를 돌보아야 하는 보호자로서의 역할 외에 직장,과 가정내 혹은 다른 사회적 관계에서 가지는 역할을 동시에 해야 하는 역할부담감 환자를 돌보아야 하는 시간적 한계로 인한 사회적 고립 등으로 인한,부담감이다.마지막 넷째는 정신분열병의 만성화로 인한 치료비 지출 부담 및 가족의

    경제적 수입감소로 인해 생기는 경제적 부담감이다.

  • 11

    이러한 가족부담감은 모든 가족에서 같지 않은데 가족 중에서도 환자를,일차적으로 책임 맡고 돌보는 가족이 더 무거운 부담감을 느끼게 된다(Rein-

    인구학적 특성별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학력이 높hard & Horwits, 1995). ,은 경우보다는 낮은 경우에 정신적 고통이 심하고 가족이 환자치료의 동반자,로서 그들의 역할에 대한 필요성은 스스로 높게 인식하는 반면 실제로 퇴원후 지역사회 자원과 연결하고 환자의 치료 및 재활과 관련된 가족의 역할에대해 잘 모르게 되면 가족들은 더 큰 부담을 안게 된다고 하였다 양수 장미( &화 또 보호자의 수입도 부담감의 중요한 예측 요인으로 보고 되고 있, 2002).다 김정숙(Noh & Tuner, 1987; , 2001).그리고 이러한 가족부담감은 가족원의 신체적 안녕과 심리적 안녕에 부정

    적 영향을 미친다 그리(Greenberg et al, 1993: Bibou-Nakou et al, 1997),고 배성일 등 은 정신분열병환자 가족들은 신체적인 질병을 가진 환자(1990)가족보다 수치심과 죄의식을 많이 느끼며 사회접촉을 회피하고 소외감과 외,

    로움을 갖는 빈도가 높다고 하였는데 이는 가족들의 대처양식 또한 비효율적,

    으로 변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King et al, 1985).

    결국 한 가족원의 정신분열병 발병이라는 위기로 인해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의 부담감이 높을수록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적응행동과 대응방법의 중요성은 높아지게 되므로 지역사회에서 환자를 돌보는,가족들의 부담감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해결하도록 도움으로써, 환자의 발병초기에 가졌던 치료에 대한 가족들의 열의를 회복시키고 가족관계의 장점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Browns, 1995).

  • 12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요구과 전화방문2.

    1)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서비스 요구

    퇴원한 만성정신질환자가 적응해야 할 가장 일차적인 환경이자 지지체계인가족의 환자에 대한 이해와 그에 따른 대응방식은 퇴원 후 환자의 재발율과사회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Thomson & Doll, 1982).따라서 정신분열병 환자의 치료 및 재활에 있어서 가족에 대한 개입은 필

    수적이라 할 수 있으며 가족들의 현 상태와 욕구에 맞게(Goldstein, 1986),구체적으로 이뤄져야 한다.정신질환의 특성상 환자의 질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가족들은 환자의 정

    신증적 증상을 많이 경험하게 되지만 실제로 대다수의 환자가족들이 적절한시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대처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환자의 질병이 오랜기간에걸쳐 더욱 악화되거나 가족의 정신적 부담이 매우 증가하게 된다(Bellack,

    이는 환자의 가장 일차적인 보호체계라 할 수 있는 가족에게 있어 매1989).우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문제이며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들은 질병이 만성화,되어감에 따라 상이한 문제에 직면하며 또한 그 문제의 해결을 위해 다양한전문적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된다.이러한 전문적 도움에 대한 가족들의 요구의 내용에 대한 국외 연구결과를

    보면 가족들은 증상에 대한 지식과 실체적인 증상관리에 대한 요구가 가장,많았고 환자를 간호하는 명료하고 사실적인 기술 습득을 필요로 하였다,

    등 그리고 과 은 정신질(Hatfield, 1979: Solomon , 1988). Holen Lewin(1982)환자 가족이 치료진에 대하여 느끼는 불만족의 일차적인 근원이 질병에 대한정보와 대처방법에 대한 정보제공의 부족이라고 지적하였으며 가족이 치료진,에 대해 특히 요구하는 것은 환자 관리 방법에 대한 충고나 정보였으며 단순한 안심이나 격려가 아닌 실질적인 치료와 지지에 대한 요구가 높다고 보고하였다 김소야자 외( , 1993).

  • 13

    사례관리자들이 환자 명을 대상으로 어떤 도움을 필요로 하는지를 조1400사한 등 의 연구에서도 이상의 환자가 정신병약물 추후관리Ford (1992) 40% ,행동조절 및 제한 사회화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 환자의 가정경제 관리 가운, , ,데 적어도 가지 이상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고 하였고 낮치료 프로그램과 약1 ,물관리 사회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퇴원 환자 가족의, .당면 문제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직장유지 직업 구하기 정서 조절의 어려움, , ,이웃과의 관계유지 등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가족요구도 조사에서는,증상에 대한 지식과 실체적인 증상관리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환자를어떻게 간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료하고 사실적인 설명을 필요로 한다고 하였다.

    도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들이 불가항력의 압도적Saunders & Byrne(2002)

    감정 치료약물의 중요성 법적 제도에의 접근상의 어려움 가족과 친구 중심, , ,

    의 사회적 지지의 유익성 가족과 정신보건 전문가들의 협력적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경험하며 이들에 대한 해결과 증진에 대한 욕구를 가진다고 하였다.

    그리고 가족들이 원하는 서비스의 방법적 접근측면에서 Doornbos(2002)는 가족들은 정보와 조언 확인 존중 비판단적 접근 지속성 정신전문가와, , , , ,의 일대일 관계 주의깊은 의사소통 개별적 접근을 바란다고 하였다, , .국내 연구로 노현주 는 일지역 정신과 퇴원 환자 및 가족의 정신건강(1998)

    요구 조사연구에서 정신질환자 가족은 질병이나 약물 증상에 관한 교육 요구,가 가장 높고 간호방법 가족지지 및 모임 정서적 지지도 원한다고 하였다, , , .그리고 이현주 오병헌 은 정신분열병 환자와 함께 오랜 기간에 걸(1996)․

    쳐 생활하는 가족들은 정기적이고도 지속적으로 환자의 정신증적 증상 및 음주나 흡연 기타 유해한 약물남용시의 적절한 대처방법과 관련한 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환자의 사회 재적응 및 재활과 관련해.서 보다 현실적이고 냉정한 관점에서 환자의 사회적 기능정도를 이해하고자한다고 하였고 환자의 현 사회적 기능정도에 알맞는 직업상담과 취업알선을,주요한 전문적 도움의 하나로 요구하였으며 이 외에도 대인관계에 대처하는,

  • 14

    방법 장기간의 거주 시설 기관의 소개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제공 등에 대, , ,한 도움을 필요로 한다고 보고하였다.이주훈 도 서울시 일 지역사회 거주 환자와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정(1996)

    신 건강요구 조사연구에서 경제적 부담의 경감 교육 및 정보제공 가정방문, , ,위기개입 환자권익향상 사회복귀서비스 직업재활 여가활용시설 사회적 계, , , , ,몽 등에 요구도가 높다고 하였다.종합해 볼 때 국내에서도 정신질환자 가족들이 원하는 서비스 내용은 질병

    이나 약물 증상에 관한 교육 및 정보 요구가 가장 높았고 간호방법 가족지, , ,지 및 모임 정서적지지 경제적 부담의 경감 가정방문 위기개입 환자권익, , , , ,향상 사회복귀 서비스 직업재활 여가활용시설 사회적 계몽 등에 요구도가, , , ,높았다 노현주 이현주외 이주훈 또한 환자의 정신증적( , 1998: , 1996: , 1996)증상 및 음주나 흡연 기타 유해한 약물남용시의 적절한 대처방법과 관련한,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고 하였고 보다 현실적이고 냉정한 관점에서 환,자의 사회적 기능정도를 이해하여 환자의 현 사회적 기능 정도에 알맞는 직업재활 및 상담 취업알선을 요구한다고 하였으며 이외에도 장기간의 거주 시, ,설 기관의 소개 사회적 편견극복에 대한 도움을 필요로 하였다 그리고 이러, , .한 서비스가 정기적이고도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지기를 원했다.이러한 국내외 연구들을 살펴볼 때 최근 가족들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있,

    지만 국내외에서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들의 요구는 공통되는 부분이 있다 먼.저 내용적 측면에서 환자 가족들은 질환 관련 교육과 구체적인 생활 문제에대한 구체적인 대처방법에 대한 정보요구가 높고 또한 방법적 측면에서는 보,다 개별적이고 지속적이며 주의 깊은 접근을 바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는 이용 가능한 지역사회정신보건서비스가 부족하고 또한 지역사회 정,

    신보건전달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못한 우리나라의 정신질환자 가족에게 더 절실한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되며 또한 서구 선진국에 비해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의 뿌리가 깊은 우리나라 정신질환자 가족들이 사회계몽에 대한 요구를 가지는 것도 주목할 부분으로 여겨진다.

  • 15

    2) 전화방문

    정신질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부담감이 적절히 해결 되지 않으면 가족원각각의 개인생활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가족전체 생활의 균형이 위협당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가족원들의 더 큰 스트레스와 불안을 야기시키며 이러한 가족의 반응이 다시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악순환이 되어 정신분열병 재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임혜숙( , 1991: Goodman, 1978: Grad & Sainsbury,1963).

    와 은 이러한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Ferris Mashall(1987)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가족들은 관련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교육적 요소를 포함하는 단기 정신교육적 접근은 가족의 정서,적 부담이나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환자에 대한 가족의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유도하는 등 의 효과가 있다고(Abramowitz et al, 1989: Smith et al, 1987)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수많은 정신보건전문가들이 정신질환자와 가족을.대상으로 임상과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형태의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그러나 은 실제로 퇴원 후에 많은 환자들이 퇴Lee NC & Anderson(1998)

    원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인 정보를 필요로 하며 자신의 자가 간호에 대한 염려를 갖고 있다고 하였고 정신분열병 환자와 함께 오랜 기간에,걸쳐 생활하는 가족들 또한 정기적이고도 지속적인 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한다고 하였다 노현주 이현주 외 이주훈( , 1998: , 1996: , 1996).그런데 는 교육을 통해 단순히 지식이나 기술만 제공할 경Bandura(1986)

    우 대상자의 행위변화를 가져올 수는 있으나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거나,동기를 유발하여 행위를 촉진시키기는 어렵다고 하며 자기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언어적 설득을 제시하고 있다.그러므로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지속적인 행위변화와 동기화

    를 조성하는 데는 가족들의 부족한 지식이나 부적절한 대처방법에 대한 쉬운설명에 더하여 수행상의 어려운 점이나 문제들에 대해서는 정서적 지지와 더,

  • 16

    불어 함께 의논하여 가장 적절한 대처방법을 권하며 그것을 할 수 있다는 신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며 전화방문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켜주는 하나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전화방문은 시간과 비용 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어 서비스

    제공자가 보다 많은 대상자와 접촉할 수 있고 또한 전화통신매체의 발달로,서비스 제공자와 대상자 모두에게 시간과 공간적으로 접근성이 높은 방법이며 이로 인해 보다 대상자가 직면한 현재 문제 상황에 민첩한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는 잇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전화는 환자와 가족에게 도움을 제공하기.위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로서 환자와 가족 의료제공자 간의, ,중요한 의사소통 통로 중 하나이며 정보화시대에 의사전달수(Nelson, 1991),단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또한 가장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므로 전화방문은 정신분열병으로 급성기 증(Boeman, 1994).상치료 후에 퇴원하여 의학적 간호학적 지지가 부족한 가족에 의해 간호를,받게 되는 환자와 가족에게 적합한 지지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이러한 장점으로 전화를 이용한 간호중재는 Telephone intervention, Tele

    등으로 불리워-phone counseling, Telephone Follow-up, Telephone Call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전화방문 이라 통칭한다, (Telephone Coaching) .간호학에서 전화방문에 대한 첫 언급은 이 전화중재King (Telephone inter-

    는 사례발견과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한데서 시작되었고vention)박은숙 역 현재 미국을 비롯 여러 나라에서 전화방문의 정의 범위( , 1992), , ,책임 윤리 전문가 자격과 역할 효과 등에 관한 기틀을 다지기 위한 연구들, , ,이 계속되고 있다.전화방문은 그 잇점으로 인해 다양한 성인 질환군과 소아 환자 가족에게

    이루어져 수술후 환자의 효율적 자가 관리 및 대처 역할 및 이행 지지 등에,서의 효과가 증명되었고(Donnelly et al, 2000: Moore & Krowchuk, 1997:Lewis et al 1983: Hobbie et al, 1993: Nelson, 1991: Pasquarello, 1990:

    한경자 외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한 전화상담연구Tack et al, 1990: , 1996),

  • 17

    도 계속 보고되고 있다.과 는 약 분 가량의 전화방문이 지역사회내에Mermelstein Holland(1991) 50

    서 대상자의 고립감 감소 및 연결감 증진에(isolation) (sense of connection)효과가 있음을 보고 하였다 도 지역사회에서 노인을 돌보는. Skipwith(1994)가족을 지지하기 위한 분의 전화방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화방문은 정15 “신과적 간호실무에 적절한 영역이며 정신보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통합적 접근방법일 수 있다 고 하였고 의 연구에서도 전화방문 서“ , Jean(1994)비스가 환자의 재입원률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 등. Lynch (1997)은 경미한 우울환자의 가족문제해결치료를 전화방문으로 제공한 결과 전화방문을 받은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우울정도가 감소되고 자존감 정도가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등 도 항우울약물치료의 보조중재 수단. Hunkeler (2000)으로 전화방문을 한 결과 전화방문을 받은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우울정도가 유의하게 더 낮고 치료에 대한 만족감은 더 높다고 하였다 그리고 정신, .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한 의 사례연구에서도 진취적인 전화 지Hunter(1997)지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지역사회에서의 삶을 조장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고제안하였는데 이러한 연구들은 문제해결 건강교육 정서적 지지 등이 전화를, , ,통해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년도 이래 국내에서도 전화방문은 퇴원 환자 및 가족에게 보다 쉽게1990접근할 수 있는 마케팅 도구로서 전망이 좋은 것으로 선정되어 퇴원 환자를,위한 서비스 차원 및 사회적 조류의 일환으로 퇴원 후 전화방문이 빈번히 시행되어졌다 그리고 많은 연구에서 퇴원한 환자의 효율적 자기 관리 및 대처. ,만족도 관리 역할 및 이행 지지 등에서 효과가 있음이 지지되었다 한경자 외, (

    조유숙1996; , 2001).현재 우리나라에서 퇴원한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한 전화방문

    서비스는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는 지역사회 중심의 접근이다 즉. .정신보건사업의 일환으로 정신보건센터 및 보건소를 거점으로 정신보건전문요원에 의해 정신질환자 및 가족 관리 차원에서 제공되어 지는 전화방문 서비스

  • 18

    이다 둘째 병원 중심의 전화방문은 퇴원환자 및 낮병원 환자를 대상으로 추.후관리 서비스 차원에서 제공되어지는 서비스이다.그러나 국내 전화방문 관련 연구는 아동간호를 비롯한 비정신과 영역이 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정신간호영역에서는 전화방문간호에 대한 정신질환자, ‘와 가족 간호사의 경험 연구 박혜숙 등 와 국립서울병원의 자체 연구, ’( , 1995)로 수행된 전화방문을 통해 개방병동과 폐쇄병동에서 퇴원한 환자의 추후 간‘호관리에 대한 비교연구 김은숙 의 두 사례만 있을 뿐이어서 정신간호’( , 1998)영역에서의 전화방문 효용성에 대한 연구검토가 부족한 실정이다.그리고 이들 연구는 국외 알코올 대상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전화방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행되었고 현재 다른 국내 정신과 병원에서 퇴원환자와가족들을 위한 서비스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전화 방문들이나 정신보건센터 및보건소에서 이루어지는 전화방문 또한 대개 일관된 전화방문 프로토콜 없이이루어지는 경우들이 대부분이다.또한 전화방문의 효과에 대해 이상의 연구결과는 국외연구결과와는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박혜숙 등 은 전화방문에 대한 환자와 보호자의. (1995)경험이 차이가 난다고 보고하였다 환자들은 주로 전화방문에 대해 주로 싫. ‘다 짜증난다 형식적이다 도움이 되지 않는다 라고 부정적인 반응을 한’, ‘ ’, ‘ ’, ‘ ’경우가 많고 신경 써주는 것 같다 혹은 도움이 된다 라고 대답한 경우는 적‘ ’ ‘ ’은 반면 가족들의 경험은 좋다 도움이 된다 지속적인 것을 원한다 등의, ‘ ’, ‘ ’, ‘ ’긍정적 반응이 많았다 김은숙 의 국립서울병원 자체연구에서도 정도의. (1998)차이가 있을 뿐 전화방문에 대한 환자들의 부정적 반응과 이와 상반된 가족들의 긍정적 반응 결과는 지지되었다.그러므로 제도 및 정신질환자들의 탈병원화로 인한 퇴원 환자의 추후DRG

    관리와 위기환자 관리에 대한 가족들의 전화상담 요구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요즘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을 위한 간호중재로서 전화방문의 효,용성에 대한 검증이 더욱 필요하다 할 것이다.

  • 19

    연 구 방 법III.

    연구 설계1.

    본 연구는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를 대상으로한 전화방문의 효과를 가족 부담감의 변화로써 검증하는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 이다(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

    사전조사 실험처치 사후조사실험군 Ye1 X Ye2대조군 Ye1 Ye2

    사전검사 가족 부담감Ye1 :․사후검사 가족 부담감Ye2 :․실험처치 전화방문X :․

    연구 대상자 및 표집방법2.

    본 연구의 모집단은 정신분열병 환자와 함께 지역사회 내에 거주하며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이며 본 연구에서는 년 월 일부터 월, 2004 7 29 10 30일까지 서울 소재 국립 병원에서 정신분열병 진단 하에 입원치료를 받은 후S집으로 퇴원하는 환자 가족으로서 아래 선정기준에 의해 표집된 가족 중 연구목적과 참여방법을 설명 듣고 동의한 자를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 20

    선정기준 연령이 세 사이: 20~70①청각장애로 인한 구두표현 및 이해에 장애가 없는 사람②환자의 실질적 보호자로서 책임을 느끼는 가족구성원③

    연구대상자 수는 총 명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선정은 무작위할당을 위해60 ,서 첫 대상자에게 구두 동의 후 제비를 뽑게 하여 첫 번째 그룹을 선정하였으며 그 다음부터는 퇴원 순서에 따라 두 그룹에 차례로 배정하였다.이 중 연구의 최종 참여자는 명으로 실험군 명 대조군 명 이었다51 25 , 26 .명이 탈락하였으며 탈락 원인은 주가족간호자의 사정으로 연락불가 명9 , (3 ),환자의 재입원 명 시설입소 명 환자 및 주가족간호자의 거부 명 등 이(2 ), (2 ), (2 )었다.

    연구도구3.

    가족의 부담감 척도1)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송현주 가 정신분열병환자 부모를 대상으로한(1996)연구에서 의 를 토대로 가족의 부담감을 스트Zarit(1985) Burden Interview(BI)레스 좌절 분노의 감정으로 측정한 도구를 활용하였다, , .도구는 총 문항으로 고안되었으며 각 문항에 대하여 전혀 그렇지 않22 , ‘

    다 거의 그렇지 않다 꽤 자주 그렇다 거의 언제나 그렇다 으로 표시하’, ‘ ’, ‘ ’, ‘ ’게 하는 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전체점수가 높을수록 가족이 경험하는 부4 ,담감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이었다Cronbach's Alpa .76

  • 21

    일반적 특성2)

    일반적 특성내용은 주가족간호자의 특성과 환자의 특성을 포함하였다.주가족간호자의 일반특성으로는 환자와의 관계 성별 나이 결혼상태 종, , , ,

    교 교육상태 직업 경제상태 동거가족 수 등을 조사하였다, , , , .환자의 일반특성으로는 성별 나이 결혼상태 교육상태 입원회수 유병기, , , , ,

    간 진단명 정신질환 가족력 등을 조사하였다, , .

    실험처치 전화방문4. :

    프로토콜 개발1)

    전화방문 프로토콜은 정신질환자 가족의 요구도를 조사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가족들의 문의내용 분석 문의내용 및 요구 목록화 문헌고찰 예비 프로, , ,토콜 개발 예비프로토콜에 의한 전화방문 예비조사 실시 수정 및 보완의 단, ,계를 거쳐 마련하였다.구조화된 전화중재를 위해 먼저 가족간호자에게 질문을 통해 접근하고 전

    화방문 내용을 기록하는 전화방문 기록지와 주가족간호자의 실제적 문의 및호소문제에 일관성 있게 응대하기 위한 전화방문 자료집을 마련하였다.전화방문 기록지는 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전화방문Beebe(2002)

    중재 때 사용하였던 프로토콜과 가 알코올 문제를 가진Jean & Nancy (1994)환자와 가족의 추후관리를 위해 전화방문시 사용하였던 프로토콜을 본 연구의목적에 맞게 수정보완 하였다 부록 참조( 2 ).전화방문 자료집은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정신분열병환자를 돌

    보는 가족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족의 정신분열병에 대한 지식 및 대처방법에 대한 정보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정리하였다 부록 참조( 3 ).

  • 22

    표 전화방문 자료집 내용< 1>

    그리고 본 연구에 활용하기에 앞서 현실적합성을 시험하기 위해 전화방문기록지와 자료집을 사용하여 미리 명의 주가족간호자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2실시하였다.예비조사 결과 기록지의 질문내용이 모호하여 대상자의 답변내용이 중복되

    는 문제가 발견되어 국립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화방문 기록지를 참고로, S하여 질문내용을 치료이행 생활적응 증상과 대처 약물부작용 차기“ ”, “ ”, “ ”, “ “,방문 약속 으로 기록지의 질문내용을 범주화하여 명료화하였다” .

    실험처치2)

    본 연구의 전화방문은 사전조사 후 주 간격으로 주 동안에 걸쳐 실시하1 4였으며 회 전화방문의 소요시간은 약 분 이었다1 15 .실험처치 기간을 주로 설정한 것은 박혜숙 등 과 김은숙 의4 (1995) (1998)

    연구에서는 모두 첫 한 달 동안 주 회씩 전화방문을 제공하고 이후 개월1 1

    범 주 내 용

    정신분열병 이해1.

    정신분열병의 원인 증상 경과 및 예후, ,재발 증상과 징후

    정신분열병의 치료 약물치료의 부작용과 대처,

    문제상황과 대처2.

    투약거부의 대처공격행동의 대처

    자살행동의 관찰과 대처조증행동의 대처

    위기상황 예측과 대처문제행동에 대한 일반적 대처

    지역사회 자원3. 지역사회 자원 소개 및 활용

  • 23

    및 개월에도 전화방문을 제공한 결과 환자의 가족들이 제공받은 전화방문에6 ,대해 좋다 도움이 된다 지속적으로 원한다 등 긍정적 반응을 보고하“ ”, “ ”, “ ”였다고 하였으나 본 연구의 예비조사에서는 한 달 이상의 지속적인 전화방문유지를 대상자들이 부담스러워한 것에 근거한 것이다.수행은 급 정신보건전문요원으로서 정신보건센터와 사회복지시설 정신과2 ,

    병동 낮 병원의 근무 경험이 있는 본 연구자가 직접 수행하였다, .첫 전화방문은 퇴원 후 주일 이내에 시행되는 연구조사자의 사전조사에서1

    약속된 전화방문 예정일 및 시각에 두 번째 이후로는 연구자와의 이전 전화,방문에서 약속한 전화방문 예정일 및 시각에 연구자가 전화하여 본 연구의 전화방문 프로토콜에 따라 질문과 응대를 하고 그 내용을 기록하였다.

    자료수집 절차5.

    연구진행을 위해 연구자는 서울 소재 국립 병원 간호과를 방문하여 본 연S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먼저 구두 협조를 얻은 후 간호과의 도움으로,일반정신과장 의료부장 병원장을 통한 연구협조승인 절차를 거쳐 서면 연구, ,승인을 구하였다 그리고 정신분열병 환자가 입원치료를 받는 개 정신과 병. 7동을 방문하여 수간호사 및 병동 간호사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고 자료수집을 위한 협조를 구하였다.자료수집은 년 월 일부터 월 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자는2004 7 29 10 30 .

    국립 병원 간호부에 대기하였다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퇴원 수속을 위해 가족S이 내원하면 병동의 전화연락을 통해 병동에서 보호자 면담을 하였다 면담을.통해 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먼저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설명하여 구두동의를 구한 후 구두 동의가 있으면 그룹별로 차별화하여 준비,한 서면 동의서를 통해 연구 참여 방법을 설명하고 연구 동의를 구하였다.

  • 24

    사전 사후조사는 연구자에 의해 훈련된 연구조사자 인이 전화를 통해 실1․시하였다 사전 조사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환자 퇴원 후 주 내에 연구조. 1사자가 실시하였다 사후조사는 실험군은 연구자가 사전조사 이후 주간 주. 4 1회씩 제공하는 전화방문 종료 후 주 내에 대조군은 퇴원 후 사전조사 이후1 ,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주 내에 사전조사의 동일 연구조사자가 전화를 통해4 1시행하였다.

    자료분석방법6.

    본 연구 결과 분석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SPSS 12.0였고 이 외에 전화방문 내용을 추가분석하였다, .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관련 특성은 실수1)와 백분율로 구하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집단 동질성은 와, X²-test

    로 검증하였다Independent t-test .가설검증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후 가족 부담감 평균을 로2) ANCOVA

    검증하였다.

  • 25

    결과IV.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1.

    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는 총 명 실험군 명 대조군 명 이었으며 두51 ( 25 , 26 ) ,

    군의 동질성 검증은 주가족간호자의 특성과 환자 및 질병관련 특성 비교로 이

    루어졌다.

    주가족간호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환자와의 관계에서는 실험군과 대조

    군이 각각 명 명 으로 모두 부모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18 (35.3%), 20 (39.2%) .

    그 다음은 배우자인 경우가 많았는데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명 이 이에5 (9.8%)

    해당하였으며 그 외 가족관계로는 실험군은 조모와 형제자매인 경우가 명, 2․이었고 대조군은 형제자매인 경우가 명 이었다(3.9%) , 1 (2.0%) .․

    성별에 있어서 실험군은 남자 명 여자 명 이었고 대조10 (19.6%), 15 (29.4%)

    군은 남자 명 여자 명 으로 나타났다6 (11.8%), 20 (39.2%) .

    연령은 실험군은 세가 명 로 가장 많았고 대조군은 세 이51~60 11 (21.6%) 61

    상이 명 으로 가장 많았다 평균 연령 비교에서 실험군의 평균연령은13 (25.5%) .

    세 대조군의 평균 연령은 세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평균 연령이53.1 , 56.65

    낮았게 나타났다.

    결혼 유형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기혼인 경우가 많았는데 실험군에

    서는 명 이 대조군은 명 이 기혼자였으며 기타로 응답한 경17 (33.3%) , 20 (39.2%)

    우는 이혼 사별 별거의 경우이었다, , .

    종교에 있어서는 종교를 가진 경우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명 으17 (33.3%)

    로 종교를 가지지 않은 경우보다 많았다.

    교육수준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고졸이 각각 명 명14 (27.5%), 13․으로 가장 많았으나 그 다음 순으로는 실험군에서는 초졸 이하인 대(25.5%) ,

    상자 명 보다 대졸 이상 명 의 대상자가 많은 반면 대조군에서(4 :7.8%) (7 :13.7%) ,

    는 초졸 이하의 대상자 명 가 대졸 이상의 대상자보다 월등히 많아(11 :21.6%) (2

  • 26

    명 두 군의 교육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3.9%)

    다(x²=0.03, p=0.048).

    직업유무에서 실험군의 명 과 대조군 명 모두 직업이 있16 (31.4%) 14 (27.5%)

    다고 답해 두 군 모두 직업을 가진 경우가 많았으나 대조군은 직업이 없는,

    경우도 명 이나 되었는데 이는 대조군이 세 이상이 노령군이 많아12 (23.5%) 65

    은퇴 혹은 실직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제상태에서는 실험군은 월수입이 약 만원 만원인 중상태인 경우150 ~ 300

    가 명 으로 중상태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대조군은 중상태18 (35.3%) , (13

    명 와 하상태 명 에 골고루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25.5%) (11 :21.6%) .

    평균 동거 가족수에서 실험군은 명 대조군은 으로 나타났다2.52 , 2.38 .

    이상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서 두 군의 교육수준이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제외한(x²=0.03, p=0.048),

    성별 연령 결혼유형 종교 직업유무 경제상태 동거가족 수에서 두 군은, , , , , ,

    유의수준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군의p

  • 27

    적으로 많은 반면 대조군은 이혼 별거로 응답한 기타를 포함한 기혼의 비율, ,

    이 명 로 기혼인 환자를 돌보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11 (21.5%) .

    환자의 평균 입원회수는 실험군은 회 대조군은 회로 실험군의 평4.98 , 4.54

    균입원회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환자의 평균 유병기간에 있어서는,

    실험군이 년 대조군이 년으로 대조군의 환자 유병기간이 더 긴 것으8.4 , 8.85

    로 나타났다.

    환자의 유병기간은 전체적으로 년 미만이 로 다수를 차지하였으며10 64.7%

    이 중 실험군은 년 이상 년 미만인 경우가 명 으로 가장 많았고1 ~ 5 9 (17.6%) ,

    대조군은 년 이상 년 미만인 경우가 명 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6 ~ 10 10 (19.6%)

    나타났다.

    환자의 진단에서는 편집형이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가장 많았으나 각각( 11

    명 명 실험군에서는 편집형 외에 잔류형 명 이 그:21.6%, 16 :30.8%), (8 :15.7%)

    다음으로 많았던 반면 대조군에서는 분열정동형 명 이 그 다음으로 많(6 :11.8%)

    았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환자 및 질병관련 특성에서 두 군은 동계적 유의수준

    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p

  • 28

    표 주가족간호자의 일반적 특성< 2-1>

    특성 구분계(n=51) 실험군(n=25) 대조군(n=26)

    χ2

    pn(%) n(%) n(%)

    환자와의 관계 부모 38(74.5) 18(35.3) 20(39.2) 3.08 .378

    배우자 10(19.6) 5(9.8) 5(9.8)

    기타 3( 5.9) 2(3.9) 1(2.0)

    성별 남 16(31.4) 10(19.6) 6(11.8) 1.69 .193

    녀 35(68.6) 15(29.4) 20(39.2)

    연령 세( ) 세31 ~ 40 5( 9.8) 2(3.9) 3(5.9) 6.02 .110

    세41 ~ 50 11(21.6) 7(13.7) 4(7.8)

    세51 ~ 60 17(33.3) 11(21.6) 6(11.8)

    세 이상61 18(35.3) 5(9.8) 13(25.5)

    결혼유형 미혼 3( 5.9) 2(3.9) 1(2.0) 0.64 .569

    기혼 37(72.5) 17(33.3) 20(39.2)

    기타 11(21.6) 6(11.8) 5(9.8)

    종교 유 34(66.7) 17(33.3) 17(33.3) 0.03 .843

    무 17(33.3) 8(15.7) 9(17.6)

    교육수준 초졸이하 15(29.4) 4( 7.8) 11(21.6) 6.06 .048

    중고졸 27(52.9) 14(27.5) 13(25.5)

    대졸이상 9(17.6) 7(13.7) 2(3.9)

    직업 유 34(66.7) 16(31.4) 14(27.5) 0.54 .461

    무 17(33.3) 9(17.6) 12(23.5)

    경제상태 상 만원이하 월(300 / ) 5( 9.8) 3(5.9) 2(3.9) 4.25 .119

    중 만원 월(150-300 / ) 31(60.8) 18(35.3) 13(25.5)

    하 만원이하 월(150 / ) 15(29.4) 4(7.8) 11(21.6)

    동거 가족수 명1 10(19.6) 5(9.8) 5(9.8) 1.56 .668

    명2 18(35.3) 7(13.7) 11(21.6)

    명3 13(25.5) 8(15.7) 5(9.8)

    명이상4 10(19.6) 5(9.8) 5(9.8)

  • 29

    표 주가족간호자가 돌보는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 2-2>

    특성 구분계(n=51) 실험군(n=25) 대조군(n=26)

    χ2

    pn(%) n(%) n(%)

    정신질환 가족력 유 22(43.1) 11(21.6) 11(21.6) 0.01 .903

    무 29(56.9) 14(27.5) 15(29.4)

    환자 성별 남 28(54.9) 15(29.4) 13(25.5) 0.51 .473

    녀 23(45.1) 10(19.6) 13(25.5)

    환자 연령 세( ) 21 ~ 30 21(41.2) 11(21.6) 10(5.9) 6.02 .110

    31 ~ 40 17(33.3) 9(17.6) 8(15.7)

    세이상41 13(25.5) 5(9.8) 8(15.7)

    환자 교육상태 초졸 5(29.4) 3(5.9) 2(3.9) 4.29 .231

    중고졸 37(72.5) 18(35.3) 19(37.2)

    대졸이상 9(17.6) 4(7.8) 5(9.8)

    환자 결혼상태 미혼 33(64.7) 18(35.3) 15(29.4) 5.33 .149

    기혼 13(25.5) 6(11.8) 7(13.7)

    기타 5(9.8) 1(2.0) 4(7.8)

    환자 입원회수 회 회1 ~3 20(39.2) 8(15.7) 12(57.7) 2.42 .490

    회 회3 ~5 15(29.4) 9(17.6) 6(30.8)

    회 회6 ~9 7(13.7) 3(5.9) 4(11.5)

    회 이상10 9(17.6) 5(9.8) 4(11.5)

    환자 유병기간 년 년1 ~5 16(31.4) 9(17.6) 7(13.7) 0.99 .803

    년 년6 ~10 17(33.3) 7(13.7) 10(19.6)

    년 년11 ~15 7(13.7) 4(7.8) 3(5.9)

    년 이상15 11(21.6) 5(9.8) 6(11.8)

    환자 진단 편집형 27(52.9) 11(21.6) 16(30.8) 4.90 .179

    분열정동형 10(19.6) 4(7.8) 6(11.8)

    잔류형 10(19.6) 8(15.7) 2(3.9)

    미분화형 4(7.8) 2(3.9) 2(3.9)

  • 30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의 가족부담감2.

    퇴원한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의 문항별 가족부담감 정도를 보기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표< 3>.전체 주가족간호자의 가족부담감 평균점수는 이었고 실험군은2.63 ± .30 ,

    대조군은 이었다2.60 ± .31, 2.67 ± .29 .그리고 간호자의 가족부담감 수준을 보았을 때 전체 주가족간호자의 부담

    감 수준이 가장 높은 문항은 로 환자는 나에게 의존한다 이었고 가장3.49 “ ” ,낮은 문항은 로 환자는 나에게 필요이상의 요구를 한다 이었다2.12 “ ” .가족부담감 평균점수 을 기준으로 각 군별 부담감이 높은 순으로 살펴3.0

    보면 실험군은 환자는 나에게 의존한다 환자는 나를 자신이 유일하‘ (3.64)’, ‘게 의지하는 사람으로서 돌봐주기를 바란다 환자의 미래가 걱정된다(3.32)’, ‘

    환자가 친척이나 친구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3.20)’, ‘ (3.04)’순이었다.이에 비해 대조군에서는 환자의 미래가 걱정된다 가 가장 높은 부담‘ (3.42)’

    감 항목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환자는 나에게 의존한다 환자가 친, ‘ (3.35)’, ‘척이나 친구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 환자는 나를 자(3.06)’, ‘신이 유일하게 의지하는 사람으로서 돌봐주기를 바란다 순이었다(3.04)’ .반면에 가장 낮은 정도의 가족부담감은 실험군에서는 환자와 함께 있으면‘

    피곤하다 대조군에서는 환자가 필요 이상의 요구를 한다 로 나(2.27)‘, ‘ (2.12)’타났다.전화방문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가족부담감 비교에서 두 군은 동계적 유의

    수준 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이 동질한 것p

  • 31

    표 사전 주가족간호자의 가족부담감< 3>.

    항 목계(n=51)

    실험군

    (n=25)

    대조군

    (n=26) t p

    M(SD) M(SD) M(SD)

    가족 중 환자는 필요이상의 요구를1.

    한다

    2.12 (0.73) 2.20 (0.64) 2.04 (0.82)

    환자와 함께 있기 때문에 나 자신을2.

    위한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한다

    2.59 (0.72) 2.60 (0.76) 2.58 (0.70)

    가정과 직장에 대한 책임과 환자를3.

    돌보는 것 사이에서 스트레스를 느낀다

    2.45 (0.75) 2.44 (0.65) 2.46 (0.85)

    환자의 행동 때문에 난처할 때가 있4.

    2.73 (0.56) 2.68 (0.62) 2.77 (0.51)

    환자와 함께 있을 때 화가 날 때가5.

    있다

    2.25 (0.68) 2.20 (0.57) 2.31 (0.78)

    환자가 친척이나 친구관계에 부정적6.

    인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

    3.06 (0.85) 3.04 (0.97) 3.06 (0.74)

    환자의 미래가 걱정 된다7. 3.31 (0.73) 3.20 (0.86) 3.42 (0.57)

    환자는 나에게 의존 한다8. 3.49 (0.61) 3.64 (0.49) 3.35 (0.68)

    환자와 함께 있으면 피곤해진다9. 2.27 (0.69) 2.12 (0.52) 2.42 (0.80)

    환자를 돌보느라고 내 건강이 저하되10.

    었다

    2.41 (0.85) 2.36 (0.86) 2.46 (0.85)

    환자로 인해 나 혼자만의 시간을 갖11.

    는 것이 어렵다

    2.31 (0.70) 2.24 (0.72) 2.38 (0.69)

    환자로 인해 나의 사생활 중 많은 부12.분이 저해 받는다

    2.31 (0.67) 2.20 (0.64) 2.42 (0.70)

    환자로 인해 집으로 친구들을 초대하13.

    는 것이 불편하다

    2.80 (0.87) 2.76 (0.97) 2.85 (0.78)

    환자는 나를 자신이 유일하게 의지하14.

    는 사람으로서 돌봐주기를 바란다

    3.18 (0.81) 3.32 (0.80) 3.04 (0.82)

    생활비 외에 환자를 돌보는 비용이15.

    충분하지 않다고 느낀다

    2.65 (0.77) 2.60 (0.86) 2.69 (0.67)

    환자를 더 이상 오래 돌보는 것이 어16.

    려울 것 같다

    2.35 (0.77) 2.20 (0.64) 2.50 (0.86)

    환자의 발병 이후 나는 내 생활을 잘17.

    통제하기가 어렵다

    2.37 (0.74) 2.44 (0.76) 2.31 (0.73)

    나 말고 누군가 다른 사람이 환자 돌18.

    보는 일을 대신해주었으면 좋겠다

    2.37 (0.82) 2.24 (0.72) 2.50 (0.90)

    나는 환자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할지19.

    잘 모르겠다

    2.71 (0.64) 2.68 (0.62) 2.73 (0.66)

    환자를 위해 무언가 더 많은 것을 해20.

    주어야 할 것 같다

    2.69 (0.70) 2.68 (0.47) 2.81 (0.74)

    환자를 더 잘 돌볼 수 있다21. 2.75 (0.62) 2.76 (0.92) 2.96 (0.72)

    총점 2.63 (0.30) 2.60 (0.31) 2.67 (0.29) -0.79 0.42

    l

  • 32

    가설 검증3.

    가설 전화방문을 받은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의: “가족부담감은 전화방문을 받지 않은 가족부담감 정도와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차이가 나타난 주가족간호자의 교육수준(x²=0.03, p=0.048)을 공변량으로 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후 가족 부담감 평균을 로 검증한 결과는ANCOVA표 와 같다< 4> .즉 주가족간호자의 교육수준을 공변량으로 하였을 때 가족부담감의 값은F

    값은 로 유의수준에서 유의하여 가족부담감에 있어 실험군과6.63, p 0.01 5% ,대조군의 두 그룹 간에 유의하게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본 연구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가족부담감 비교< 4>. ․변수 집단

    사전 사후F p

    M(SD) M(SD)

    가족부담감 실험군(n=25) 2.60(0.31) 2.40(0.26)6.63 0.01

    대조군(n=26) 2.67(0.29) 2.62(0.28)

    전화방문 후 주가족간호자의 부담감 변화4.

    전화방문으로 인한 주가족간호자의 부담감 변화는 개 항목에서 통계적으5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표< 5>.구체적으로 나는 환자에 대해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다 항목에서 전‘ ’

    화방문 전 가족부담감의 평균 점수가 에서 중재 후 로 가2.68±.62 2.04±.20장 크게 감소하였고 이 외 환자는 나에게 의존한다(t=5.01, p=0.00), ‘ (t=2.86

  • 33

    환자는 나를 자신이 유일하게 의지하는 사람으로서 돌봐주기를, p=0.02)’, ‘바란다 환자를 위해 무언가 더 많은 것을 해주어야 할 것(t=2.37, p=0.02)’. ‘같다 나는 환자의 행동 때문에 난처할 때가 있다(t=2.31, p=0.02)’, ‘ (t=2.30,

    에서 전화중재 전후 가족부담감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3)’

    항 목사 전 사후

    t pM(SD) M(SD)

    가족 중 환자는 필요이상의 요구를 한다1. 2.20(0.64) 2.24(0.52) -.25 .80

    환자와 함께 있기 때문에 나 자신을 위한 기회를2.

    갖기 어렵다

    2.60(0.76) 2.32(0.55) 2.06 .05

    가정과 직장에 대한 책임과 환자를 돌보는 것 사3.

    이에서 스트레스를 느낀다

    2.44(0.65) 2.28(0.67) 1.07 .29

    환자의 행동 때문에 난처할 때가 있다4. 2.68(0.62) 2.28(0.54) 2.30 .03

    환자와 함께 있을 때 화가 날 때가 있다5. 2.20(0.57) 2.20(0.70) .00 1.00

    환자가 친척이나 친구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6.

    미치는 것 같다

    3.04(0.97) 2.76(0.87) 1.57 1.29

    환자의 미래가 걱정 된다7. 3.20(0.86) 3.12(0.88) .56 .57

    환자는 나에게 의존 한다8. 3.64(0.49) 3.20(0.81) 2.86 .02

    환자와 함께 있으면 피곤해진다9. 2.12(0.52) 2.00(0.64) .76 .45

    환자를 돌보느라고 내 건강이 저하되었다10. 2.36(0.86) 2.20(0.86) .89 .38

    환자로 인해 혼자만의 시간을 갖는 것이 어렵다11. 2.24(0.72) 2.04(0.61) 1.41 .17

    환자로 인해 나의 사생활 중 많은 부분이 저해12.

    받는다

    2.20(0.64) 2.00(0.57) 1.41 .17

    환자로 인해 집으로 친구들을 초대하는 것이 불13.

    편하다

    2.76(0.97) 2.72(0.98) .32 .74

    환자는 나를 자신이 유일하게 의지하는 사람으로14.

    서 돌봐주기를 바란다

    3.32(0.80) 2.96(0.97) 2.37 .02

    생활비 외에 환자를 돌보는 비용이 충분하지 않15.

    다고 느낀다

    2.60(0.86) 2.80(0.81) -1.09 .28

    환자를 더이상 오래 돌보는 것이 어려울 것 같다16. 2.20(0.64) 1.92(0.57) 2.06 .05

    환자의 발병 이후 나는 내 생활을 잘 통제하기가17.

    어렵다

    2.44(0.76) 2.16(0.55) 1.76 .09

    나 말고 누군가 다른 사람이 환자 돌보는 일을18.

    대신 해주었으면 좋겠다

    2.24(0.72) 2.20(0.57) .27 .78

    나는 환자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19. 2.68(0.62) 2.04(0.20) 5.01 .00

    환자를 위해 무언가 더 많은 것을 해주어야 할20.

    것 같다

    2.68(0.80) 2.36(0.63) 2.31 .02

    환자를 더 잘 돌볼 수 있다21. 2.68(0.47) 2.60(0.64) .62 .53

    전반적으로 환자를 돌보는데 얼마나 부담을 느끼22.

    는가?

    2.76(0.92) 2.56(0.71) 1.09 .28

    표 전화방문 전후 주가족간호자의 가족부담감< 5>. ( n = 25 )

  • 34

    추가분석 전화방문 내용 분석:

    가설검증을 통해 전화방문이 대상자들의 부담감에 미치는 효과는 검증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아직까지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한 전화방문.을 다룬 연구가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차후 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 나타난대상자들의 전화방문시 서비스 요구 내용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회의 전화방문 과정에서 대상자들이 제. 4기한 문제를 빈도순으로 살펴보았다.

    표 주가족간호자의 전화방문 상담내용< 6>.

    문의 내용 회수

    환자의 양성음성 증상 관련 환각 망상 활동저하 대인관계부족 정서표현장애1. : , , , , 11

    환자의 재활 관련 가정에서의 대처 지역사회자원 연계2. : , 7

    환자의 문제행동 관련 음주행위 난폭행위3. : , 5

    환자의 치료약물 관련 대처 치료불이행 약물부작용3. : , 5

    환자의 치료경과 및 예후 관련 회복 가능성 치료적 기대5. : , 3

    환자의 발병원인 관련 유전성6. : 2

    환자의 사회복지 관련 장애인 복지혜택7. : 1

    명의 대상자마다 회씩 이루어진 전화방문에서 가장 많이 문의되었던25 4내용은 환자의 양성 및 음성 증상과 관련된 가족의 대처 였다 그 구체적 내‘ ’ .,용으로는 이번에 퇴원하고는 많이 줄어들긴 했는데 그래도 가끔씩 또 정신"나간 소리하면 열이 올라요 말도 안되는 소리를 계속하면 내가 아무리 아", “ ...니라고 해도 그러면 이젠 지쳐서 그냥 놔둬요 하루 종일 집에만 있으려... ”, “해서 그게 걱정이예요 사람이 와도 반가운 기색도 없고 가족들이랑 같이”, “ ,

  • 35

    이야기도 하고 웃고 그러면 좋을텐데 늘 혼자 뚱하니 있어서 신경이 쓰여요”등으로 환자의 환각 망상 활동저하 대인관계 부족 정서표현 장애와 관련된, , , ,문의내용이었다.두 번째 환자의 재활 관련 문의 는 저희 집이 식당을 해서 그 일을 돕도‘ ‘ “

    록 시키는데 그게 잘하는 건지 모르겠어요 무슨 학교 같은 데라도 가서 교”, “육도 좀 받고 그랬음 좋겠는데 그런 데가 있을까요 등과 같이 가정에서의 재”활관련 대처의 효용성 확인 거주지내 재활을 위한 기관정보와 관련된 정보,요청 등과 관련된 문의내용이었다.세 번째 환자의 문제행동 관련 문의 는 매일은 아닌데 친구들이랑 만났다’ ‘ "

    고 하는 날엔 술을 마시고 와요 그러면 안되죠 전에는 막 사람들한테 욕. ?", “하고 그래서 참 난감합디다 하자는 대로 안해주면 물건을 던지고 그래요.”, “ ”등 음주행위와 언어적 물리적 난폭행위의 대처와 관련된 문의내용이었다, .네 번째 환자의 치료약물 관련 문의 로는 약을 안 먹을려고 그래요 이’ ‘ “ ”, “

    사람이 약을 먹고 나서는 너무 졸려 해서 일을 못해요 지난번에 약이 좀”. “바뀐다고 얘기는 들었는데 그래서 그런지 애가 손을 덜덜덜 떨어요 책도”, “보라면 눈이 안보인다 그래요 등 치료약물의 불이행 약물부작용 등과 관련된” ,문의내용이었다.다섯 번째 환자의 치료경과 및 예후 관련 문의 는 아직 한창 일할 나이’ ‘ “

    인데 완전히 치료가 될까요 어느 선까지 회복이 가능한지 알고 싶어요... ?”, “ ”등 현실적인 환자의 회복 가능성 적절한 치료적 기대수준 등과 관련된 문의,내용이었다.여섯 번째 환자의 발병원인 관련 문의 는 남편이 시댁에는 이런 경우가’ ‘ “

    없었다며 저를 원망해요 이병이 유전이 되나요 등 질환의 유전성 여부에”, “ ?”관한 문의내용이었다.마지막 환자의 사회복지 관련 문의 는 장애인증을 갖고 있으면 어떤 혜’ ‘ “

    택이 있나요 장애인이면 버스나 지하철 타는 거 말고 입원비 지원도 받을?”, “수 있나요 등 정신장애인 복지 혜택과 관련된 문의내용이었다?” .

  • 36

    논의 및 고찰V.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가족이 부담감을 경험함은 국내외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이정섭 임혜숙 김소야자 외(Kuipers, 1993; , 1988; , 1991; ,

    김명정 하양숙 외 양수 장미화 이경희 박청1993; , 1994; , 1997; & , 2000; &자, 2003)본 연구에서는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이러한 가족의 부담감을 감

    소시키는데 전화방문이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가족 부담감과 전화방문의 효과에서 나타난 논의점들을 살펴보면 다음과같다.

    일반적 특성 및 가족부담감1.

    주가족간호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환자의 부모가 로 가장 많74.5%

    았고 성별은 여자가 로 많았다, 68.6% . 이는 일상생활에서 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가 여자이며 대부분 어머니가 끝까지 환자를 돌본다는 와2/3 Zarit(1986)하양숙 외 이종은과 현미열 의 연구보고와 일치하는 것이며 환(1997), (2003) ,자와의 관계에서 부모나 배우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고 보고한 결과들과도일치하고 있다 이주훈 왕영애 이충순 및 윤배중 이길자 김철( , 1995; , , 1998; ,권 및 서지민 김정숙, 1999; , 2001).주가족간호자가 돌보는 환자의 특성에서는 평균 연령이 세였으며 기혼33.9

    자도 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이종은과 현미열 의 연구에서처럼 자25.5% (2003)녀가 성인이 되어도 그 부양책임을 계속 감당하는 우리나라 가족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그리고 주가족간호자의 연령은 세 이상이 세 이상이 로61 35.3%, 50 68.6%

    뚜렷한 고연령 현상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김용분 등 과 김정숙 의(1999) (2001)

  • 37

    연구에서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로 볼 때 정신분열병 환자가 집으로 퇴원하면 어머니가 환자를 돌보는데가장 큰 부담을 가지고 이로 인한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음을 알수 있으며, 고연령의 주가족간호자가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돌봄 책임을 지게 된다고 볼 때 고령으로 자신의 건강문제에도 취약한 그들을 돕기 위한 방

    안이 필요함이 본 연구에서도 지지되었다.

    그리고 전화방문을 제공한 실험군에서 환자의 평균 입원회수는 회4.98 ,

    환자의 평균 유병기간은 년으로 나타났다 이는8.4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가족간호를 제공하는 어머니들의 돌봄과정에 나타나는 패턴을 질병감지 이전“ ”,질병의 감지와 함께 시작된 혼돈과 방황의 방황기 질병을 수용하면서 시작“ ”,된 돌봄에의 몰두로 특징지워지는 수용기 등으로 구분한 정민 의 연구“ ” (1994)과 접목시켜볼 때 본 연구의 주가족간호자들은 수용기 에 해당되는 가족들일“ ”것임을 예상하게 한다.그러나 주가족간호자들에게 전화방문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정된 각 가족

    들의 돌봄의 특성을 평가해볼 때 본 연구의 주가족간호자들은 가족원 중 한사람이 가진 정신질환을 감지하고 있으나 이전의 가족 관계에 익숙해 있는 반

    면 질병 행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나머지 환자와의 공동의 의미가 와해되는

    데서 정신적 위기감을 겪고 이것저것 닥치는 대로 치료를 추구해보는 한편,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 감당하기 어려운 현실을 수용하기에는 자신이 없고 결

    국 현실도피적인 생각으로 치닫기 쉬운 방황기 에 해당하는 그룹과“ ” 일련의방황기간 후로 환자의 질병을 수용하기 시작함에 따라 질병에 대한 이해가 증

    진되고 환자에게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행동 하나하나를 관찰하고 세심하게

    대처해 나가며 돌봄에 몰두하는 수용기 에 해당하는 그룹이 혼재되어 있었“ ”다.이는 비록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지는 않았으나 실험군의 경우 년 미5

    만의 유병기간을 가진 대상자들이 더 많았던 것 그리고 주가족 간호자의 학,력이나 건강과 질병에 대한 개인적 신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 38

    본 연구에서 주가족간호자의 부담감 정도는 점 만점에 평균 총점4 2.63,로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이는 정신분열증 환자 부모의 가족 스트58.04 .

    레스로 부담감을 측정한 송현주 의 연구에서의 와 거의 비슷한 수(1996) 59.95준이다 한편 지역사회 재활간호사업의 진행에 따라 가족의 부담감 평균을 비.교한 하양숙 외 의 연구에서 전 가족부담감 사업진행 초기(1994) 3.15, 2.93,사업진행 개월 후 으로 나타난 것과 비교하였을 때는 지역사회 재활간6 2.30호사업 참여 이전의 가족부담감보다는 낮으나 지역사회재활 간호사업에 참여하여 개월이 경과한 후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6 .또 최영신 의 연구에서 입원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족 부담감이, (1997)

    가장 높고 입원시 그 초기에 다소 낮아지나 만성화되고 입원횟수가 증가하면서 다시 상승한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이는 환자가 입원치료를 통해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서 퇴원하여 가족생활에 적응하는 초기 시점이라는 상황적요인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부담감 항목별로 살펴보았을 때 송현주 의 연구에서 환자의 행동 때, (1996)

    문에 느끼는 난처함이 가장 큰 부담으로 나타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주가족 간호자가 환자를 돌볼 사람이 자신 밖에 없다고 느끼기 때문에 갖는 부담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우리나라 어머니들의 전통적인 자녀양육을 도맡는 역할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으로 어머니들의 고통을 함께

    나눌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한 정민의 연구 결과에서도 지지되는 것이다(1994) .

    본 연구에서 가족들이 설명하는 이 부담감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

    가족간호자들이 그들을 도와줄 사람이 전혀 없다고 느끼는 경우와 그들을 도

    와주고 지지하는 이들이 있지만 결국 정신분열병을 가진 가족원을 돌볼 사람

    은 나밖에 없다고 느끼는 경우로 대별되었는데 후자의 경우도 주가족간호자,

    가 사회적 지지가 있음은 인정하나 그러한 지지가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인식

    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자료수집 장소가 국립병원으로서 가장 보편적인 주가족간

    호자들이 이용하는 의료시설임을 감안한다면 아직도 많은 정신질환자 가족들

  • 39

    이 우리나라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접근이 부족함을 반영하는 결과

    라 생각된다 이는 아직 정신보건전달체계가 미확립되어있는 우리나라 정신보.

    건체제의 환경적 제도적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려니와 많은 정신보건,

    전문가들이 환자의 치료와 재활에 있어 그들을 돌보는 가족의 중요성을 인식

    하고 있으나 현재의 정신보건사업 현황은 정신질환자를 돌보는 가족보다는 정

    신질환자에 집중되기에도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그렇게 볼 때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를 환자의 치료와 재

    활을 돕는 긍정적 자원으로 이끌고 또한 주가족간호자들의 건강한 삶을 돕기

    위해서 우리나라 정신보건체계 확립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할 것이며 지역사,

    회 정신보건사업의 정신질환자 가족들에의 접근은 보다 적극적 능동적으로․확대되어야하고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 대한 다각적 측면에서의 홍보가 필요,

    함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이 외에도 주가족간호자는 환자의 미래에 대한 걱정 친구초대의 어려,움 환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