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59
고등학교 문학 교사용 지도서

Transcript of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Page 1: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고등학교

Ⅱ문학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Page 2: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이 책의구성총론

각론- 수업에활용할수있는교사용지도서

■“문학”교과서의 틀을 그대로 살리고, 그 위에 교사용 해설을 덧붙임으로써 실제 수업에 편리하게

활용할수있도록하였습니다.

■수록된제재글을상세히분석하여설명하고, 여백에는제재글과관련된참고자료를제시하였습

니다.

■제시된활동의목적과지도방향을안내하였고, 그에대한예시답을수록하였습니다.

■새롭게바뀐개정교육과정의기본방향과특징을밝혔고, 그 가운데 2009 개정 문학교육과정

의성격과목표및내용을중심으로설명하였습니다.

■“문학”교과서 편찬 시 주안점을 둔 사항과 그에 따른 특징을 밝힘으로써“문학”교과서의 특장을

파악할수있도록하였습니다.

흐느끼며 바라보매

이슬 밝힌 달1)이

흰 구름 따라 떠간 언저리에

모래 가른 물가에

기랑(耆郞)의 모습이올시 수풀이여.

일오(逸烏)내 자갈벌2)에서

낭(郞)이 지니시던

마음의 갓을 좇고 있노라.

아아, 잣나무 가지가 높아

눈3)이라도 덮지 못할 고깔4)이여.

咽嗚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支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貌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積惡尸

郞也持以支如賜烏隱

心未際叱 兮逐內良齊

阿耶 栢史叱枝次高支乎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충 담 사김 완 진 해 독

1) 달 광명과 염원, 기파랑의

정신을상징하는사물.

2) 자갈벌 기파랑의 강직한 성

품.

3) 눈 시련, 유혹, 불의등장애

물을비유.

4) 고깔 기파랑의 고결한 인품

을상징.

통일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의 승려.

화랑의무리와밀접한관련이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향가‘안민가(安民

歌)’와‘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를

지었으며, “삼국유사”에그의행적이

소개되어있다.

충담사(忠談師)

다채로운 비유와 표현 기법에 유의

하며 작품의 주제와 의미를 생각해

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찬기파랑가소단원설정취지

‘찬기파랑가’는기파랑에대한추모를고도의표현기법을사용하여노래한 10구체향가로, 향가 작품중백미로꼽

히는작품이다. 10구체 향가는향가가운데서도가장발전된형태의형식으로, 연속성의관점에서한국문학의형성

과변화발전을이해하는데적절하다고판단되어이작품을소단원제재로선정하였다.

플러스활동

1. 이작품의말하기방식을쓰시오.

예시 답|서정적 주체의 독백체

형식

2. 기파랑이 없는 쓸쓸한 공간을

나타나는시어를찾아쓰시오.

예시답|자갈벌

작품연구

•갈래:̀ 향가

•시대:̀ 신라 경덕왕때

•형식:̀ 10구체

•성격:̀ 예찬적, 서정적

•표현:̀ 은유법, 상징법, 영탄법

•제재:̀ 기파랑의성품과인격

화자가직접보지못하고상상을통해접근할수있는대상

기파랑의고결한절개

그리움

물→맑고깨끗한모습

‘찬기파랑가’를 읽고 다음에 해당하는 시어 또는 어구를 찾아 써 보자. 1

색채어•흰색 - 달, 흰 구름, 눈

•푸른색 - 물가, 수풀, 잣나무가지

•의미의대립:̀ ① 눈 →시련, 유혹, 불의 등장애물을비유 / ② 달,

수풀, 자갈벌, 잣나무 가지, 고깔 → 기파랑의 고결한 인품과 절개

를상징 / •시간적대립:̀ ① 눈 →금방소멸해버리고마는존재

②달, 내, 자갈벌, 잣나무→영속성을가진존재

달, 자갈벌, 잣나무가지, 고깔

대립적상징

기파랑의성품과인격

해당시어나어구

다음은 같은 작품을 다른 사람이 해독한 결과이다. 교과서에 실린 현대역과

비교, 대조하는 활동을 해 보자. 2

(1) 시적 대상(기파랑)을 일컫는 시어:

(2) 표현 기법의 측면:

(3) 주제 의식:

열치매

나타난달이

흰구름따라 (서쪽으로) 가는것아니냐?

새파란냇가에

기랑의모습이있구나.

이로부터냇가조약에

낭의지니시던마음의끝을따르련다.

아아, 잣가지높아

서리를모를화랑이여.

—양주동해독

도움닫기

활동안내 1|작품이시어또는어

구를 통해 기파랑의 인품과 기개

를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 초점

을 두어 지도한다. 나아가 이러한

시어 또는 어구들이 작품의 서정

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까지 이해

하도록설명한다.

활동 안내 2|향가의 경우 향찰

해독의 차이로 인해 같은 작품이

라도 해독하는 사람에 따라 그 결

과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이

를 이해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해

독의 결과를 활동에 제시된 여러

측면에서 분석하고 비교, 대조해

보도록 지도한다. 특히 두 해독 결

과의 말하기 방식에 따라 주제 의

식이 다르다는 것에 초점을 두어

지도하는것이바람직하다.

덧없는존재, 무상한존재

지조, 절개, 의지

고결한절개

시련, 역경

예시답|•김완진:̀ 달, 수풀, 잣가지, 고깔 •양주동:̀ 냇물, 조약돌, 잣가지

예시답|양주동의 역은 기파랑의 이상과 절개에 대한 찬미적 성격이 강하다면, 김완진의 역은 세속적인 현실에

서기파랑의고매한인품을그리는추모적성격이강하다.

예시답 2`-(̀2)|두 현대역은 모두

기파랑의 인품을 흰색과 푸른색의

대조에서 빚어지는 청신한 기상으

로 표상하고 있다. 또한‘아아’로

시작되는 낙구(落句)에서 시상(詩

想)을 고양시켜 흠모의 정을 절실

히 표현했다는 점, 또 기파랑의 인

품을 정적 소재와 동적 소재의 조

화에 의해 이루어지는 청신함, 안

정미, 생동감을 통해 표상하고 있

다는 점은 비슷하다. 하지만 김완

진의역에서 3, 5행을 각각현실과

이상으로 대비시켜 표현한 점이나,

흐느끼며 바라본다는 표현을 통해

비통한 정서를 작품에 직접적으로

드러냈다는 점 등은 양주동의 역

과다르다고할수있다.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i mac01 T

Page 3: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 교육과정의변화와문학교과서 iv

2. 2009 개정문학교육과정의성격과목표및내용 vii

3. “문학Ⅱ”교과서편찬방향과구성체제 X

총론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ii mac01 T

Page 4: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

2009년의 국어과 교육 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은 2007 개정 국어과 선택 과목 교육 과정을 기반

으로하되, 세분화된선택과목을재구조화하고, 학습의 과정을고려하여이를Ⅰ, Ⅱ 과목으로편성

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2009 개정 교육 과정에서는 1학년~9학년까지의 공통 교육 과정과 고등학

교(10학년~12학년)의선택교육과정체제를새롭게도입하였다.

원래 2007 개정 교육 과정의 고등학교 국어 선택 과목은‘화법’, ‘독서’, ‘작문’, ‘문법’, ‘문학’,

‘매체 언어’의 여섯 개 과목이었다. 그렇지만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직접 연계되지 않은 과목의 선택률

이 낮았던 제7차 교육 과정에서의 문제점이 재현될 수 있다는 의견에 따라 2009년에 교육 과정의

재조정이 이루어졌다. 즉 지나치게 세분화된 선택 과목을 통합하고 수준별로 편성·재구조화하였으

며, 그결과‘국어’, ‘화법과작문Ⅰ’, ‘화법과작문Ⅱ’, ‘독서와문법Ⅰ’, ‘독서와문법Ⅱ’, ‘문학Ⅰ’,

‘문학Ⅱ’의 7개과목이고등학교국어과선택과목으로편성되었다.

1 7차교육과정과 2009 개정교육과정의문학내용체계비교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의문학과목은‘문학Ⅰ’, ‘문학Ⅱ’의두과목으로편성된다. 이는공통

교육과정‘국어’과목의‘문학’영역을심화·발전시키면서, 동시에 2007 개정교육과정및 2009

개정교육과정의취지를반영한것이다.

내용체계에있어서제7차교육과정과의차이는다음과같다.

교육과정의변화와문학교과서

7차

교육과정

2009년

개정

교육과정

문학의본질 문학과문화

•문학의특성

•문학의기능

•문학의갈래

•문학의가치

•문학문화의특성

•한국문학의특질과흐름

•세계문학의양상과흐름

•문학의인접영역

문학의성격 문학과위상

•문학의개념

•문학의역할

•문학의갈래

•한국문학의범위와역사

•한국문학과외국문학

•한국문학의세계화

문학의활동 문학과삶

•문학의수용

•문학의생산

•문학과매체

•문학과자아

•문학과공동체

•문학과문화

문학의수용과창작문학의가치화와

태도

•문학의수용과창작원리

•문학의수용

•문학의창조적재구성

•문학의창작

•문학의가치인식

•문학활동에의능동적참여

•문학에대한태도

문학(하)

문학Ⅱ

문학(상)

문학Ⅰ

iv 총론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v mac01 T

Page 5: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v총론

2 문학교과서단원구성의실제

1. 문학의세계로의초

[1] 문학의발견

[2] 문학의이해

[3] 문학의수용과생산

[1] 리듬과형식

[2] 시적발상과심상

[3] 화자와서정적주체

[4] 시적표현

[1] 이야기와구성

[2] 인물과배경

[3] 주제와갈등

[4] 시점과서술방식

[1] 무대와공연

[2] 희곡의언어와구성

[1] 수필의표현과문체

[2] 수필의내용과주제

[3] 비평의개념과관점

[1] 문학의소통

[2] 문학과매체확장

(1) 심인(尋人)_ 황지우

(1) 끝없는강물이흐르네_ 김영랑

(2) 자전거도둑_ 김소진

(1)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_ 김만중

(1) 산유화(山有花)_ 김소월

(2) 서울에사는평강공주_ 박라연

(1) 앨버트로스_ 샤를보들레르

(2) 전라도가시내_ 이용악

(1) 속미인곡(續美人曲)_ 정철

(2) 겨울바다_ 김남조

(1) 시조세편_ 이정보외

(2) 샤갈의마을에내리는눈_ 김춘수

(1) 복덕방_ 이태준

(2) 조신설화(調信說話)_ 작자미상

(1) 토지_ 박경리

(2) 운영전(雲英傳)_ 작자미상

(1) 당신들의천국_ 이청준

(2) 죽은영혼의길_ 치누아아체베

(1) 유년의뜰_ 오정희

(2) 황만근은이렇게말했다_ 성석제

(1) 태(胎)_ 오태석

(2) 수영(水泳) 들놀음_ 이두현채록

(1) 리어왕_ 윌리엄셰익스피어

(2) 산불_ 차범석

(1) 무사한나날들_ 김훈

(2) 규중칠우쟁론기(閨中七友爭論記)_ 작자미상

(1) 율정기(栗亭記)_ 계용묵

(2) 나무를심는사람곽탁타_ 유종원

(1) 공작관문고자서(孔雀館文稿自序)_ 박지원

(2) 생태학적상상력과우리시의방향_ 이숭원

(1) 은희경의문장배달: 변신

(2) 세상에서가장아름다운이별_ 노희경

(1) 그대를사랑합니다_ 강풀글·그림

(2) 괴물_ 봉준호·하준현·백철현극본, 봉준호연출

2. 시의수용과생산

문학Ⅰ

3. 소설의수용과생산

4. 희곡의수용과생산

5. 수필·비평의수용

과생산

6. 문학의소통과매체

확장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v mac01 T

Page 6: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vi 총론

1. 한국문학의태동과

형성

[1] 한국문학의개념과

정체성

[2] 한국문학의형성

◎이시기의세계문학

[1] 구비문학의발전과

기록문학의확대

[2] 문학담당층의교체와

대응

◎이시기의세계문학

[1] 문학현실의변화

[2] 국문문학의확대

◎이시기의세계문학

[1] 근대문학의형성

[2] 근대문학의확립과

위기

◎이시기의세계문학

[1] 격동의시기와현대

문학의등장

[2] 산업화이후현대문

학의과제

◎이시기의세계문학

[1] 동시대의한국문학

[2] 외국문학과의영향

관계

[3] 세계문학으로서의한

국문학

[1] 문학과성장

[2] 문학과공동체

[3] 문학과문화

(1) 구지가(龜旨歌)_ 작자미상

(2) 동명왕신화(東明王神話)_ 작자미상

(1)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_ 충담사

(2)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當)_ 최치원

(1) 오디세이_ 호메로스

(2) 장소부에게_ 왕유

(1) 서경별곡(西京別曲)_ 작자미상

(2) 한림별곡(翰林別曲)_ 한림제유

(3) 국선생전(麴先生傳)_ 이규보

(1) 시조세편_ 우탁외

(2)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_ 김시습

(1) 아라비안나이트_ 작자미상

(2) 도연초(徒然草)_ 요시다겐코

(1) 누항사(陋巷詞)_ 박인로

(2) 최척전(崔陟傳)_ 조위한

(1) 시조두편·시집살이노래

(2) 한중록(閑中錄)_ 혜경궁홍씨

(3) 춘향전(春香傳)_ 작자미상

(4) 조웅전(趙雄傳)_ 작자미상

(1) 돈키호테_ 세르반테스

(1) 창가와신소설_ 최남선·이인직

(2) 나의침실로_ 이상화

(3) 만세전_ 염상섭

(1)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_ 백석

(2) 장수산 1_ 정지용

(3) 인간문제_ 강경애

(4) 소설가구보씨의일일_ 박태원

(5) 소_ 유치진

(1) 기탄잘리_ 타고르

(2) 유리동물원_ 윌리엄스

(1) 초토(焦土)의 시 1_ 구상

(2) 풀_ 김수영

(3) 비 오는날_ 손창섭

(4) 원고지_ 이근삼

(1) 퇴근시간_ 문정희

(2) 난장이가쏘아올린작은공_ 조세희

(3) 인연_ 피천득

(1) 일요일_ 바르가스요사

(1) 노동의새벽_ 박노해

(2) 외딴방_ 신경숙

(1) 목마와숙녀·등대로_ 박인환·버지니아울프

(1) 신분_ 하종오

(1) 쉽게씌어진시_ 윤동주

(1) 모래톱이야기_ 김정한

(2) 양아록(養兒錄)_ 이문건

(1) 다듬이_ 정진권

(2) 시와그림_ 서정주·천경자

2. 한국문학의성장과

발전

문학Ⅱ

4. 전환기한국문학과

근대문학

5. 한국현대문학의

발전

6. 한국문학과세계

문학

7. 문학과삶

3. 한국문학의성숙과

모색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vi mac01 T

Page 7: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vii총론

2

1 성격과목표

‘문학Ⅰ’은공통교육과정의‘국어’과목중에서‘문학’영역을심화·발전시킨과목이다. 이 과목

은문학에대한체계적인지식을바탕으로수용·생산능력을발전시켜학습자가바람직한문학주체

로성장하고창의적인국어생활을영위하는데도움을주는것을목적으로한다.

문학은 인간의 체험과 상상력으로 이루어진 언어 예술이자 소통 행위이며, 개인과 공동체의 생활

경험 및 미의식을 담아내는 문화의 한 양식이다. 문학은 음성과 문자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매체로

구현되고, 사회·문화의다른영역과의관련속에서존재한다.

문학은인간과사회및역사의본질을심미적언어로형상화하고, 이를바탕으로개인의자아를실

현하며공동체의삶과문화를발전시키는데그가치가있다. 학습자는문학을통하여창의적인언어

능력과 사고력을 기르고, 정서와 심미 의식을 함양하고 가치관을 확립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로

서자아를발전시킬수있다.

2009 개정문학교육과정의성격과목표및내용

▶‘문학Ⅰ’과목에서는문학에대한지식을익히고실천적인문학활동을수행하는데중점을둔다.

‘문학 Ⅱ’는‘문학 Ⅰ’과 연계된 과목이다. 이 과목에서는 다양한 문학 경험과 활동을 통해 수용·

생산 능력을 심화하여, 학습자가 바람직한 문학 주체로 성장하고 인간다운 삶이 가능한 사회를 만드

는데기여하도록도움을주는것을목적으로한다.

‘문학 Ⅰ’에서의 문학 및 문학 활동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보다 구체화하고 심화시키기 위해서는,

문학에대한지식과경험의폭을넓히고보다능동적으로문학활동에참여할수있도록지도할필요

가있다. 특히 다양한작품의감상과이해를통해서문학의실제적양상을학습하여체계적인이해와

심미적인 안목의 향상에 이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개별 민족의 문학사와 세계 문학사에 대한 학습

문학Ⅰ의목표

문학에대한체계적이해와폭넓은경험을바탕으로문학작품을수용하고생산하는능력을기른다.

- 문학에대한지식과경험을바탕으로하여능동적으로문학활동을한다.

- 문학 수용과 생산 활동을 통하여 언어에 대한 통찰력을 기르고,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기른다.

- 문학을 통하여 인간과 세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문학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향유하며, 공동체의 문

화발전에적극적으로참여한다.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vii mac01 T

Page 8: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viii 총론

은이러한목표에이르기위한방법이다.

문학은 자아와 공동체, 그리고 세계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담고 있으며, 문학 활동은 자아와 공

동체, 그리고세계의발전에참여하는중요한경로일수있다. 학습자는문학에대한이해와문학활

동에의적극적인참여를통해자신의삶, 나아가서는공동체의발전에기여할수있는주체로성장할

수있다.

▶‘문학 Ⅱ’과목에서는‘문학 Ⅰ’과목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맥락 속에서 문학의 제 양상을 이해

하고경험하며이를자신의삶과연계하는데중점을둔다.

2 내용

(1)내용체계

❶문학Ⅰ의내용체계

❷문학Ⅱ의내용체계

•문학의개념

•문학의역할

•문학의갈래

•문학의수용

•문학의생산

•문학과매체

문학활동문학의성격

•한국문학의범위와역사

•한국문학과외국문학

•한국문학의세계화

•문학과자아

•문학과공동체

•문학과문화

문학과삶문학의위상

문학Ⅱ의목표

문학에대한체계적이해와폭넓은경험을바탕으로자아를실현하고공동체의발전에기여하는태도를함

양한다.

- 문학에대한지식과경험을바탕으로하여능동적으로문학활동을한다.

- 문학의실제적제양상을이해하여문학에대한체계적이해와심미적안목을높인다.

- 문학을 통하여 인간과 세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문학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향유하며, 공동체의 문

화발전에적극적으로참여한다.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viii mac01 T

Page 9: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ix총론

(2)세부내용

❶문학Ⅰ의세부내용

문학의

성격

문학

활동

문학의개념

문학의수용

문학의갈래

•문학이가치있는내용을형상화한언어예술임을이해한다.

•문학과언어의관계및소통활동으로서의문학의특성을이해한다.

•문학이인간의정신적활동의산물이자문화의한양식임을이해한다.

•내용, 형식, 표현의유기적인연관을고려하며작품을수용한다.

•섬세한읽기를바탕으로작품을다양한맥락에서이해하고감상하며평가한다.

•이해와감상및평가의결과를자신의삶과관련하여내면화한다.

문학과매체

•매체자료의창의적인표현방식과심미적가치를문학적관점에서이해하고

향유한다.

•매체와관련된작가·작품·독자, 생산·유통·수용의특성을이해한다.

•다양한매체를통한문학작품의수용과생산에참여한다.

문학의생산•내용과형식, 맥락, 매체를바꾸어작품을비판적·창조적으로재구성한다.

•다양한시각과방법으로작품을생산한다.

•문학갈래의개념과그특징을이해한다.

•문학갈래의전개와구현양상을이해한다.

문학의역할

•문학이인간과세계의이해를돕고, 삶의 의미를 깨닫게하며, 정서적·미적

으로삶을고양함을이해한다.

•문학이상상력과감수성을길러수준높은소통능력을함양함을이해한다.

•문학이다양한가치추구를통해공동체의역동성을증진함을이해한다.

세부내용내용체계

❷문학Ⅱ의세부내용

문학의

위상

문학과

한국문학의

범위와역사

문학과자아

한국문학의

세계화

•한국문학의개념, 영역, 갈래, 역사를이해한다.

•대표적인작품을통해한국문학의전통과특질을이해한다.

•지역문학과한민족문학을이해한다.

•문학을 통하여 자아를 성찰하고 삶의 의미에 대하여 질문하며 내면 세계를

확충한다.

•문학을통하여타자를이해하고삶의다양성을수용한다.

•문학활동을생활화하여풍요롭고가치있는삶을영위한다.

문학과문화

•문학과예술, 인문, 사회, 문화, 매체의관계를이해한다.

•문학을 통하여 인간과 세계의 진실을 심미적으로 인식하고 표현하는 안목을

기른다.

•문학활동을생활화하여수준높은국어생활을영위한다.

문학과공동체

•문학을통하여사회, 민족, 역사, 자연등다양한층위의공동체와연대의식

을가진다.

•문학을 통하여 양성 평등, 사회적 소수자, 생태, 미래 사회 등 공동체의 관

심사에대한문제의식을공유하고소통한다.

•문학활동을생활화하여공동체의문화발전에능동적으로이바지한다.

•다문화시대의한국문학의양상과지향을이해한다.

•한국문학및문화의세계화와그의의를이해한다.

한국문학과

외국문학

•세계문학의양상과흐름을개괄적으로이해한다.

•한국문학과외국문학의관련양상을이해한다.

•보편성과특수성의관점에서한국문학과외국문학을이해한다.

세부내용내용체계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x mac01 T

Page 10: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x 총론

1‘문학Ⅱ’교과서의기본개발방향

(1) 국어과 교육 과정‘문학Ⅱ’과목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 학습 방법, 평가를 충실히 반영하여

선택과목의교육목적과의의에부합하는교과서가되도록개발하였다.

(2) 교육내용에서는‘문학Ⅱ’에제시된내용체계및세부내용을충실히반영하여수용하였고, 내용

연관성과지식구조화의측면에서효과성이높은세부내용들은창의적으로통합하고재구성하였

으며, 교과서집필기준을충실하게반영하여내용및제재를선정하였다.

(3) 고등학교선택과목교육과정의학습자특성과‘문학Ⅱ’과목에배당된수업시수를고려하여학

습내용의수준과양을적정화하였다.

(4) 실제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작품 이해 및 배경 지식 형성에 필요한 풍부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면서도작품에대한고정된이해나선입관이형성되지않도록비판적이며창의적인시각과

관점의가능성을열어두었다.

(5) 제재 선택에서는 한국 문학의 성취와 문학사적 발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대표적 작품들을

중심으로작품선정에특별히유념하였다.

(6) 성, 지역, 종교, 문화, 가치관, 문학관 및 문학적 태도 등에서의 다양한 문학 현상을 균형 있게

반영하도록 제시 작품을 안배하였으며, 동시대적으로, 혹은 비교 문학적으로 함께 살펴볼 수 있

는세계문학작품에대해서도충분히수용하여제시하였다.

(7) 교육 과정 간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문학 영역 학습이 확장·심화되

도록개발했으며, ‘문학Ⅰ’과의연계성도충실히모색했다.

(8) 문학 이론을 작품에 직접 대응시켜 이해하는 지식 중심의 수용을 방지하기 위해 맥락적·상호 텍

스트적 엮어 읽기를 작품 수용의 주요 경로로 설정하였으며, 수용과 생산의 역동적 상호 관계를

고려하여 창의적 표현활동을 배치하되 실제 수업 상황에서 실현성을 높이도록 빈도와 규모를 조

절하였다.

(9)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문학수용의 다양성을 체험하도록 각기다른 문학적 관점을 드

러내는안내자를배치하여문학체험을객관화하였다.

(10) 내용에 어울리는 다양한 편집·디자인 기법을 도입하고,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맞는 양질의 사

진·삽화사용으로학습효과를높이는데기여하도록했다.

‘문학Ⅱ’교과서편찬방향과구성체제3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x mac01 T

Page 11: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xi총론

2‘문학Ⅱ’교과서의특징

(1) ‘문학Ⅱ’는교육과정의학습요소를중심으로자기주도학습, 협력학습, 복합문화주의학습이

고르게수행될수있도록대단원을구성하였다.

•1단원: 한국 문학의 태동과 형성에 관련된 단원으로, 과목 전체 내용을 개관하면서 학습에 요

구되는기본적문학지식과문학적태도를형성하도록내용을통합하여제시하였다.

•2단원: 한국 문학의 발전과 성장에 관련된 단원으로,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내용을 조

직하였으며, 작품을깊이있고다양하게학습할수있도록활동을제시하였다.

•3단원: 한국 문학의 변화와 확장에 관련된 단원으로,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내용을 조

직하였으며, 작품을깊이있고다양하게학습할수있도록활동을제시하였다.

•4단원: 근대문학형성기에서 6·25 전쟁까지의문학으로, 자기주도학습이가능하도록내용

을조직하였으며, 작품을깊이있고다양하게학습할수있도록활동을제시하였다.

•5단원: 6·25 전쟁 이후부터 80년대까지의 문학으로,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내용을

조직하였으며, 작품을깊이있고다양하게학습할수있도록활동을제시하였다.

•6단원: 한국 문학과 세계 문학에 관련된 단원으로,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내용을 조직

하였으며, 복합 문화주의적 관점에서 문학 수용을 심화·발전시킬 수 있도록 통합적 활동을 제

시하였다.

•7단원: 문학과 삶에 대한 단원으로,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내용을 조직하였으며, 문학

을생활화할수있도록통합적활동을제시하였다.

(2) 각 단원에서는 자기 주도 학습과 협력 학습, 복합 문화주의 학습, 고전 학습의 수행을 돕기 위해

‘삼인행(三人行)’이라는 학습 안내·정리 장치를 설정했다. 다른 관점을 지닌 또래 학습자를 통해

주요 문학적 문제에 대한의견을 나누고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학습 과제를 이해하고 작품 수용의

관점 및 방법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적절한 계기와 도움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삼인행’장치는

학습활동에도반영하였다.

•단원도입부의삼인행: 단원학습내용에대한문제의식및동기형성을위한발산적발문과예화

•학습활동의삼인행: 학습내용에대한다양한시각과접근의비교학습

•단원정리부의삼인행: 단원학습결과에대한통합적·다원주의적정리와평가

(3) ‘문학Ⅱ’에서 중단원은 일반에서 특수, 기본에서 확장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되, 문학

갈래를다룬단원에서는다음과같은구성을취하였다

•중단원 (1): 해당시대를정의할수있게하는핵심적인개념

•중단원 (2): 해당시대의대표적인형식적요소

•중단원 (3): 해당시대의대표적인소통적요소

•중단원 (4): 해당시대의대표적인표현적요소

(4) 각 중단원은 일반에서 특수, 기본에서 확장이라는 두 단계에 걸친 구성으로 문학 지식을 제시하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xi mac01 T

Page 12: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xii 총론

였다. 중단원 도입부에는 본격적인 주제 학습에 앞서 단원의 핵심 지식을 정리하는 섹션을 두었

고, 제재 학습에서는 작품을 개관하고 주제 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작품 들여다보기’섹션

을두었다.

•중단원 안내: 중단원 도입부의 안내에서는 다양한 자료들의 예시를 통해 쉽고 흥미롭게 지식에

접근할수있도록하였으며, 이를통해해당중단원의기본개념및용어들을선이해할수있도

록하였다.

•작품 들여다보기: 중단원 제재 학습에 결합되어 있는‘작품 들여다보기’에서는 작품에 대한 개

관과 함께 중단원의 기본 개념을 정리하여 작품 수용에 적용하게 하였다. 이와 함께 작품에 대

해더깊고넓게학습할지식이나단서를함께제공하여두었다.

(5) 제재(담화나 글)는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에 적합한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범교과 학

습 요소를 고려하여 학습자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참신하고 다양한 제재를 선정하였다. 특히

여성과소수자, 세계문학의비중을정상화하여다양한문학세계를체험할수있게하였다.

(6) 학습활동은‘도움닫기’와‘멀리뛰기’로세분화하여보다체계적으로학습목표를달성할수있도

록 구성하였다. 학습 독자의 능동적인 체험과 다양한 작품 수용이 가능한 문학 교육의 본질을 최

대한살릴수있도록배려하였다.

•도움닫기: 제재를 충실하게 이해하였는지 확인하는 활동. ‘작품들여다보기’를 통해 익힌 기본

지식들을활동으로수행할수있도록단계적, 계기적과제중심활동들을구성하였다.

•멀리뛰기: 제재를 통해 학습한 기본 지식을 확장하기 위한 엮어 읽기 활동이나 제재를 통한 문

학 수용을 문학 생산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창의적 표현 활동을 두어 학습 과제 및 작품에 대한

종합적, 맥락적이해·표현을가능하도록구성하였다.

(7) ‘문학Ⅱ’에서는지역과시대, 문학적관점이나성향을반영하여균형있게세계문학작품들을수

용하였으며, 이를통해학습자들이보편적인문학이해에도달할수있도록도왔다.

3 문학교과서의장점

•학생스스로가르침을찾아배울수있는교과서

•학생들이서로협력하여더나은이해에도달하는교과서

•다양한문화를수용하고이해하게하는교과서

•고전의가르침을소중하게여기게하는교과서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xii mac01 T

Page 13: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xiii총론

4 단원별성취기준및주요학습내용

1. 한국 문학의 태

동과형성

•단원을열며

(1) 한국 문학의개

념과정체성

(2) 한국 문학의형

•단원을닫으며

-이 시기의 세계

문학

[(1)-(가)-①] 한국 문학의

개념, 영역, 갈래, 역사를 이

해한다.

[(2)-(다)-①] 문학과 예술,

인문, 사회, 문화, 매체의 관

계를이해한다.

[(1)-(가)-③] 지역 문학과

한민족문학을이해한다.

[(2)-(가)-①] 문학을 통하여

자아를 성찰하고 삶의 의미

에 대하여 질문하며 내면세

계를확충한다.

9

12

14

이 단원은 상고 시대부터 통일 신라 시대까지, 한국 문

학의형성과정을살펴보도록구성했다.

•중단원 (1)에서는 상고 시대부터 향찰 창안 이전까지,

민족어 문학 출현 이전에 구비 전승되거나 한역된 작

품을 통해 한국 문학의 개념과 정체성을 이해하도록

구성했다.

•중단원 (2)에서는 삼국 시대부터 통일 신라 시대까지,

보편적 문어로서의 한문학과 민족어 문학으로서의 향

가를 통해 서정시의 폭넓은 범위, 민족어 문학에 대한

의식, 한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이해하도록 구성하였

다.

2. 한국문학의성

장과발전

•단원을열며

(1) 구비문학의발

전과기록문학

의확대

(2) 문학담당층의

교체와대응

•단원을닫으며

-이시기의세계

문학

[(1)-(가)-①] 한국 문학의

개념, 영역, 갈래, 역사를 이

해한다.

[(1)-(가)-②] 대표적인 작품

을 통해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을이해한다.

[(1)-(나)-①] 세계 문학의

양상과 흐름을 개괄적으로

이해한다.

[(2)-(나)-①] 문학을 통하여

사회, 민족, 역사, 자연 등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와 연

대의식을갖는다.

이 단원에서는 한국 문학이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는, 발

전과성장의시기를다룬다.

•중단원 (1)에서는 고려 부터 조선 전기까지, 한문학의

시대에서 국문 문학의 구비 전승, 문학 갈래의 변화를

이해하도록구성했다.

•중단원 (2)에서는 조선 전기부터 임진왜란 이전까지,

훈민정음 창제 이후 시조, 가사 등 국문 시가의 발전

과 새로운 소설 형식의 출현 등 한국 문학의 예술적

지평의확대양상을이해할수있도록구성하였다.

주요학습내용및단원구성의중점단원명 관련성취기준 시수

3. 한국문학의성

숙과모색

•단원을열며

(1) 문학현실의변

(2) 국문문학의확

[(1)-(가)-①] 한국 문학의

개념, 영역, 갈래, 역사를 이

해한다.

[(1)-(가)-②] 대표적인 작품

을 통해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을이해한다.

[(1)-(나)-①] 세계 문학의

양상과 흐름을 개괄적으로

이해한다.

이 단원은 전란 체험 이후 한국 문학이 변화를 수용하는

과정을살펴보도록구성했다.

•중단원 (1)에서는 전쟁 체험 이후 크게 달라진 정치·

사회적 환경, 변화의 계기를 맞게 된 문학의 양상과

흐름을이해하도록구성했다.

•중단원 (2)에서는 조선 후기 서민 의식의 성장과 성리

학에 대한 반성, 국문 문학의 저변 확대와 문학 유통

방식의 다변화, 다양한 갈래의 출현, 담당층의 분화

등한국문학의확장양상을이해하도록구성하였다.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xiii mac01 T

Page 14: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6

4. 전환기한국문

학과근대문학

•단원을열며

(1) 근대문학의형

(2) 근대문학의확

립과위기

•단원을닫으며

-이시기의세계

문학

[(1)-(가)-①] 한국 문학의

개념, 영역, 갈래, 역사를 이

해한다.

[(1)-(가)-②] 대표적인 작품

을 통해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을이해한다.

[(1)-(나)-③] 보편성과 특수

성의 관점에서 한국 문학과

외국문학을이해한다.

이 단원은 개화기에서 6·25 전쟁 이전의 시기까지, 민

족 문학의 근대화 과정과 현대 문학으로서의 위상 정립,

발전 과정 등을 역사적·사회적·문학적 맥락에서 학습

할수있도록구성하였다.

•중단원 (1)에서는 민족 문학의 근대화 과정에서 다양

한 문학의 갈래가 근대 문학으로 성장하고 정착하는

과정을, 문학사적 의의가 높은 작품들을 바탕으로 학

습하도록하였다.

•중단원 (2)에서는 본격적인 근대 문학의 발전과 확장

과정을 일제 강점기의 현실과 연계하여 이해하고 학습

할수있도록하였다.

주요학습내용및단원구성의중점단원명 관련성취기준 시수

xiv 총론

•단원을닫으며

-이시기의세계

문학

[(2)-(나)-①] 문학을 통하여

사회, 민족, 역사, 자연 등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와 연

대의식을갖는다.

16

5. 한국현대문학

의발전

(1) 격동의시기와

현대문학의등

(2) 산업화이후현

대문학의과제

•단원을닫으며

-이시기의세계

문학

[(1)-(가)-①] 한국 문학의

개념, 영역, 갈래, 역사를 이

해한다.

[(1)-(가)-②] 대표적인 작품

을 통해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을이해한다.

[(1)-(나)-③] 보편성과 특수

성의 관점에서 한국 문학과

외국문학을이해한다.

이 단원은 6·25 전쟁 직후부터 1980년대까지의 우리

민족 문학의 다양한 분화와 발전 양상을 역사적, 사회

적, 문학적맥락에서이해하고학습하도록구성하였다.

•중단원 (1)에서는‘1950년대 전후 문학, 참여 문학

대두’라는 1960년대 문학의 발전 양상을, 대표적인

작품을감상하며학습하도록하였다.

•중단원 (2)에서는 1970년대의 산업화, 1980년대 민

주화 시기의 다양한 발전 양상을 대표 작품과 함께 학

습하도록하였다.

10

6. 한국문학과세

계문학

•단원을열며

(1) 동시대의한국

문학

(1) 동시대의한국문학

[(2)-(나)-①] 문학을 통하여

사회, 민족, 역사, 자연 등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와 연

대의식을가진다.

[(2)-(나)-②] 문학을 통하여

양성 평등, 사회적 소수자,

생태, 미래 사회 등공동체의

관심사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소통한다.

이 단원에서는 동시대의 한국 문학을 중심으로, 한국 문

학의보편성과특수성을이해하도록하였다.

•중단원 (1)에서는 동시대 한국 문학의 문제의식을 중

심으로 한국 사회가 마주한 문제와 공동체적 관심사에

대해 한국 문학이 어떻게 대응했는지 이해하도록 하였

다.

•중단원 (2)에서 한국 문학에 미친 외국 문학의 영향과

한국 문학의 능동적 수용 과정에 대해 이해하도록 하

였다.

00-문학(최)지도서2권 (총론) 2012.1.5 5:47 AM 페이지xiv mac01 T

Page 15: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xv총론

주요학습내용및단원구성의중점단원명 관련성취기준 시수

(2) 외국문학과의

영향관계

(3) 세계문학으로

서의한국문학

•단원을닫으며

(2) 외국문학과의영향관계

[(1)-(나)-②]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의 관련 양상을 이

해한다.

[(1)-(나)-③] 보편성과 특수

성의 관점에서 한국 문학과

외국문학을이해한다.

(3) 세계 문학으로서의 한국

문학

[(1)-(다)-①] 다문화 시대의

한국 문학의 양상과 지향을

이해한다.

[(1)-(다)-②] 한국 문학 및

문화의 세계화와 그 의의를

이해한다.

•중단원 (3)에서는 다문화 시대의 한국 문학의 과제를

세계문학의관점에서이해하도록하였다.

10

7. 문학과삶

•단원을열며

(1) 문학과성장

(2) 문학과공동체

(3) 문학과문화

•단원을닫으며

(1) 문학과삶

[(2)-(가)-①] 문학을 통하여

자아를 성찰하고 삶의 의미

에 대하여 질문하며 내면세

계를확충한다.

(2) 문학과공동체

[(2)-(가)-②] 문학을 통하여

타자를 이해하고 삶의 다양

성을수용한다.

[(2)-(나)-③]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여공동체의문화발

전에능동적으로이바지한다.

(3) 문학과문화

[(2)-(다)-③]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여 수준 높은 국어

생활을영위한다.

[(1)-(다)-①] 문학과 예술,

인문, 사회, 문화의 관계를

이해한다.

[(2)-(다)-②] 문학을 통하여

인간 세계의 진실을 심미적

으로 인식하고 표현하는 안

목을기른다.

이 단원에서는 문학을 통하여 자아의 성장을 이루며, 공

동체를 이해하고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이바지하며, 문

학을생활화할수있도록구성하였다.

•중단원 (1)에서는 문학을 통해 자아를 성찰하여 내면

세계를성장시킬수있도록하였다.

•중단원 (2)에서는 문학을 통하여 다양한 층위의 공동

체를 이해하고,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

도록하였다.

•중단원 (3)에서는 문학과 문화의 관계를 이해하고, 문

학의 생활화를 통해 수준 높은 국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하였다.

00-문학(최)지도서2권 (총론) 2012.1.5 5:47 AM 페이지xv mac01 T

Page 16: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xvi mac01 T

Page 17: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각론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12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44

3. 한국문학의성숙과모색 94

4. 전환기한국문학과근대문학 152

5. 한국현대문학의발전 228

6. 한국문학과세계문학 290

7. 문학과삶 332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xvii mac01 T

Page 18: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문학(2)00(001~011) 2011.11.26 3:59 AM 페이지2 mac01 T

Page 19: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머리말돌이켜보면, 여러분의어린시절은기발한상상과예술적동기로풍성했을것입니

다. 그것들은대부분동화책이나잠자리의귀동냥이야기로부터왔습니다. 더 자라서

학교에다니고, 친구를사귀고대중매체를접하면서여러분은세상이수많은노래와

이야기로이루어져있다는것을알았습니다. 그리하여노래에환호하고, 이야기에열

광했습니다.

그 사이에 여러분은 노래의 옷을 입은 소월과 지용의 시를, 이야기의 옷을 입은 채

만식과박완서의소설을읽었습니다. 그러면서탁월한표현에매혹되었고, 때로는낯

선 형식에 당황했습니다. 이 모순된 느낌은 문학이 오랜 관습과 제도로 굳어진 양식

이면서도, 본질적으로고유성과창조성을지니는데서비롯됩니다.

문학은익숙해지기까지가어려울뿐, 그관습과제도를익히고나면숨을쉬는것처

럼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틀을 깬 실험적인 작품 역시 처

음에는 난해하게 보여도, 다양한 해석을 찾는 즐거움을 맛보게 해 줍니다. 이처럼 문

학은그자체로어렵고도쉬우며, 힘들고도유쾌한경험입니다.

이책에는우리가공유하게될매혹적인경험을위해꼭필요한문학적지식이담겨

있습니다. 다양하고참신한작품들과만나는이자리에우리저자들이문학의생산자

이자향유자로서여러분과함께할것입니다. 이 과정에서다채로운활동을통해여러

분이문학적경험을더수월하게할수있도록돕겠습니다.

아무쪼록여러분이세상의수많은노래와이야기를문학속에서재발견하기를바랍

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어린 시절을 풍성하게 해 주었던 기발한 상상과 예술적 동기

를현실에서실현해가기를희망합니다. “정말소중한것은눈에보이지않아!”이한

마디를가슴깊이새기고서말입니다.

저자 모두가

문학(2)00(001~011) 2011.11.26 3:59 AM 페이지3 mac01 T

Page 20: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

2

‘단원을 열며’에서는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사례를 세 친구의 입을 통해 전달하고 있다. 그리하

여 대단원에서 학습할 내용을 쉽고 친근하게 이해할 수 있

도록 하였다.

‘생각 다듬기’에서는 대단원에서 학습할 성취 기준을 포

괄적으로 제시하여 학습 목표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이책의구성

‘바탕 이론’에서는 시대별로 문학의 흐름과 변화를 일

목요연하게정리하고갈래별로자세히서술하였다.

‘어떻게 읽을까’에서는 작품 감상의 초점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읽기 중 활동’에서는 질문에 답하면서 작품의 핵심

내용을 짚어 갈 수 있도록 하였다.

‘자료 꾸러미’에서는 학습에 도움이 되는 핵심 내용을

참고 자료로 제공하였다.

‘작품 들여다보기’에서는 작품 분석을 도해 형태로 제

시하여 작품을 넓고 깊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단원을열며

소단원학습

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56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元淳文1) 仁老詩2) 公老四六3)

원 문 인노시 공노 륙

李正言4) 陳翰林5) 雙韻走筆6)

니졍언 딘한림 솽운주필

沖基對策7) 光鈞經義8) 良鏡詩賦9)

튱긔 광균경의 량경시부

위 試場ㅅ 景10) 긔 엇더 니잇고.

시 경

(葉) ⋯琴學士11)의 玉筍門生12) 琴學士의 玉筍門生

금 옥 문 금 옥 문

위 날조차 몃부니잇고.

— 제1장

5

10

한 림 제 유

1) 원 문 유원순의문장.

2) 인노시 이인로의시.

3) 공노 륙 이공로의사륙변려

문(四六騈儷文).

4) 니졍언 정언(正言) 직의 이

규보(李奎報).

5) 딘한림 한림(翰林)인 진화

(陳華).

6) 솽운주필 운을 맞추어 거침

없이써내려감.

7) 튱긔 유충기의 대책문

(對策文). 대책문은과거시험의

한과목임.

8) 광균경의 민광균의 경서 해

석.

9) 량경시부 김양경의시부.

10) 시 ㅅ경 과거시험장의모

습.

11) 금 당시에과거시험관

으로. 금의(琴儀)를가리킴.

12) 옥 문 수많은쟁쟁한제

자들. 기라성같은문인.

무신란이후에지방에서중앙정계로

진출한신흥사대부들이다.

한림제유(翰林諸儒)

경기체가에 반영된 사대부의 현실

인식에초점을맞추어읽어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한림별곡

** 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57

唐唐唐 唐楸子13) 莢남긔14),

당당당 당츄 조협

紅실로 紅글위15) 요이다.

홍 홍

혀고시라16) 밀오시라 鄭少年17)하

뎡소년

위 내 가논 갈셰라.

(葉) ⋯削玉纖纖18) 雙手ㅅ 길헤19) 削玉纖纖 雙手ㅅ 길헤

샥옥셤셤 솽슈 샥옥셤셤 솽슈

위 携手同遊ㅅ 景20) 긔 엇더 니잇고.

휴슈동유 경

— 제8장

5

10

13) 당츄 호두나무.

14) 조협남긔 쥐엄나무에.

15) 홍글위 붉은그네.

16) 혀고시라 당기시라. 당겨라.

17) 소년 유희를즐기던방탕

한젊은이.

18) 샥옥셤셤 옥을 깎은 것 같

이부드러운.

19) 솽슈ㅅㅅ 길헤 두손길에.

20) 휴슈동유ㅅㅅ 경 손을 마주

잡고노는모습.

**

●첫 번째 문학 여행을 떠나다

세 친구는 함께 모여서 한국 문학의 역사를 공부하고 있다. 삶은 달걀을

먹던 형식이 문득 수수께끼 같은 질문을 던진다.

단원을열며

형식 ⋯ 닭이 먼저야, 달걀이 먼저야?

재현 ⋯ 그야 달걀이 먼저지. 닭은 달걀과 동일체지만, 달걀은 닭 아닌

것이 돌연변이로도 낳을 수 있거든.

형식 ⋯ 하지만 닭 아닌 것이 낳았다면, 그걸 달걀이라 할 수 없잖아.

달걀은 닭이 낳는 법이니까.

수용 ⋯ 음, 뭐라고 이름을 붙이느냐에 따라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해.

형식 ⋯ 예컨대 한국 문학은 한국을 전제하는 개념이잖아. 그러니까 과

거의 문학에는‘조선 문학’같은 이름을 붙이는 게 어떨까?

재현 ⋯ 그러면 한국 문학은 근대 문학 이후에나 존재한다는 거야?

수용 ⋯ 또다시‘닭이냐 달걀이냐’로 돌아왔구나. 결국 어떤 문학을 한

국 문학이라 부를 수 있으려면 그것을 이미 한국 문학이라고

부르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잖아.

이천 년 전쯤에도 이 땅에 문학이 존재했다면, 그때의 문학은 오늘날과

얼마나 닮았을까? 오늘날의 한국 문학에는 그 옛날의 어떤 자취가 남아 있

을까?

이 단원에서는 상고 시대에서부터 통일 신라 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

학의 주요 작품을 함께 감상하면서, 이 시기에 한국 문학의 특질이나 전통

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공부해 보자.

14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1. 한국문학의개념과정체성(1) 구지가

(2) 동명왕신화

2. 한국문학의형성(1) 찬기파랑가

(2) 제가야산독서당

이시기의세계문학

(1) 오디세이

(2) 장소부에게

●우리고전문학이지닌고유한특질과정체성이무엇인지생각해보자.

●연속성의관점에서형성기한국문학에대해이해해보자.

●향가와한시, 신화와구술전승된그밖의서사를중심으로형성기한국문학의주요작품을감상해보자.

생각다듬기

단원을열며 15*

문학(2)00(001~011) 2011.11.26 3:59 AM 페이지4 mac01 T

Page 21: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3학습활동

단원을닫으며

‘도움닫기’에서는 작품의 기본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

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멀리뛰기’에서는 도움닫기의 활동을 바탕으로 더 넓

고 깊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엮어 읽기를 통해 심화된

문제를 제시하였다.

‘창작 활동’에서는 작품 내용에 대한 이해가 실제 작

품을 생산해 보는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분

야의 활동을 제시하였다.

4‘단원을 닫으며’에서는 대단원에서 학습한 핵심 내용

을 대화 형태로 요약, 정리하였다.

‘자기 점검하기’에서는 단원의 성취 기준을 세부 점검

표로 제시하여 학습 성취 정도를 점검하도록 하였다.

‘더 공부하기’에서는 자기 점검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

음의 학습 방향을 제시하여 완전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문학 여행의 첫 번째 여정을 마치다

한국 문학의 태동기 또는 형성기라 불리는 상고 시대와, 그로부터 통일

신라 시대까지 이르는 시기는 한국 문학이 아름다운 첫 자취를 남기기 시작

한 때이다. 신화에 담긴 집단적 사고, 고대 시가로부터 향가까지 폭넓은 진

폭을 보여 주는 시가들의 서정성, 우리말 문학에 대한 최초의 자각, 그리고

독자적으로 발전한 한문학의 지평이 이 시기의 성격을 규정하고 있다.

형식, 재현, 수용은 이 시대의 문학 여행을 마치며 각자가 배우고 느낀 바

를 함께 나누었다.

3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단원을닫으며

자, 다음 여행지는 어디일까?

형식 ⋯ 과거의 문학도 오늘날 우리가 경험하는 문학의 원형성을 지니

고 있어.

재현 ⋯ 오랫동안 살아 숨 쉬고 있는 고전 문학 작품은 강한 상징의 힘

을 가지고 있지. 그건 많은 사람의 입을 통해 전해지면서 공통

의 사고방식과 감정, 믿음이 쌓였기 때문이 아닐까.

수용 ⋯ 천 년보다 훨씬 전에 쓰인 과거의 문학이 살아남아 또 다른 형태

로 불리고 있다는 사실에서 문학의 보편성과 생명력을 느꼈어.

::더공부하기

>> 다른 친구들의 학습 과정 점검을 도와주자.

>> 중단원 학습 과정에서 익힌 지식을 작품에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다시한번 검토해 보자.

>> 스스로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단원의 학습 내용을 처음부터 차분히정리해 보자.

13점이상

9~12점

8점이하

단원을닫으며 39*

::자기점검하기

문학지식

점검항목 점검내용 평가

나는 스스로가 이 단원에서 고조선 시대부터 통일

신라 시대까지 한국 문학이 어떻게 성장하며 발전했

는지를 통시적 관점에서 학습하면서 이 시대의 한국

문학에 대한 다양한 문학사적 지식을 습득하게 되었

다고평가한다.

① ② ③ ④ ⑤

문학적기능과

수행

나는 스스로가 이 단원에서 한국 문학 태동·형성

기의 대표적인 작품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한국 문학

의 역사적 변화 과정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

다고평가한다.

① ② ③ ④ ⑤

맥락을통한확장

나는 스스로가 이 단원의 학습을 통해 고전 문학

작품에더많은관심을갖게되었으며, 다양한문화·

예술 양식을 통해 계승되어 온 고전 문학의 문학적

성취를다양한맥락에서체험하고수용할수있게되

었다고평가한다.

① ② ③ ④ ⑤

20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1) 이 노래는 언제, 누가 불렀는지 말해 보자.

(2) ‘거북’과‘머리’의 의미는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 이야기해 보자.

(3) 이 노래에서 위협적 어조가 나타난 부분을 찾아보고, 그 의미를 추정해

보자.

‘구지가’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이 노래를 다음과 같이 바꾸어 표현하였다. 원래 노래와 느낌이 어떻게 달라

지게 될지 각자의 생각을 말해 보자.2

천지신명이시여, 천지신명이시여!

우리에게어진지도자를보내주소서.

만약그렇지않으면

어리석은백성은어찌하오리까?

도움닫기

1. 한국문학의개념과정체성 21*

다음 시가는‘구지가’와 유사한 모티프를 지니고 있는‘해가’이다. 이 두 작

품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써 보자. 3

다음 작품이‘구지가’와 주술적 측면에서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정리해 보자. 4

거북아거북아! 수로부인을내놓아라. 龜乎龜乎出水路

남의아내를약탈해간죄얼마나큰가? 掠人婦女罪何極

네만약거역하고내다바치지않으면 汝若悖逆不出獻

그물을쳐잡아서구워먹으리라. 入網捕掠燔之喫

—‘해가’

도움 자료

처용의 모습에 대한 묘사

가 자세히 곁들여 있고 역

신에 대한 분노가 고조되

어 있는 비교적 장형의 고

려가요이다.

도움 자료

신라 성덕왕 때 수로 부인

이 해룡에게 잡혀 가자 남

편인순정공이마을사람들

을 동원해 강 언덕에서 땅

을 치며 부른 주술적인 노

래이다.

이런때에처용아비만본다면

열병신이야횟감이로다.

천금을주랴처용아비야

칠보를주랴처용아비야

천금칠보도말고

열병신을잡아날주소서.

산이나들이나천리밖으로

처용아비를비켜갈지어다!

아아, 열병대신의발원(發願)이로다.

—고려가요‘처용가’에서

(1) 어조의 측면:

(2) 구조의 측면:

공통점

차이점

구지가 해가

멀리뛰기

이시기의세계문학5한국 문학사의 해당 시기에 창작된 세계 문학을 갈래와

지역, 시대 등을 고려하여 읽기 자료 형태로 제시하고, 간단

한 해제와 함께 물음을 주었다.

‘친구들이여! 여신들 중에서도 고귀한 키르케1)가 내게 말해 준

신탁들은 한두 사람만이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닌 이상

나는 그것들을 말하겠소. 우리가 그것들을 알고 죽거나

아니면 죽음과 죽음의 운명을 피하고 벗어날 수 있도록 말이오.

그녀는 먼저 우리더러 놀라운 세이렌 자매2)의 목소리와

그들의 꽃이 핀 풀밭은 피하라고 명령했소. 그리고 그녀는

오직 나만이 그들의 목소리를 들으라고 했소. 그러니 그대들은

돛대를 고정하는 나무통에 똑바로 선 채 그 자리에서 꼼짝하지

못하도록 나를 고통스런 밧줄로 묶되 돛대에다 밧줄의 끄트머리들을

매시오. 그리고 내가 그대들에게 풀어 달라고 애원하거나 명령하거든

그때는 그대들이 더 많은 밧줄로 나를 꽁꽁 묶으시오.’

이렇게 말하고 나는 전우들에게 모든 것을 자세히 설명해 주었소.

그 사이에 우리의 잘 만든 배는 재빨리 두 세이렌 자매의 섬에

이르렀소. 부드러운 순풍이 우리의 배를 몰아다 주었던 것이지요.

그러자 금세 바람이 자더니 바다는 바람 한 점 없이 잔잔해졌소.

어떤 신이 너울을 잠재웠던 것이지요.

호 메 로 스천 병 희 옮 김

오디세이

1) 키르케 헬리오스의 딸로 마

술에능한요정.

2) 세이렌 자매 고운 목소리로

지나가는 선원들을 유혹하여 파

멸케한다는전설상의자매.

[1] 다음은그리스의대시인호메로스가쓴장편서사시의일부이다. 잘읽고, 물음에답해보자.

5

10

15

20

이시기의세계문학

40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고대그리스의시인. 그의 생애에대

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기원전

8세기 말경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

다. 유럽 문학의 최고(最古) 서사시

“일리아드”와“오디세이”의 작자로

알려져있다.

호메로스(Homeros)

그러자 전우들이 일어서서 배의 돛을 말아

속이 빈 배 안에 넣고는 노 옆에 앉아

반들반들 깎은 전나무 노로 물에 흰 거품을 일으켰소.

나는 날카로운 청동으로 크고 둥근 밀랍3) 덩이를

잘게 잘라 내 튼튼한 두 손으로 이겼소.

그러자 밀랍이 금세 데워졌으니 내 힘과 고공(高空)의 아들

헬리오스의 광선이 그렇게 되도록 강요했던 것이오.

나는 순서대로 모든 전우들의 귀에다 그것을 발라 주었소.

그리고 그들은 배 안에서 돛대를 고정하는 나무통에 똑바로

서 있는 나의 손발을 동시에 묶고, 돛대에다 밧줄의 끄트머리들을

매더니 그들 자신은 앉아 노로 잿빛 바닷물을 쳤소.

사람의 고함 소리가 들릴 만한 거리만큼 떨어졌을 때 우리는 재빨리

내달았소. 그러나 세이렌 자매도 자기들을 향해 가까이 다가오는

날랜 배를 못 볼 리 없는지라 낭랑한 노랫소리를 울리기 시작했소.

‘자! 이리 오세요, 칭찬이 자자한 오디세우스여, 아카이오이 족의

위대한 영광이여! 이곳에 배를 세우고 우리 두 자매의 목소리를

듣도록 하세요. 우리 입에서 나오는 감미롭게 울리는 목소리를

듣기 전에 검은 배를 타고 이 옆을 지나간 사람은 아직 아무도

없어요. 그 사람은 즐긴 다음 더 유식해져서 돌아가지요.

우리는 넓은 트로이아에서 아르고스 인들과 트로이아 인들이

신들의 뜻에 따라 겪었던 모든 고통을 다 알고 있으며

풍요한 대지 위에서 일어나는 일은 무엇이든 다 알고 있으니까요.’

그들이 고운 목소리로 이렇게 노래하자 내 마음은 듣고 싶어 했소.

그래서 나는 전우들에게 눈짓으로 풀어 달라고 명령했으나

그들은 몸을 앞으로 구부리며 힘껏 노를 저었소.

그리고 페리메데스와 에우릴로코스가 당장 일어서더니

더 많은 밧줄로 나를 더욱 꽁꽁 묶었소.

우리가 배를 몰아 세이렌 자매 옆을 지나가고

그들의 목소리와 노랫소리가 더 이상 들리지 않자

내 사랑하는 전우들은 지체 없이 내가 그들의 귀에다

발라 준 밀랍을 뗐고 나도 밧줄에서 풀어 주었소. 3) 밀랍 벌집을 만들기 위하여

꿀벌이분비하는물질.

5

10

15

20

25

30

이시기의세계문학 41*

문학(2)00(001~011) 2011.11.26 4:0 AM 페이지5 mac01 T

Page 22: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그럼 세 친구와 함께 떠날 단원별 여행 주제를 살펴보자.

자, 이제부터세친구와 7개의단원을열고닫으며흥미로운문학여행을

떠나보자.

특징돋보기,삼인행

문학은 영혼의 울림이 있는 정서적인 여행에 비유할 수 있다. 모름

지기 여행이란 좋은 동반자가 있을 때 더 유익하고 즐거운 법이다. 그

런 의미에서 우리의 문학 여행을 이끌어 줄 세 친구를 소개한다.

문학을 바라보는 이들의 시각은 생김새만큼이나 서로 다르다.

이 세 친구는 각자 다른 시각과 관심사를 가지고 우리와 함께 문학

여행을 떠날 것이다. 이들과 문학에 대해 묻고 답하면서 문학에서 즐

거움과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첫 번째 여행 (1단원) - 한국 문학과 만나다

● 두 번째 여행 (2단원) - 예술 형식에서 한국 문학을 발견하다

● 세 번째 여행 (3단원) - 역사적 원근법으로 한국 문학을 살피다

● 네 번째 여행 (4단원) - 근대의 풍경에서 한국 문학을 찾다

● 다섯 번째 여행 (5단원) - 한국 문학의 가능성을 모색하다

● 여섯 번째 여행 (6단원) - 동시대의 문학을 이야기하다

● 일곱 번째 여행 (7단원) - 다시, 거리에서 문학과 만나다

●발랄한대화로풀어가는교과서

96 3. 한국문학의성숙과모색*

●세 번째 문학 여행을 떠나다

단원을열며

세 사람의 대화를 참고하여, 이 단원에서는 임진왜란 이후부터 갑오개혁

이전까지의 한국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학 작품과 형식이 등장하

고 발전하는 과정을 공부해 보자.

형식 ⋯ ‘몽유도원도’에도 원근법이 있대.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원근

법은 그림을 그릴 때 가까운 곳의 사물은 크게 보이게 하고 먼

곳의 사물은 작게 보이게 하면서 한곳의 소실점을 향해 모이게

만드는 방법이잖아. 그런데 우리 옛 산수화를 보면 그렇지 않

아.

재현 ⋯ 그건 사물을 우리 눈에 보이는 대로가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정신

이나 본성을 그리려 했기 때문인 걸로 아는데? 그러다 보니, 보

는 사람의 시선보다는 그림 속 대상들의 관계가 우선이었고.

형식 ⋯ 맞아. ‘몽유도원도’에는 삼원법이라는 원근법이 적용되고 있었

어. 그림을 펼쳐 놓으면 오른쪽부터 왼쪽까지 다른 세상이 그

려져 있고, 그 대상에 따라 적용된 원근법이 달랐지.

수용 ⋯ 알겠어. 그런데‘몽유도원도’는 왜 말하는 거야?

형식 ⋯ 우리가 그림을 볼 때 적용하는 관습인 원근법처럼 우리 옛 문

학을 대할 때에도 거기에 맞는 관습을 적용해야 하거든. 가령

사설시조라면 오늘날의 문화나 사고방식과는 사뭇 달랐던 조선

후기의 시가 작품이라는 걸 인정하고 대해야 한다는 거지.

재현 ⋯ 그러니까 너, 역사적으로도‘몽유도원도’식의 원근법을 적용

해야 한다는 얘기를 하려는 거구나.

▲마인데르트호베마, 〈미델하

르니스의가로수길〉

▲안견, ‘몽유도원도’

형식 수용 재현

문학(2)00(001~011) 2011.11.26 4:0 AM 페이지6 mac01 T

Page 23: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특징돋보기, 작품들여다보기

●작품분석이잘된교과서

작품 이해를 돕기 위해‘감상의 길잡이’, ‘기본 개념으로 이해하기’,

‘넓고 깊게 이해하기’라는 세 개의 분석 틀을 작품마다 제시하였다. 자

기 주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폭넓고 상세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도해:작품의핵심내용을한눈에파악할수있도록표나그림으로도식화하여표현하였다.

·사진:작품의표지사진이나내용이해에필요한사진을적절히배치하였다.

2. 근대문학의확립과위기 203*

‘인간 문제’는 1934년 8월부터 12월까지“동아

일보”에 연재 발표된 사실주의 소설이다. 작품의

전반부에서 선비와 간난이, 첫째 등으로 대표되는

피착취 계급과 지주 정덕호 일가로 대표되는 착취

계급 사이의 갈등과 대립이 그려진다. 그러나 이 작

품의 진면목은 주요 인물들이 활동 공간을 도시로

옮긴 후반부에 있다. 간난이와 함께 방적 공장 노동

자가 된 선비, 부두 노동자가 된 첫째, 노동자들의

의식화를 돕는 신철 등을 통해 노동자의 계급 의식

과 노동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고 있다. 방적 공장

노동자들의 작업 모습, 기숙사 생활, 지식인 출신 활동가와 노동자들 사이

의 연대에 대한 생생한 묘사는 이 작품의 주제 의식을 탄탄하게 한다.

감상의길잡이

‘인간문제’는어떤작품인가

작품 들여다보기

기본개념으로이해하기

1930년대여성문학

넓고깊게이해하기

작품의주제의식

일제의 검열이 삼엄하던 1930년대에 많은 작가가 현실을 외면할 때, 강

경애는 식민지 현실을 날카롭게 재현하였다. 그는 당대의 부조리하고 비

참한 현실을 강하게 비판하고, 농민의 비참한 실상을 사실적으로 형상화

하였다. 최서해에 이어 간도를 주 무대로 삼아 많은 문제작을 썼다는 점에

서도 의의가 크다. 강경애는 남성 중심의 1930년대 문학사에서 여성 문학

의 위치를 확립한 독보적인 작가였던 것이다. ‘인간 문제’는 1930년대 조

선의 농촌 문제, 노동 문제뿐만 아니라 여성 문제, 계급 문제 등을 총체적

으로 반영하여, 이기영의‘고향’과 함께 식민지 시대 최고의 리얼리즘 소

설로 평가받는다.

▶농촌

농민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각성

되지 않았으며 단결된 힘을

갖지도못하고있음.

도시

노동자

지식인 활동가의 도움을 받아

계급 의식에 눈뜨고 투쟁하기

위해 서로 단결된 힘을 보여

주는주체로성장해감.

▲ 강경애의 사진과 그의

육필원고

감상의 길잡이 작품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과 작품 이해의 초

점을 제시함으로써 올바른 작품 감상의 인도자가 될 것이다.

기본 개념으로 이해하기 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데 꼭 필요한

핵심 개념을 해당 작품의 예를 통해 설명함으로써 작품 감상

을 위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였다.

넓고 깊게 이해하기 작품을 보는 새롭고 다양한 시각을 제시

하여 창의적이고 열린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문학(2)00(001~011) 2011.11.26 4:0 AM 페이지7 mac01 T

Page 24: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이책의차례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정체성

(1) 구지가(龜旨歌)_ 작자 미상

(2) 동명왕 신화(東明王神話)_ 작자 미상

2. 한국 문학의 형성

(1)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_ 충담사

(2)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_ 최치원

◎ 이 시기의 세계 문학

(1) 오디세이_ 호메로스

(2) 장소부에게_ 왕유

1. 구비 문학의 발전과 기록 문학의 확대

(1) 서경별곡(西京別曲)_ 작자 미상

(2) 한림별곡(翰林別曲)_ 한림 제유

(3) 국선생전(麴先生傳)_ 이규보

2. 문학 담당층의 교체와 대응

(1) 시조 세 편_ 우탁 외

(2)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_ 김시습

◎ 이 시기의 세계 문학

(1) 아라비안나이트_ 작자 미상

(2) 도연초(徒然草)_ 요시다 겐코

18

22

30

34

40

43

50

56

60

70

76

88

91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2. 한국문학의성장과발전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고구려시조인주몽의일대기를다룬건국신화

속세를떠난은자(隱者)의 울분이깃든오언율시

우탁의‘춘산(春山)에 눈 노기 람’

황진이의‘내언제무신(無信) 야’

이황의“도산십이곡”중에서‘언지(言志)’제`5, 제`6

장점 _ 1

◎ 7차 문학 교과서 제재를 활용함으로써 수업 준비

에대한부담을줄였습니다.

◎ 중단원 도입부마다‘바탕 이론’코너를 두어, 해당

단원에서 꼭 알고 넘어가야 할 문학사의 주요 사

항을 배우고, ‘짚고 가기’문제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했습니다.

◎‘작품 들여다보기’에서는 3가지 분석 틀로 접근한

입체적 해설을 실어, 제재 설명의 맥을 잡기 쉽도

록도왔습니다.

문학(2)00(001~011) 2011.11.26 4:0 AM 페이지8 mac01 T

Page 25: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00

106

116

122

128

136

148

158

166

172

186

192

196

206

214

224

225

1. 문학 현실의 변화

(1) 누항사(陋巷詞)_ 박인로

(2) 최척전(崔陟傳)_ 조위한

2. 국문 문학의 확대

(1) 시조 두 편·시집살이 노래

(2) 한중록(閑中錄)_ 혜경궁 홍씨

(3) 춘향전(春香傳)_ 작자 미상

(4) 조웅전(趙雄傳)_ 작자 미상

◎ 이 시기의 세계 문학

(1) 돈키호테_ 세르반테스

1. 근대 문학의 형성

(1) 창가와 신소설_ 최남선·이인직

(2) 나의 침실로_ 이상화

(3) 만세 전_ 염상섭

2. 근대 문학의 확립과 위기

(1)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_ 백석

(2) 장수산 1_ 정지용

(3) 인간 문제_ 강경애

(4)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_ 박태원

(5) 소_ 유치진

◎ 이 시기의 세계 문학

(1) 기탄잘리_ 타고르

(2) 유리 동물원_ 윌리엄스

3. 한국문학의성숙과모색

4. 전환기한국문학과근대문학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전란의소용돌이를헤쳐온민중의애환을그린 17세기전반의한문소설

‘영웅의일생’구조를계승한조선후기의영웅소설

겨울달밤, 산속의고요함을소재로,

탈속적(脫俗的)인 삶의의지를그린시

한국낭만주의시의전형을보여주는이상화의초기시

일제강점기, 무기력한지식인의내면의식과이를극복하려는의지가담긴시

‘창내고자창을내고자’

‘댁(宅)들에 동난지이사오’

최남선의‘경부철도가’

이인직의‘혈의누’(7차 문학수록)

문학(2)00(001~011) 2011.11.26 4:0 AM 페이지9 mac01 T

Page 26: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 격동의 시기와 현대 문학의 등장

(1) 초토(焦土)의 시 1_ 구상

(2) 풀_ 김수영

(3) 비 오는 날_ 손창섭

(4) 원고지_ 이근삼

2. 산업화 이후 현대 문학의 과제

(1) 퇴근 시간_ 문정희

(2)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_ 조세희

(3) 인연_ 피천득

◎ 이 시기의 세계 문학

(1) 일요일_ 바르가스 요사

1. 동시대의 한국 문학

(1) 노동의 새벽_ 박노해

(2) 외딴 방_ 신경숙

2. 외국 문학과의 영향 관계

(1) 목마와 숙녀·등대로_ 박인환·버지니아 울프

3. 세계 문학으로서의 한국 문학

(1) 신분_ 하종오

1. 문학과 성장

(1) 쉽게 씌어진 시_ 윤동주

2. 문학과 공동체

(1) 모래톱 이야기_ 김정한

(2) 양아록(養兒錄)_ 이문건

3. 문학과 문화

(1) 다듬이_ 정진권

(2) 시와 그림_ 서정주·천경자

부록 문학사 연표, 저자 및 출처, 사진·그림 출처

5. 한국현대문학의발전

6. 한국문학과세계문학

7. 문학과삶

234

238

242

252

264

268

278

286

296

302

314

326

338

346

354

362

366

372

장점 _ 2

◎‘학습 활동’에서는 제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확인하는‘도움닫기’, 엮어 읽기를 통해 심화된 문

제를 다룬‘멀리뛰기’로 단계를 구분했고, 다양한

분야의‘창작활동’도선택적으로제시했습니다.

◎ 장르와 시대, 작가의 성별까지 고려하여 제재를

선택했고, 특히‘이 시기의 세계 문학’에서는 한국

문학사의 해당 시기에 창작된 다양한 세계 문학을

읽기 자료 형태로 보여 주면서 작품 해제와 확인

문제를함께실었습니다.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7차 문학수록

서정주의‘화사’

천경자의‘내슬픈전설의 22페이지’

다듬이에얽힌기억을통해한국인고유의정서를

재현한현대수필

16세기조선사대부남성의시문집으로, 한시로된육아일기임.

이주노동자문제를다룬시로, 시집“반대편천국”(2004)에 실려있음.

남성우월주의와경쟁심리를통해페루의정치현실을풍자한단편소설

일본여인과의오랜인연을소재로아련한추억을고백한현대수필

6·25 직후의참혹한현실을인간애로극복하려는태도를그린연작시

아내로살아가는여성의내면적욕망을통해가부장제의억압을고발한시

열악한노동현실을노동자의목소리로노래한

1980년대노동문학의대표작

램지부인의가족과주변인물들의삶을의식의흐름기법으로서술한 V. 울프의대표작

문학(2)00(001~011) 2011.11.26 4:0 AM 페이지10 mac01 T

Page 27: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바탕이론’과‘학습활동’에인용된작품목록

6단원

7단원

항목 쪽수작품

작자 미상, ‘해가’21

작자 미상, ‘처용가’

작자 미상, ‘단군 신화’ 26

득오, ‘모죽지랑가’ 33

김관식,‘거산호 2’ 37

작자 미상, ‘정읍사’54

작자 미상, ‘가시리’

우탁, ‘한 손에 가시를 들고’74

윤선도, ‘만흥’제3수

작자 미상, ‘돈타령’ 105

작자 미상, ‘박씨전’ 113

작자 미상, ‘유충렬전’ 144

작자 미상, ‘토끼전’ 164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170

김기림, ‘길’ 190

이육사, ‘교목’ 195

최서해, ‘홍염’ 205

김동인, ‘감자’ 212

박목월, ‘산도화’ 237

이성부, ‘벼’ 241

하근찬, ‘수난 이대’ 251

나소운·이종기 각색, ‘오발탄’ 259

황석영, ‘삼포 가는 길’ 277

버지니아 울프, ‘댈러웨이 부인’ 323

석화, ‘연변 1 ─ 천지꽃과 백두산’ 329

이황, ‘도산십이곡’ 336

백석, ‘모닥불’ 345

강은교, ‘ㄱ 씨와 ㅈ 양이’ 353

정지용, ‘발열’ 358

정호승, ‘우리가 어느 별에서’ 360

5단원

3단원

1단원

2단원

4단원

문학(2)00(001~011) 2011.11.26 4:0 AM 페이지11 mac01 T

Page 28: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대단원교수·학습계획(총 9차시)

구분 차시교수·학습내용

대단원표지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정체성

(1) 구지가

(2) 동명왕신화

2. 한국 문학의형성

(1) 찬기파랑가

(2) 제가야산독서당

단원을닫으며

단원을열며

•대단원명, 중단원명, 삽화로부터학습내용과의연관성찾기

삼인행 •대화와사진으로부터학습내용에대한배경지식활성화하기

생각다듬기 •단원학습목표와과제환기하기

바탕이론 •한국문학의개념을이해하고이시기의시가문학과서사문학이해하기

소단원본문•‘구지가’를읽고노래의성격파악하기

•‘구지가’에나타난주술적언어의의미이해하기

작품들여다보기•‘구지가’는어떤작품인지살펴보기

•‘구지가’의주술적작용과거북의정체이해하기

•‘구지가’의내용과의미이해하기

학습활동•노래를바꾸어표현하였을때의느낌이야기하기

•‘해가’와의공통점과차이점이해하기

•고려가요‘처용가’와어조, 구조면에서공통점정리하기

소단원본문 •‘동명왕신화’를읽으며, 국조신을바라보는옛사람들의사고방식생각해보기

•‘동명왕신화’는어떤작품인지살펴보기

작품들여다보기 •건국신화와‘영웅의일생구조’이해하기

•‘유화’의역할과의미이해하기

•주몽의행적과‘영웅의일생’구조대응시켜보기

학습활동•신화적요소에해당하는부분을찾고특징정리하기

•단군신화와동명왕신화비교하여이해하기

•‘나의삶’을주제로신화만들어보기

바탕이론•연속성의 관점에서 형성기 한국 문학을 이해하고 형성기 한국 문학의 변화·발전

과정을이해하기

소단원본문 •표현기법에유의하여작품의주제와의미생각하여이해하기

•‘찬기파랑가’를읽고노래의성격이해하기

작품들여다보기 •사뇌가의개념파악하기

•충담사에대해알아보기

•‘찬기파랑가’의시어와시구이해하기

학습활동•다른사람이해독한내용을교과서와비교하기

•‘모죽지랑가’와형식면에서비교하고등장하는화랑의모습차이점파악하기

•기파랑에게보내는안부편지작성하기

소단원본문 •한시의형식미와표현기법에유의하며작품이해하기

•‘제가야산독서당’을읽고내용파악하기

작품들여다보기 •한시의비유이해하기

•‘기승전결’로본시상전개의과정파악하기

•시어의의미와주체정리하기

•‘물’이화자에게미치는영향과역할파악하기

학습활동 •<보기>를 바탕으로시적정황을산문으로작성하기

•‘거산호 2’와화자의태도비교하기

•현대시에서한시의기법을계승한경우를찾고, 효과 이해하기

삼인행 •대화로부터대단원의핵심내용요약, 정리하기

자기점검하기•역사적, 사회적, 시대적 맥락을 고려하여 한국 문학의 태동과 형성 과정 이해하고

확인하기

더공부하기 •점검내용을바탕으로매긴점수별로지시에따르기

1

2

3

4

5

6

7

8

9

문학(2)01(012~043) 2012.1.5 5:16 AM 페이지12 mac01 T

Page 29: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 한국문학의개념과정체성

2. 한국문학의형성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

대단원설정취지

이 단원은 2009 개정 교육 과정의‘문학 Ⅱ’과목의 성취 기준에서 (1) 문학의 위상‘(가)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

‘(나)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다)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구현한 것이다. ‘한국 문학의 태동과 형성’이라는 대단원

을바탕으로‘1. 한국 문학의개념과정체성’, ‘2. 한국 문학의형성’라는두개의중단원으로이루어져있다.

문학 교수·학습의 근본적 이유를 문학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자아를 실현하고 공동체의 발

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함양하는 것이라고 볼 때, 문학의 실제 존재 양상과 전개 양상 및 인간과 세계 전반과의 관련

양상에 대한이해를 다루는 것은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가 어디까지이고, 어떻게 한국 문

학과 외국 문학이 관련 양상을 띠며,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문학의

위상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된다. 이 대단원은 이처럼 문학의 위상을 한국 문학, 세계 문학의 차원에서 이

해하기위해설정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단원을 구성하고 있는 두 개의 중단원은 문학의 위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즉,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정체성’은‘한국 문학의 개념을 이해한다.’, ‘한국 문학 태동기의 특징을 이해한다.’와 같

이 한국 문학의 개념과 태동기 한국 문학의 특징을 이해하는 활동으로, ‘2. 한국 문학의 형성’은‘연속성의 관점에서

형성기 한국 문학에 대해 이해한다.’‘형성기 한국 문학의 변화·발전 과정을 이해한다.’와 같이 한국 문학의 형성과

변화·발전과정을이해하는활동으로이루어져있다.

지도상의유의점

이단원을지도할때는다음과같은사항에유의하는것이바람직하다.

첫째, 학생들이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국 문학의

개념은 한국 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활동의 초석이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학생들이 한국

문학의 전반적인 범위와 역사에 대해 확실한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둘째, 학생들의

문학적 수준이나 경험, 취향 등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내용을 조직한다. 중단원을 구성하고 있

는 작품은 문학적으로 의의가 있고, 고등학생이 배우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것들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작품만으로 학생들이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는 다소 부족

하다. 그러므로 다른 관련 작품들도 교수·학습 시에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문학 활동

의 폭을 넓히고 이해의 깊이를 더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대표적인 작품에 대한 학생들

의 주체적 수용을 통해 한국 문학을 이해하는 데 교수·학습의 초점을 둔다. 학교 현장에서는

교사 주도의 분석식, 암기식 교수·학습 방법으로 한국 문학을 가르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문

학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문학 활동을 한다는‘문학 Ⅱ’과목의 교육 목표

에도 어긋난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가 한국 문학의 대표 작품을 중심으로 능동적으로 학습하

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해야 한다. 교사는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문학에 대해 긍정적 인

식을가지는데까지나아갈수있도록배려해야한다.

문학(2)01(012~043) 2011.11.26 4:2 AM 페이지13 mac01 T

Page 30: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첫 번째 문학 여행을 떠나다

세 친구는 함께 모여서 한국 문학의 역사를 공부하고 있다. 삶은 달걀을

먹던 형식이 문득 수수께끼 같은 질문을 던진다.

단원을열며

형식⋯ 닭이 먼저야, 달걀이 먼저야?

재현⋯ 그야 달걀이 먼저지. 닭은 달걀과 동일체지만, 달걀은 닭 아닌

것이 돌연변이로도 낳을 수 있거든.

형식⋯ 하지만 닭 아닌 것이 낳았다면, 그걸 달걀이라 할 수 없잖아.

달걀은 닭이 낳는 법이니까.

수용⋯ 음, 뭐라고 이름을 붙이느냐에 따라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해.

형식⋯ 예컨대 한국 문학은 한국을 전제하는 개념이잖아. 그러니까 과

거의 문학에는‘조선 문학’같은 이름을 붙이는 게 어떨까?

재현⋯ 그러면 한국 문학은 근대 문학 이후에나 존재한다는 거야?

수용⋯ 또다시‘닭이냐 달걀이냐’로 돌아왔구나. 결국 어떤 문학을 한

국 문학이라 부를 수 있으려면 그것을 이미 한국 문학이라고

부르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잖아.

이천 년 전쯤에도 이 땅에 문학이 존재했다면, 그때의 문학은 오늘날과

얼마나 닮았을까? 오늘날의 한국 문학에는 그 옛날의 어떤 자취가 남아 있

을까?

이 단원에서는 상고 시대에서부터 통일 신라 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

학의 주요 작품을 함께 감상하면서, 이 시기에 한국 문학의 특질이나 전통

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공부해 보자.

14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삼인행대화살펴보기

‘단원을 열며’의 삼인행 대화

에서 형식, 재현, 수용은‘닭이

먼저냐, 달걀이먼저냐’에대한

서로의생각을나누며, 이를통

해 한국 문학의 역사에 대한

이야기로나아가고있다.

‘닭이냐 달걀이냐’의 대화에서

형식은 달걀의 본질적인 부분

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반

해 재현은 달걀이 만들어지는

방법을 다른 관점에서 이야기

하고있으며, 수용은기준에따

라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음을

말하고있다. 이러한각관점에

서 세 사람은 한국 문학의 개

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제시

하고있다. 이 단원에서는먼저

한국 문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

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생각

해보도록하고있다.

지도상의유의점

‘단원을 열며’는 한국 문학의 역사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

다. 과거의 문학이 오늘날에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생각해 보고 이를 통해 한

국문학의특질이나전통이어떻게형성되었는지이해할필요가있다. 삼인행

의 대화를 토대로 하여, 먼저 한국 문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 문학

의 범위와 역사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교사는 이들의 대화를 이해

할 때‘닭이냐 달걀이냐’에 중점을 두지 않고 한국 문학의 역사에 대한 자신

의생각을정리해보도록하는것이바람직하다.

이 단원에서학습할내용

문학(2)01(012~043) 2011.11.26 4:3 AM 페이지14 mac01 T

Page 31: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 한국문학의개념과정체성(1) 구지가

(2) 동명왕신화

2. 한국문학의형성(1) 찬기파랑가

(2) 제가야산독서당

이시기의세계문학

(1) 오디세이

(2) 장소부에게

●우리고전문학이지닌고유한특질과정체성이무엇인지생각해보자.

●연속성의관점에서형성기한국문학에대해이해해보자.

●향가와한시, 신화와구술전승된그밖의서사를중심으로형성기한국문학의주요작품을감상해보자.

생각다듬기

단원을열며 15*

중단원목차와지도방법

이대단원은‘1. 한국 문학의개념과정체성’, ‘2. 한국 문학의형성’이라는두

개의 중단원에 실린 작품을 소단원 제목으로 삼고 있다. 교사는 소단원 제재

가 되는 작품을 간략하게 소개해 주어, 학생들이 중단원 제목과 소단원 제목

간의 상관 관계를 유추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즉 본 교수·학습에 들어가기

에 앞서, ‘구지가’는 여러 사람이 땅을 구르면서 거북에게 머리를 내놓으라고

위협하는 시가이고, ‘동명왕 신화’는 주몽의 신이한 탄생과 시련, 그리고 영웅

적 투쟁을 통한 고구려 건국 과정을 이야기하는 설화이며, ‘찬기파랑가’는 향

찰 표기 방식을 사용하여 화랑의 인품을 상징적으로 형상화한 노래라는 점,

‘제가야산독서당’은 세상을 멀리하고 산중에 은둔하고 싶은 화자의 마음을 기

승전결의시상전개방식을 통해형상화하고 있는노래라는점을간략하게언

급한다. 그리하여 이것들이 소단원에서 배울 내용과 어떻게 관련될지를 추측

해볼수있도록지도한다.

생각다듬기지도방법

교사는‘생각 다듬기’가 이제부터 학습할 대단원의 학습 목표임을 학생들에게

주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본격적인 교수·학습을 전개하기 전에 반드시 읽

어 보도록 지도하여 학습의 초점을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 본 대단원에서는

‘한국 문학의 개념’, ‘형성기의 한국 문학’, ‘한국 문학의 변화·발전 과정’

등의 내용을 한국 문학의 대표 작품의 감상을 통해 다루게 된다는 사실을 학

생들이 분명하게 인식하도록 한다. 특히 형성기의 한국 문학은 오늘날과는 다

른 세계관을 바탕으로 집단적·주술적 성격에서 개인적·서정적 성격으로의

흐름을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후대 한국 문학에 창조적으로 계승되어 발전된

다. 교사는 향가와 한시, 신화와 그밖의 서사를 중심으로 한국 문학사와 한국

문학의실제양상에대한이해의폭을넓히도록안내한다.

문학(2)01(012~043) 2011.11.26 4:3 AM 페이지15 mac01 T

Page 32: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6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01한국문학의개념과정체성1. 한국문학의개념을이해한다.

2. 한국문학태동기의특징을이해한다.

| 학습목표|

한국 문학은‘한민족의 삶, 정서, 사상 등이 각 시대마다의 생활과 문화 환

경에 맞는 표현 언어를 통하여 형상화된 문학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표현 주체, 표현 언어, 표현 방법, 표현 내용 등에 대해 포괄적으로 고려한

정의라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한국 문학에는 구비 문학 / 기록 문학, 국문

문학(향찰 등 차자 표기 포함) / 한문 문학, 고전 문학 / 현대 문학 등으로 구

분되는 대상들이 포함된다. 한국 문학의 분류 기준과 그에 따른 다양한 분류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한국 문학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 기원은 우리 민

족이 이 땅에 터 잡고 살면서부터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는 한국 문학의

태동기로서 원시 고대로부터 향찰 문자 출현 이전까지에 해당한다. 아직 본

격적인 민족어가 형성되지 않은 까닭에 이 시대의 문학은 원형 그대로 전하

지 않고 구비 전승되거나 한자로 번역되어 전해진다. 한국 문학의 태동기

이 시대의 예술과 문학은 제천 의식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부

여의‘영고(迎鼓)’, 예의‘무천(舞天)’, 고구려의‘동맹(東盟)’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제천 의식에서 수행된 원시 종합 예술이 점차 무용, 음악, 시가의 양

식으로 분화된 것이다. 특히 이 의식에서 신의 위업과 능력을 찬양하는 장엄

한 서사시가 노래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건국 신화이다. 건국 신화는 고대 문

학이 시작되었다는 증거이다. 이러한 신화를 통해서는 공동체의 집단적 사고

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집단부터 개인에 이르는 폭넓은 서정의 노래도 출

현하였는데, 실제 전하는 작품은‘구지가’, ‘공무도하가’, ‘황조가’세 편뿐

이다. 이들 노래들을 통해 집단적·주술적(呪術的) 성격에서 개인적·서정적

성격으로 전이되어 가는 노래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한국 문학의 기원

한국문학의개념과정의

이 시기의 노래들은 수렵·채취·농경의 생활에서 형성된 자연과 초월적

존재에 대한 경외심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사람살이의 경험에서 비롯

된 욕망과 감정도 드러나고 있어서 서정적 노래의 다양한 양상들이 이때부터

출현하였다.

이시기의시가문학

한국문학의범위

●구비문학

▲ 고구려고분인‘무용총’의수렵도

●기록문학

한문학

국문문학고전문학

현대문학

참고자료

•한국문학의범위와영역

한국 문학은 한국인 작자가 한국인 수용자를

상대로 한국어로 창작한 문학이다. 한국인은

다른민족과섞이지않고살아왔으며, 민족적

특색이 뚜렷하다. 그러므로 작자나 수용자가

한국인인가가리는데아무런어려움이없다.

언어가단일언어로통일되어있어, 한민족의

언어이고 한국의 국어인 한국어를 사용하는

문학이 바로 한국 문학이다. 한국은 소수 민

족또는소수언어의문제가없는가장큰나

라라고 할 수 있다. 그 점에서 중국이나 일본

과 다르다. 한국 문학은 민족 국가 문학의 좋

은 본보기가 된다. 한국 문학사에서 민족 국

가의 문학이 형성되고 발전되어 온 전형적인

모습을 찾을 수 있다. 일본의 식민지 통치를

받는얼마 동안 국가를 잃었다. 그러나 그 기

간동안에도한국인은한국어를지키고, 한국

문학을민족문학으로발전시켰다.

- 조동일외, “한국문학강의”(길벗, 1994)

지도상의유의점

이단원의학습목표는‘한국문학의개념’과‘태동기한국문학의특징’으로구분된다. 특히‘한국문학의개념’를가르칠

때에는한국문학의다양한분류기준을명확히설명하여한국문학의범위를학생들이혼동하지않도록지도할필요가있

다.

우리의삶과밀접한관련이있는문학

신라시대이전까지를의미함.

제천의식을비롯한집단행위를할때여럿이모여춤추고노래하는행위

문학(2)01(012~043) 2011.11.26 4:3 AM 페이지16 mac01 T

Page 33: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 한국문학의개념과정체성 17*

오늘날까지 전하는 이 시대의 노래 세 편 가운데‘구지가’는 주술적인 성

격을 드러내는 집단적 의식요이지만, ‘황조가’와‘공무도하가’는 개인의 서

정 가요로 발전해 가는 작품이다. 특히‘황조가’는 간결하면서도 솔직한 표

현으로 화자의 감정을 드러낸 서정시이다. 고대 시가의 대표 작품

이들 고대 시가는 모두 4언 4구 형태의 한시 형태로 번역되어 전하며, 노

랫말 외에 설화를 동반하고 있어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야

기 속 내용들과 대응하는 역사적 사실을 들어 민족 문화의 의의를 드높일 만

한 역사 현실의 비유와 상징들로 설명하거나, 작품에 나타난 내용의 아름다

움과 표현 기법 등에 주목하여, 한국 문학의 미의식과 상상력이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하기도 한다.

이들 노래를 통해 단형(短形)이라는 고대 시가의 형태적 특성과 주제의 보

편성이 전승의 강한 생명력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고대 시가의 특징

은 향가에 이어져 형태적 발전과 서정적 세련미를 더해 갈 수 있었다.

❶한문문학을한국문학에포함해야하는근거는무엇인지말해보자.

❷우리나라건국신화의특징과의미에대해알아보자.

짚고가기

이 시기는 부족 간의 이동과 통합을 통해 연맹체 국가를 형성하기도 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유이민(流移民)의 이주와 정복을 통해 국가 체제가 새롭

게 재편되기도 하였다. 바로 이러한 시기에 국가의 질서를 확립하고 공동체

의 결속을 위해 강력한 구심력을 발휘한 서사 양식이 건국 신화라 할 수 있다.

‘단군 신화’와‘동명왕 신화’가 대표적인데,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고 그 정당

성을 부여하기 위해 건국 신화는‘영웅의 일생’과 같은 영웅적 주인공의 서사

를 주요 내용 요소로 구성되었다. 신화의 주인공들로는 단군, 주몽, 혁거세,

탈해, 알지, 수로 등의 건국 시조들이 있다. 이러한 건국 신화는 천손 하강형

(天孫下降型)이 특징적이다. 주인공들이 모두 하늘의 힘에 의해 탄생하고 왕위

에 오르는 과정을 공통적으로 보여 주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들 건국 신화

의 주요 모티프는 조선 후기 영웅 소설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이시기의서사문학

▲‘공무도하가’의 다른 이름

은‘공후인’이다. 이때‘공후’

는 고대 동양의 현악기를 가리

킨다.

▲ 고조선의건국시조인단군

짚고가기 1

활동 안내|보편 문어로서의 한문의 위치를

상기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학으로서의

한문 문학에 대해 생각하도록 질문을 통해

유도한다.

예시 답|우리는 19세기까지의 동아시아 세

계, 즉 한문 문화권에서 한문이 차지하였던

보편 문어로서의 위치를 상기해야 한다. 한

문은 중세 유럽의 라틴 어나 아랍 문화권의

고전 아랍어와 동일한 성격을 갖는 보편 문

어의 일종이었다. 그 결과 이루어진 한문 문

학은 동아시아의 각 민족들이 한문이라는 보

편 문어를 통해 한편으로는 동아시아 문화권

의 문화적 자산을 흡수하면서 한편으로는 각

자의 경험과 사고를 표현한 것으로서, 단순

히 그 문자체계의 근원만을 기준으로 삼아

타자의 것이라고 배제할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한문으로 쓰여졌다 하더라도 그것이

자국인에 의하여 자국의 역사적 경험과 문화

의 일부를 형성한 것이라면 마땅히 자국어

문학의범주안으로포함되어야한다.

활동 안내|본문에 제시된 우리나라 건국 신화의 특징을 학생 스스로 정리하도록 지도한다. 이러한 특징이 후대의

문학작품에어떠한영향을주었는지생각해보도록유도한다.

예시답|우리나라의건국신화는나라를세운시조의연원을밝히고왕업의신성을드높임으로써국가질서의신성

한 권위를 확립하려는 배경에서 형성되었다. 따라서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시조는 하늘을 부계로 하고 땅

을 모계로 하는 신성한 연원을 가졌다. 또한 이야기의 서사 구조는‘영웅의 일생’이라는 유형 구조를 전형적으로 취

하고 있다. 신화적 주체의‘출생 - 입사 - 혼인 - 즉위(건국)’의 과정을 담고 있어 인간의 삶에서 신화가 하나의 이

상적모델이자전범적기능을하고있다고할수있다.

고대시가의특징과발전

정복과지배과정을정당화하고집단의우월성을과시함.

“유충렬전”

』̀

『 』̀: 이 시기의시가문학은서사문학과완전히분화되지않은상태임.

문학(2)01(012~043) 2012.1.5 5:16 AM 페이지17 mac01 T

Page 34: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1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거북아, 거북아, 龜何1)龜何 호명

머리를 내밀어라. 首2)其現也 명령

만약 내밀지 않는다면 若不現也 가정

구워서 먹으리. 燔灼而喫也 위협

작 자 미 상

1) 何(하) 호격 조사로, 이두식

표기이다.

2) 首(수) 거북의머리또는부

족의우두머리로보기도한다.

명령과 위협의 구조로 이루어진 주

술적 언어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며

읽어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구지가

**

참고자료

•‘구지가’와거북의정체

‘구지가’를설화가아닌시가자체의문맥

으로 이해하는 데는 거북과 그 머리의 의

미 파악이 중요한 열쇠가 된다. ‘거북’은

일반적으로 신령스럽고 오래 사는 동물로

토템의 대상이다. 또, 이 작품에서 화자의

소망은 거북에게 그 머리를 내어놓으라는

것이다. 그 머리는 우두머리와 같은 말로

서, ‘수로’의 뜻이‘머리를 내어놓는다.’인

점 등에 착안할 때 임금을 상징하는 말이

다. 요컨대 구지가는 토템(거북)에게 임금

(수로왕)의 출현을요구하는내용이다.

- 정경섭, “고전문학의이해와감상”

(문원각, 2003)

소단원설정취지

‘구지가’는 배경 설화를 동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또한 형태적 특성 면에서 한국 문학 태동기 시가의 특징을 잘 나

타내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시가 작품은‘구지가’, ‘공무도하가’, ‘황조가’의 세 편이 전하는데,

그중에서도‘구지가’만이 집단적‘의식요’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이와 더불어 주술성을 지니고 있다는 성격적 특성

을 가지고 있으며, 명령어법이라는 표현상의 특징이 드러난다. 또한, 현전하는 최고의‘집단요’라는 문학사적 의의

를지니고있어‘구지가’가이단원에서한국문학의태동기시가에대해공부할수있는적절한제재라고판단되어

이작품을소단원으로설정하였다.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작품연구

•시기:̀ 신라 유리왕 19년

•갈래:̀ 4언 4구체한역시가, 서사적서정시, 노동요

•성격:̀ 주술적, 집단 무가, 구비 전승

•특징:̀ ① 주체의소망을점층적으로표현하고있음.

② 대상을위협함으로써소망의의지를강조함.

③ 주술적위협, 직설적표현, 명령 어법등의표현을사용함.

•주제:̀ 왕의 강림을기원

•의의:̀ 현전 최고(最古)의 집단요이며노동요

거북은신령스러운것을나타내고장수하는동물임.

주술적노래에서는첫부분에호명이쓰임.

생명의근원

플러스활동

1. ‘거북’의다양한의미를쓰시오.

예시 답|‘거북’은 신령스런 존재

이면서, 장수하는 동물이며, 다산

의 상징, 왕의 출현 요구의 대상,

생명력의상징이다.

2. ‘구지가’에서 화자와 청자의 관

계를쓰시오.

예시 답|화자보다 청자가 더 높

은지위에있다.

문학(2)01(012~043) 2012.1.5 5:16 AM 페이지18 mac01 T

Page 35: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 한국문학의개념과정체성 19*

‘구지가’는 가락국 창건과 관련한 건국 신화에 삽입되어 있는 노래이다.

가락국의 군중이 임금을 맞이하기 위해 부르는 주술적인 노래로 영신군가

(迎神君歌)라고 할 수 있다. 백성들이 왕의 강림을 기원하면서 영험하다는

구지봉 위에서 이 노래를 집단적으로 부르는 것은 일종의 제의적 행위이

다. 또한 노래를 부를 때, 봉우리의 흙을 두드리는 행위에는 풍년을 바라

는 마음이 담겨 있다. 지혜로운 임금의 출현과 풍요로운 생활은 소망은 고

대인들의 가장 강렬한 바람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명령과 위협의 구조로

표현함으로써 소망을 달성하려는 주술적 의도를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감상의길잡이

‘구지가’는어떤작품인가

작품 들여다보기

기본개념으로이해하기

노래의주술적작용

넓고깊게이해하기

‘구지가’와거북의정체

‘구지가’에서 백성들의 간절

한 소망을 실현시켜 준 것은 집

단이 마음을 모아 부른 노래였

다. 즉 문제 해결의 열쇠가 집단의 염원을 담은 언어에 있다는 믿음은 신

화적 질서가 지배하는 시대에는 사람들의 의식을 강력하게 지배했던 것으

로 보인다. 또 고대 사람들은 자신들의 삶이 스스로의 힘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는 자각 속에서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초월적 존재를 매개로 한 소망

의 표출은 곧 그들의 주술적인 세계 인식을 보여 준다. 언어를 통한 문제

해결의 사례를 보여 주는 문학 작품들은, 아직 세계의 구성과 운영의 주체

가 인간이 아닌 신적 존재라고 믿는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신화 시대의 주술은 인간의 소망을 가장 소박한 언어로, 구체적이고도

직접적인 방식을 빌려 기원하는 언어 표현이다. ‘구지가’에서 가장 인상

적인 표현인‘머리를 내밀어라’에는 현군(賢君)의 출현과 풍년을 기원하는

백성들의 열망이 집약되어 있다. 이 둘의 공통점은 모두 생명의 결실에 있

다. 머리를 내민다는 것은 곧 정상적인 출생을 의미한다. 백성들은 자신들

의 임금이 어머니의 자궁을 거쳐 정상적으로 태어나기를 간절하게 바라는

마음과, 곡식이 땅 위로 자라는 모습을 강렬한 언어에 담아 표현한 것이

다. 한편 여기서 거북은 가락국 백성들이 섬기는 신령스러운 존재, 즉 토

템일 가능성이 높다. ‘구지가’는 거북을 토템으로 섬기는 가락국 백성들

의 강렬한 소망을 담은 주술적 노래인 것이다.

주술적

세계

개인서정시집단가요▶

지도상의유의점

이 작품이 집단적 성격을 잘 보여 주는 작품

이라는 점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특히 집단

의 구성원이 명령과 위협의 표현 방식을 통

해 왕의 강림을 기원하며 부르는 노래라는

점을강조하여지도한다.

지도상의유의점

이 작품은 언어와 행위를 통해 구성원들의

소망을 이루기 위한 강한 의지가 보인다는

점에서 어느 작품보다도 주술적이다. 교수·

학습시 이러한 점에 비추어 소원 성취의 의

지가 잘 나타나는 부분을 작품 속에서 찾을

수있도록지도한다.

지도상의유의점

이 작품에서 집단 구성원들의 소망을‘거북’

에게 요구하는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따라서 교수·학습 시에 이러한 점

에 비추어 학생들이 이 작품을 감상할 수 있

도록지도한다.

‘구지가’의주술적성격

문학(2)01(012~043) 2011.11.26 4:3 AM 페이지19 mac01 T

Page 36: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20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1) 이 노래는 언제, 누가 불렀는지 말해 보자.

(2) ‘거북’과‘머리’의 의미는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 이야기해 보자.

(3) 이 노래에서 위협적 어조가 나타난 부분을 찾아보고, 그 의미를 추정해

보자.

‘구지가’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이 노래를 다음과 같이 바꾸어 표현하였다. 원래 노래와 느낌이 어떻게 달라

지게 될지 각자의 생각을 말해 보자.2

천지신명이시여, 천지신명이시여! → 호명

우리에게어진지도자를보내주소서.

만약그렇지않으면

어리석은백성은어찌하오리까?

도움닫기

활동 안내 1`-(̀1)|이 노래가 어떤

상황속에서불리게됐는지생각해

보도록 유도한다. 또한 태동기 한

국 시가의 성격을 잘 보여 주고 있

다는점에초점을두고지도한다.

활동 안내 1`-`(2)|‘거북’과‘머

리’가 노래를 부르는 집단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고려하여 생각해

보도록지도한다.

활동 안내 1`-(̀3)|이 작품이 어떠

한 시상 전개 방식을 사용하여 노

래를 불렀는지 생각해 보도록 유

도한다. 특히 집단의 소원 성취를

위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였는지

에대해초점을두어지도한다.

활동 안내 2|원래 노래와 고쳐

쓴 노래의 표현 방식을 비교해 보

는활동이다. 활동 1̀-(̀3)과 관련지

어 생각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특

히‘구지가’와 달라진 표현 방식을

파악하도록 지도한다. 이 활동을

할 때에는 소집단 토의 학습으로

교수·학습을 전개하는 것도 바람

직하다.

참고자료

•구지가의성격

‘구지가’는 노랫말의 짜임이나 노래를 불러서 무엇인가를 이루어 내는 경위가“삼국유사”의‘수로부인(首露婦人)’에

나오는‘해가(海歌)’와 매우 흡사하다. 이를 근거로 구지가의 성격에 대해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위협적인 노

래를 해서 문제를 해결하거나 소원을 이루는 주술적인 노래로 볼 수 있고, 거북의 머리 모양이 남성의 성기와 흡사

한 모양을 하고 있다는 점과 이 노래를 매개로 사람이 태어났다는 점을 연관시켜 해석하면 출산 기원의 노래로 볼

수도있다. 그런가 하면본디노동요였던것이나중에설화속에끼워진것으로볼수도있으며, 동요와 흡사한놀이

의노래로볼여지도있다. - 조동일외, “한국문학강의”(길벗, 1994)

예시 답|“삼국유사”‘가락국기’에 따르면 이 작품은 기원 후 42년(신라 유리왕 19년), 가락국 창건 무렵 임금인 수

로를 맞이하는 제의에서 추장인 구간을 중심으로 한 백성들에 의해 집단적으로 불리운 노래이다. 태동기 한국 시가

의집단적이고주술적인국면을잘보여주고있는작품이다.

예시답|•‘거북’̀: 신성성(神聖性), 장수성(長壽性)을 가진신령스런존재

•‘머리’̀: 우두머리, 신비스러운존재, 풍요 혹은임금의출현을은유하는상징적표현

예시 답|‘만약 내밀지 않는다면 구워서 먹으리’라는 표현에는 명령과 위협의 어조를 통해 소망의 달성을 실현하려

는 집단적 의지가 드러나 있다. 소망의 내용은 지혜로운 임금의 출현과 풍요로운 생활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를 위

해강렬한위협의어조를사용한것은언어를통해문제를해결하려는주술적의도에서비롯된것이다.

예시답|소망의 주체인 백성들이 무엇을 지향하는지 그 내용을 뚜렷하게 알 수 있는 반면, 노래가 수행하는 상징성

은약화되었다고할수있다.

구체적인대상요구

문학(2)01(012~043) 2012.1.5 5:16 AM 페이지20 mac01 T

Page 37: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 한국문학의개념과정체성 21*

다음 시가는‘구지가’와 유사한 모티프를 지니고 있는‘해가’이다. 이 두 작

품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써 보자. 3

다음 작품이‘구지가’와 주술적 측면에서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정리해 보자. 4

거북아거북아! 수로부인을내놓아라. 龜乎龜乎出水路

남의아내를약탈해간죄얼마나큰가? 掠人婦女罪何極

네만약거역하고내다바치지않으면 汝若悖逆不出獻

그물을쳐잡아서구워먹으리라. 入網捕掠燔之喫

—‘해가’

도움 자료

처용의 모습에 대한 묘사

가 자세히 곁들여 있고 역

신에 대한 분노가 고조되

어 있는 비교적 장형의 고

려가요이다.

도움 자료

신라 성덕왕 때 수로 부인

이 해룡에게 잡혀 가자 남

편인순정공이마을사람들

을 동원해 강 언덕에서 땅

을 치며 부른 주술적인 노

래이다.

이런때에처용아비만본다면

열병신이야횟감이로다.

천금을주랴처용아비야

칠보를주랴처용아비야

천금칠보도말고

열병신을잡아날주소서. → 역신에 대한 분노 고조

산이나들이나천리밖으로

처용아비를비켜갈지어다! → 열 병신의 무력과 처용의 위력 찬양

아아, 열병대신의발원(發願)이로다.

—고려가요‘처용가’에서

(1) 어조의 측면:

(2) 구조의 측면:

공통점

차이점

구지가

•신성한존재인‘거북’을통해소원을성취하고자하는집단적이고주술적인노래

•주술적노래가갖는구성상의특징을공유하고있음(호명 - 명령 - 가정 - 위협).

•수로왕의 강림을 기원, ‘영신군가(迎

神群歌)’/ •왕의 출현이라는 공적

성격 / •4언 4구의한역시형태

•수로부인의 귀환을 기원 / •초월적 존재

에게 납치된 여인의 구출이라는 좀 더 사

적인 성격 / •7언 4구의 한시 형태(내용

과형식의확대)

해가

참고자료

‘구지가’는 언어 주술과 행위 주술과 심리 주술을 완벽하게 갖추었을 뿐 아니라, 언어 주술 그 자체인‘구지가’역시

호칭·명령·가정·위협의 말로 짜여져 있어 가장 전형적인 주사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주사로서의 측면에서 볼

때, 거북은 주술자와 신또는신적인 존재사이의매개자이며, 머리는 주술자들이 간절히 강림하기를 바라는군주, 즉

수로왕이라하겠다. 통시적으로거슬러올라가면원래이‘구지가’는그이전부터김해지방에서기우제때부르던노

래이던것이이때를당하여수로왕의강림을촉구하는것으로변개된것으로보인다.

후대로 내려와‘해가사’에서 거북에게 수로부인을 내놓으라고 노래한 것을 보면‘구

지가’의통시적, 공시적의미망은처음부터상당부분좁혀져있었던것이다.

- ‘고대가요를어떻게가르칠것인가’, “교육논총”제2집(서원대교육대학원, 1998)

‘해가’작품연구

•시기:̀ 신라 성덕왕

•갈래:̀ 주술가, 서정가, 7언 4구체한역시가

•성격:̀ 주술적, 집단적, 명령 어법구사

•주제:̀ 납치된 수로 부인의 무사 귀환을 기

원함.

‘처용가’작품연구

•갈래:̀ 고려 가요

•성격:̀ 주술적, 축사(逐邪)

•특징:̀ ① 벽사진경의민속에서형성된무가

②체념과 관용을 바탕으로 한 축사의

노래

③역신에 대한 처용의 분노가 절실하

게드러남.

④ 처용, 역신, 서술자 등의 등장인물

등장→희곡적요소

•주제:̀ 역신을몰아내는처용의위용과기상

•출전:̀ “악학궤범”, “악장가사”

활동 안내 3|유사한 포티프를 지

닌 다른 대표 작품인‘해가’와의

비교를 통해 작품의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한다. 특히

모티프에 따른 본질상의 공통점을

고려하여 작품의 의도, 형식, 성격

등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해 보도

록지도한다.

활동 안내 4|고대 주술 시가의

다른 작품을 비교하여 작품의 특

징을 파악하도록 한다. 이때 주술

적인 방식으로 시적 화자의 목적

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표현 방식

을 사용했는지에 초점을 두어 지

도한다.

멀리뛰기

예시답|대상에대한강렬한위협(적 어조)

예시답|호명(거북, 처용) - 발원(머리를내밀어라, 열병 신을잡아날주소서)

문학(2)01(012~043) 2011.11.26 4:3 AM 페이지21 mac01 T

Page 38: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22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고구려는 곧 졸본 부여(卒本夫餘)다. 어떤 사람은 지금의 화주(和州)라

고도 하고 성주(成州)라고도 하나 모두 잘못된 것이다. 졸본주는 요동 경

계에 있는데, “국사(國史)”‘고구려 본기(高句麗本紀)’에는 이렇게 되어

있다.

시조 동명1)성제(東明聖帝)는 성이 고씨(高氏)이고 이름은 주몽(朱蒙)2)이

다. 이에 앞서 북부여의 왕 해부루가 동부여로 피해 가 살았는데, 부루가

죽자 금와가 자리를 이어받았다. 금와는 그때 태백산3) 남쪽 우발수(優渤

水)에서 한 여자를 만났는데, 그녀는 이렇게 말하였다.

“저는 하백(河伯)4)의 딸 유화(柳花)입니다. 동생들과 놀러 나왔을 때 한

남자가 나타나 자신이 천제(天帝)의 아들 해모수라고 하면서 웅신산(熊神

山)5) 아래 압록강에 있는 집으로 유혹하여 사통(私通)하고는, 저를 버리

고 떠나가서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부모는 제가 중매도 없이 다른 사람

을 따라간 것을 꾸짖어 드디어 이곳으로 귀양을 보내 살도록 했습니다.”

금와는 괴이하게 여겨 유화를 방 안에 남몰래 가두었더니 햇빛이 비추

었다. 그녀가 (몸을) 피하자 햇빛이 또 따라와 비추었다. 이로 인해 임신

하여 알을 하나 낳았는데 크기가 다섯 되쯤 되었다. 왕이 이것을 개, 돼지

에게 던져 주었지만 모두 먹지 않았고, 길에다 버렸으나 말과 소가 그 알

을 피해 갔으며, 들판에 버리니 새나 짐승이 알을 덮어 주었다. 왕은 그것

을 깨뜨리려고 했지만 깨어지지 않았으므로 유화에게 돌려주었다. 유화가

천으로 알을 부드럽게 감싸 따뜻한 곳에 두자 어린아이가 껍질을 깨고 나

왔는데, 골격과 겉모습이 영특하고 기이하였다. 비정상적인 출생

나이 겨우 일곱에 용모와 재략이 비범했으며, 스스로 활과 화살을 만들

어 백 번 쏘아 백 번 맞추었다. 나라의 풍속에 활 잘 쏘는 사람을 주몽이

라 하였으므로 이로써 이름을 삼았다. 탁월한 능력

5

10

15

20

25

1) 동명 부여의여러부족의공

동 신을 나타내는 보통 명사로

보는학설이있다.

2) 주몽 추모(鄒牟), 추몽(鄒

蒙), 중모(中牟), 중모(仲牟)라

고도썼다.

3) 태백산‘고조선’조에서는

묘향산이지만 여기서는 백두산

을말한다.

4) 하백 물을다스린다는신.

5) 웅신산‘압록강가’라는단어

로볼때백두산인듯하다.

주몽이 활을 잘 쏘았다는 것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생각해

보자.

주몽이갖은시련끝에고구려를세

우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신화로, 국

조신을 바라보는 옛사람들의 사고

방식을중심으로읽어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동명왕신화소단원설정취지

‘동명왕 신화’는 건국 신화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많은 신화적 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영웅의 일대기적 구조를 갖추

는 등 건국 신화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이 후대 서사 양식에 영향을 주면서 한국 문학 전

통의 한 줄기를 형성한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점에 근거하여‘동명왕 신화’가 한국 문학 태동기의 서

사문학양식의특징을잘드러내는작품이라고판단되어이작품을소단원의제재로삼았다.

활동 안내|이 작품이 영웅의 일

대기적 서사 구조를 가지는 것에

주목하여, 영웅의 비범한 능력을

주인공의 이름과 연관 지어 생각

해볼수있도록지도한다.

예시 답|탁월한 능력을 가진 남

성이 하늘에서 부여한 권능을 실

현해 나라를 세운 위업을 칭송하

는 기본 설정에서 계급이 분화되

고 역사가 시작된 변화를 확인할

수있다.

<참조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2005)>

난생 신화, 기이한탄생

비범한능력을지님.

작품연구

•갈래:̀ 건국 신화

•성격:̀ 서사적, 영웅적

•주제:̀ 주몽의탄생과고구려의건국

•의의:̀ ① 건국 이념인‘홍익인간’을 밝

히고있음.

② 후대영웅서사문학의전형

』̀

『 』̀: 천부지모(天父地母)의 신성혼인구조

고귀한혈통

문학(2)01(012~043) 2011.11.26 4:3 AM 페이지22 mac01 T

Page 39: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 한국문학의개념과정체성 23*

금와에게는 일곱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항상 주몽과 함께 놀았다. 그러

나 그들의 기예가 주몽에게 미치지 못하자 맏아들 대소가 말하였다.

“주몽은 사람에게서 태어난 것이 아니니 일찍이 도모하지 않으면 아마

도 후환이 있을 것입니다.” 어려서 버려짐.

왕은 듣지 않고 주몽에게 말을 기르도록 하였다. 주몽은 준마를 알아보

고 먹이를 조금씩 주어 마르게 하고, 늙고 병든 말은 잘 먹여 살찌게 하

였다. 왕은 자신은 살찐 말을 타고 마른 것은 주몽에게 주었다. 왕의 아들

들과 여러 신하들이 함께 주몽을 해치려 하자, 주몽의 어머니는 그 사실

을 알고 아들에게 말하였다. 다시 위기를 맞이함.

“나라 사람들이 곧 너를 해치려고 하는데, 너의 재략(才略)이라면 어디

를 간들 살지 못하겠느냐? 빨리 떠나거라.”

그래서 주몽은 오이(烏伊) 등 세 사람과 벗을 삼아 엄수(淹水)에 이르러

물〔水〕에게 알려 말하였다.

“나는 천제의 아들이자 하백의 손자이다. 오늘 도망치는데 뒤쫓는 자들

이 가까이 오고 있으니 어떻게 하면 좋겠는가?”

그러자 물고기와 자라가 다리를 만들어 건너게 한 다음 다리를 풀었으

므로 뒤쫓던 기병은 건너지 못하였다. 졸본주에 이르러 마침내 도읍을 정

했으며, 미처 궁궐을 짓지는 못하고 단지 비류수(沸流水) 가에 초가집을

지어 살면서 국호를 고구려라 하였다. 이로 인해 고(高)를 성씨로 삼았다.

5

10

15

‘동명왕신화’속의샤머니즘

주몽의 활은 주술적 능력이 있

는샤먼의도구라볼수도있다.

또한 주몽은 왕실에서 핍박을

받을 때 말을 길렀고, 그 말을

이용해 부여를 떠난다. 일반적

으로 무속 신앙에서 말은 죽은

자의 영혼이나 샤먼을 태우고

천상계와인간계를왕래하는역

할을한다. 그리고엄수에서자

라와 물고기들의 도움을 받아

위기를 모면한 것은 주몽의 샤

먼적특성을보여준다.

자료꾸러미

』̀

『 』̀: 주몽이겪을시련

『 』̀: 주몽의계략

』̀

장애물, 영웅의시련

조력자의도움으로고난극복

위기극복, 승리함

문학(2)01(012~043) 2011.11.26 4:3 AM 페이지23 mac01 T

Page 40: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24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동명왕 신화’에 등장하는 공간은 천상과 지상을 넘나들고, 북방의 광활

한 만주 대륙에서 한반도에까지 걸쳐 있다. 주몽의 아버지 해모수의 등장

은 북방계 신화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천손 하강형의 특징을 보여 준다.

이는 환인의 아들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와 신시(神市)를 여는 모티프와 유

사하며, 건국의 주체가 탄생하는 과정도 비슷하다. 단군이 천상적 존재와

지상적 존재가 결합하여 탄생한다면, 고구려 건국의 영웅 주몽 역시 천상

의 존재 해모수와 지상의 존재 유화의 결합으로 탄생한다. 한편 유화가 햇

빛을 통해 알을 낳고 거기서 주몽이 태어나는 것은 남방계 신화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난생형(卵生型)의 특징이자, 태양 숭배 사상의 흔적이다. 이 두

가지 특징을 모두 갖춘‘동명왕 신화’는 북방계와 남방계 신화가 결합된

것이라 볼 수 있다.

감상의길잡이

‘동명왕신화’는어떤작품인가

작품 들여다보기

기본개념으로이해하기

건국신화와‘영웅의일생’구조

넓고깊게이해하기

‘유화’의역할과의미

‘동명왕 신화’는‘영웅의

일생’또는‘영웅의 일대

기’라 불리는 서사 구조를

보여 준다. 7단계로 이루

어진 이 서사 구조는 고난

이나 위기 자체의 심각성보다는 인물이 지닌 위기 극복 가능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또한 현실 세계에서의 성취를 강조하는 그 당시 사회 지배층

의 낙관주의적 세계관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동명왕 신화’에서 해모수의 아내이자 주몽의 어머니인 유화는 주몽 다

음으로 비중이 높은 인물이다. 유화는 남편들(해모수, 금와)로부터 버려지

거나 폐쇄된 공간에 갇히는 등 시련을 겪으면서도 아들 주몽의 생명을 지

켜 낸다. 게다가 주몽이 영웅적 인물로 성장하는 데 훌륭한 조력자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화는 인내의 화신으로 형상화된다. 사실 건국 신화에서 강

인함과 뛰어난 능력으로 최고의 지위에 오르는 남성에 비해, 여성은 협력

하고 인내하는 보조자로서 제시되곤 했다. 그러나‘동명왕 신화’에 나타

난 유화는 슬기롭고 인내심이 강하며 강인한 여성상을 보여 준다.

고귀한

혈통

탁월한

능력

어려서

버려짐.

비정상적

잉태·출생▶

양육자만나

고비넘김.▶

자라서다시

위기봉착▶

투쟁으로

극복·승리함.▶

▶ ▶

지도상의유의점

‘동명왕 신화’는‘영웅의 일대기 구조’, ‘천

손 하강형’등건국신화의특징이잘나타나

있으며, 이러한 특징들은 후대 서사 양식에

영향을 주었다. 이를 토대로‘동명왕 신화’가

한국 문학 태동기의 서사 문학 양식의 특징

을 잘 드러내는 대표적인 작품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지도한다.

지도상의유의점

‘영웅의 일생 구조’가 나타나는 다른 작품들

을찾아보게하는것도좋은방법이될수있

다. 이때 각 단계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을

수있음에유의하여지도한다.

지도상의유의점

작품에서 유화의 말이나 행동이 드러난 부분

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유화의 역할과 의미

에 대해 파악하도록 지도한다. 이때, 교사는

본문 외에 유화의 말이나 행동이 더욱 자세

히 나타나 있는 제재를 제시해 주는 것도 좋

다.

참고자료

이 작품은 이규보의“동국이상국집”에 실린 동명성왕의 설화를 엮은 영웅 서사시로 고율시

(古律詩)와 자세한 주석으로 동명왕의 출생으로부터 건국의 성업을 노래한 것이다. 이 작품

은 우리 문학사에서‘영웅의 일생’이라는 모티프를 제공해 준 작품으로서의 문학적 가치가

높다. 또한, 당시 중화식에서 탈피하여 우리의 민족적 우월성 및 고려가 위대한 고구려를

계승하고 있다는 고려인의 자부심을 전하겠다는 의도에서 씌어진 것으로 작자의 국가관과

민족에대한자부심, 그리고외적에대한항거정신이잘나타나있는작품이다.

이 작품은 민족의 역사를 소재로 한 서술체(敍述體)의 장시(長時)가 이 시대에 나타난 고려

일대에 연이은 외국의 침략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북방 대륙에서 한반도의 남단

에 이르기까지 넓은 강토와 천상·해상의 삼계를 무대로 한 영웅 호걸들의 상호 갈등을 통

하여 사건이 전개, 발전되고 힘과 힘, 꾀와 꾀, 신통력의 대결을 통하여 부족 사회적인 힘을

집결하여고대국가의건설이라는역사적인대업을완수한사실이반영되어있다.

- 최웅 외, “고등학교문학(하) 교사용지도서”(청문각, 2003)

문학(2)01(012~043) 2011.11.26 4:3 AM 페이지24 mac01 T

Page 41: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 한국문학의개념과정체성 25*

이 작품에 나타난 주몽의 행적을 요약해 보고, 건국 신화에 흔히 나타나는

‘영웅의 일생’구조에 대응시켜 보자.1

이 글에서 신화적 요소에 해당하는 부분을 찾아보고, 그 특징을 말해 보자.2

고귀한혈통

비정상적잉태·출생

탁월한능력

‘영웅의일생’구조 주몽의행적

천제의아들해모수와하백의딸유화사이에서출생

기이한혼전임신과난생

비범한용모와재능

왕과아들들의시기와홀대

어머니유화부인의도움으로탈출을준비

금와왕의아들들과신하들의위협을벗어나탈출

위기극복후고구려건국

어려서버려짐.

양육자만나고비넘김.

자라서다시위기봉착

투쟁으로극복·승리함.

•출생 과정:

•성장 과정:

•탈출 과정:

도움닫기

활동 안내 1|‘영웅의 일생 구조’

의 일곱 가지 단계를 이해하도록

한 다음, 각 단계에 해당하는 주몽

의 행적을 작품을 중심으로 스스

로 찾아 적어 보도록 한다. 이때,

각 단계가 작품의 흐름과 정확하

게 맞아 떨어지지 않을 수도 있음

에 유의하도록 하여 융통성 있게

활동할수있도록하는것이좋다.

활동 안내 2|학생들에게 신화적

요소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 간략

히 설명한 다음, 그에 해당하는 부

분을 작품에서 찾아보도록 지도한

다. 나아가 신화적 요소에 대해 더

찾아보고 이런 특징이 나타나는

다른 작품을 찾아보는 활동을 할

수있다.

참고자료

•여러 가지 신화적 요소에 대한

설명(난생설화, 어별성교 등의

다양한모티프)

신화의 특징은 ① 혈통(血統)이 중

시되고, ② 출생 과정(出生過程)이

강조되고, ③ 탁월(卓越)한 능력(能

力)을 지닌 인물(人物)의 이야기이

며, ④ 공업(功業)을 성취한다는 점

을 들 수 있다. 이런 점들은 국조

신화(國祖神話)에서 특히 발견되는

것들이고, 서사 무가(敍事巫歌) 중

에서도“바리공주”, “당금아기”와

같은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유형에

서 찾아지는 특징이다. 이와 같은

특징은 고소설 가운데 특히“유충

렬전劉忠烈傳)”등의 창작 군담 소

설(創作軍談小說)에서 찾아볼 수

있다. 창작 군담 소설은 ① 주인공

이 명문 귀족(名文貴族)의 출신이

며, ② 기자 정성(祈子精誠), 태몽

(胎夢), 출생(出生)의 과정이나타나

고, ③ 초인적(超人的) 능력(能力)을

구사하며, ④ 국난(國亂)을 타개하

고 높은 직위(職位)를 획득한다는

점에서 신화의 특징과 일치한다.

특히“동명왕 신화(東明王神話)”의

특징을잘반영하고있다.

- 곽정식, “구비문학의이해 - 설

화를중심으로”(신지서원, 1999)예시답|기이한출생`̀-̀`̀난생(북방계의천손하강형신화모티프의변형)

예시답|천우신조(̀天佑神助)̀-`̀`천지신명의도움으로위기에서벗어날수있게됨.

예시답|비범한능력`̀-̀`̀지혜로운생각과타고난재능을가진영웅적존재의면모

문학(2)01(012~043) 2012.1.5 5:16 AM 페이지25 mac01 T

Page 42: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26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다음은 단군 신화이다. 잘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3

고기에이렇게전한다.

옛날에 환인(桓因) ─ 제석을 이른다. ─ 의 서자(庶子) 환웅(桓雄)이

계셔, 항상 천하(天下)에 자주 뜻을 두고 인간 세상을 탐내어 구했다. 아

버지는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태백(三危太伯)을 내려다보니, 인간 세계

를 널리 이롭게 할 만했다. 이에 천부인(天符印) 세 개를 주어, 내려가서

(세상을) 다스리게하였다.

환웅은 그 무리 삼천 명을 거느리고 태백산(太白山) 꼭대기의 신단수

(神壇樹) 밑에 내려와서 (이곳을) 신시(神市)라 불렀다. 이분을 환웅 천왕

(桓雄天王)이라 한다. (그는)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雲師)를 거느

리고, 곡식, 수명, 질병, 형벌, 선악 등을 주관하고, 인간의 삼백예순여

가지나되는일을주관하여, 인간세계를다스려교화하였다.

이때 곰 한 마리와 범 한 마리가 같은 굴에서 살았는데, 늘 신웅(神雄,

환웅)에게 사람 되기를 빌었다. 때마침 신(神, 환웅)이 신령한 쑥 한 심지

와마늘스무개를주면서말했다.

“너희들이이것을먹고백날동안햇빛을보지않는다면, 곧 사람이될

것이다.”

곰과 범은 이것을 받아서 먹었다. 곰은 기(忌)한 지 삼칠일(三七日) 만

에 여자의 몸이 되었으나, 범은 능히 기하지 못했으므로 사람이 되지 못

했다. 여자가 된 곰은 그와 혼인할 상대가 없었으므로, 항상 단수(壇樹)

밑에서 아이 배기를 축원했다. 환웅은 이에 임시로 변하여 그와 결혼해

주었더니, 그는 임신하여 아들을 낳았다. 이름을 단군왕검(壇君王儉)이라

일렀다.

단군은 요(堯)임금이 왕위에 오른 지 50년인 경인년 — 요임금의 즉위

원년은 무진이니, 50년은 정사이지 경인은 아니다. 아마 그것이 사실이

아닌 것 같다. ─ 에 평양성(平壤城)에 도읍을 정하고, 비로소 조선(朝鮮)

이라불렀다. 또다시도읍을백악산(白岳山) 아사달(阿斯達)로 옮겼다. 그

곳을 궁(弓) — 혹은 방자(方字)로도 되어 있다. ─ 홀산(忽山) 또는 금미

달(金彌達)이라한다. 그는일천오백년동안여기에서나라를다스렸다.

주(周)의 무왕(武王)이 왕위에 오른 기묘년에 기자(箕子)를 조선에 봉하

매, 단군은장당경(장당경)으로옮기었다가후에아사달에돌아와숨어산

신(山神)이 되었는데, 그때나이가일천구백팔세였다.

멀리뛰기

•제석(帝釋) 제석천. 십이천의

하나. 수미산의 꼭대기에 있는

도리천의임금.

•삼위태백(三危太伯) 삼위산과

태백산을이르는말.

•신단수(神壇樹) 환웅이 처음

하늘에서 내려왔다는 신성한 나

무.

•신시(神市) 환웅이 태백산 신

단수밑에세웠다는도시.

‘단군신화’작품연구

•갈래:̀ 설화, 건국 신화, 시조 신화

•성격:̀ 서사적, 신이적, 상징적, 설화적

•제재:̀ 단국의탄생및고조선의건국

•의의:̀ ① 건국이념인‘홍익인간’을밝히고있음.

② 우리 민족의 역사성과 유구한 단일성을

암시함.

③ 농경사회의제의적성격을반영함.

④ 천손의혈통이라는민족의긍지를반영함.

⑤ 현존하는최고의설화임.

•주제:̀ 단군의건국내력과홍익인간의이념

참고자료

단군 신화와 동명왕 신화는 신화의 뼈대를 이루는

사유 방식이 같다. 구조적인 면에서 이를 정리해 보

면 둘다 3대기 구조에서 일치를 보인다. 그리고 웅

녀와 유화도 대응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치에도 불

구하고, 두 신화는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여 준다.

첫째, 단군 신화는 투쟁이나 갈등이 거의 없는 조화

로운 세계인 데 반해, 동명왕 신화는 부분적으로 해

모수와 하백의 대결, 주몽과 부여국 왕자의 갈등,

주몽과 송양의 대결 등의 투쟁과 갈등이 나타난다.

둘째, 단군 신화는 웅녀가 동물에서 인간으로 변한

것이고, 환웅과 웅녀 사이에서 인간이 태어난다. 그

러나 동명왕 신화의 경우 해모수의 상대는 이미 인

간이었는데 둘 사이에서 태어난 것은 알이었다. 즉

난생 설화의 요소가 중요한 것으로 들어있다. 이 난

생 설화는 동북 아시아에 광범위하게 분포된 것인

데동명왕신화에도영향을미친것이다.

- 박경신외, “고등학교문학(하) 교사용지도서”

(금성출판사, 2003)

문학(2)01(012~043) 2011.11.26 4:3 AM 페이지26 mac01 T

Page 43: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1. 한국문학의개념과정체성 27*

부모님께 나의 출생과 관련한 태몽을 들어 보고, 나의 성장 과정을 되돌아본

다음‘나의 삶’이라는 제목으로 신화를 만들어 보자.4

(1) 이 글을 동명왕 신화와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해 보자.

(2) ‘유화’또는‘웅녀’는 남성 주인공에게 어떤 존재로 인식될 수 있을지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해 보자.

공통점

•구조적인면에서‘환인 - 환웅 - 단군’과‘천제 - 해모수 - 주몽’삼대기구조

•천상계와지상계의결합에의한국조탄생 - 천손하강형, 천부지모형의화소

•기존국가를계승한것이아니라새로운국가를건설한건국시조를대상으로함.

•지상에서아들의탄생을전후하여환웅과해모수의행적이사라짐.

•영웅을중심으로한공동체의결속을강화하기위해서지어졌음.

차이점

•토테미즘(원시성이더큼.)

•건국신화중배경신화에해당함.

•신과의직접적인관계를언급함.

•북방계신화

•홍익인간과같은건국이념이포함됨.

•샤머니즘(역사사회적특성을지님.)

•건국신화중영웅신화에해당함.

•인물의영웅적능력을더부각시킴.

•남방계신화와북방계신화의결합

•건국이념이드러나지않고, 건국의과정이드러남.

단군신화 동명왕신화

남성주인공과의관계에서본존재의의미

유화

남성 주인공(주몽)의 잠재적 능력을

현실화하는주체적인여성

→ 어머니에 대한 시대적 인식의

변화에힘입음.

남성 주인공(환웅)의 능력으로 잠재

적능력이발현되는수동적인존재

→ 여성에 대한 인식에는 시대적

편차가크지않음.

웅녀

•‘나’를객관화하여표현하도록한다.

•의미있는사건위주로기록한다.

조건

창작활동

활동 안내 3`-(̀1)|건국 신화의

다른 대표 작품인 단군 신화와의

비교를 통해, 각 작품의 특징을 보

다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한다. 두

작품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

을 정리할 때에 배경, 구조, 신화

적 요소 등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

해보도록지도한다.

활동 안내 3`-(̀2)|작품에 나타난

여성 주인공의 말이나 행동을 찾

아 분석하도록 지도한다. 이를 바

탕으로 남성 주인공과의 관계에서

본 여성 주인공의 존재 의미를 현

대적인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도

록유도한다.

활동 안내 4|앞에서 공부한 신화

라는 장르의 특성을 바탕으로 조

건에 맞게 신화를 만들어 보도록

한다. 자신을 객관화하여 표현함으

로써 자기 자신에 대해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져 보게 할 수

있다. 이때, 신화의 서사 구성 원

리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어 학

생들이 창작에 대하여 큰 부담을

갖지않도록유의한다.예시답|생략

문학(2)01(012~043) 2011.11.26 4:3 AM 페이지27 mac01 T

Page 44: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2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02한국문학의형성1. 연속성의관점에서형성기한국문학에대해이해한다.

2. 형성기한국문학의변화·발전과정을이해한다.

| 학습목표|

한국 문학이 기록을 통한 전승으로 그 원형을 드러내는 시기를 한국 문학

의 형성기라고 할 수 있다. 대체로 삼국 시대부터 통일 신라 시대에 이르기까

지의 시기가 이에 해당한다. 이 시기는 한문학이 본격적으로 수용되어 발전

하였으며, 우리의 민족어 문학 역시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쓴 향찰(鄕札)이

라는 문자 체계의 발명을 통해 꽃을 피우게 되었다.

또 이 시대는 보편적인 문어로서 한문을 공식적으로 사용하되, 민족어 문학

에 대한 열기 또한 상하층 모두 뜨거웠던 시기이다. 따라서 문신이나 육두품

계층 등을 통해 표현 기법이나 미의식 등 한시의 서정적 폭이 확대되었을 뿐

아니라, 향가 역시 4·8·10구체 등 다양한 형태를 통해 집단적 서정에서 개

인적 서정에 이르는 폭넓은 주제와 내용을 수용하면서 그 외연을 넓혀 갔다.

형성기의한국문학

이 시대 시가 문학의 흐름을 요약적으로 말하자면 한시와 향가가 공존했던

시대라 할 수 있다. 다만 삼국 시대와 통일 신라 시대까지를 향가 우위의 시

대라 한다면, 신라 하대 이후는 한시 우위의 시대라 할 수 있다.

고구려 을지문덕의‘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나 신라 진덕 여왕의

‘치당태평송(致唐太平頌)’에서 보듯, 삼국 시대에는 공식적 외교의 역할을 한

시가 수행하였다. 그러나 한시의 활발한 창작은 신라의 육두품 지식인 계층

이 등장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으

며, 대표적인 작가가 최치원이다. 그

는 당나라에 가서 빈공과에 급제하고

문장으로 이름을 날렸는데, ‘격황소

서(檄黃巢書)’가 유명하다. 고국에 돌

아와서도 시문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추야우중(秋夜雨中)’같은 대표적인

한시 작품을 남기기도 했다.

이시기의시가문학

▲ 육두품은 신분상의 제약은

있었으나, 신라 중앙 귀족의 한

축을 이루면서 학문과 종교 분

야에서 활약했다. 사진은 경주

의육두품가옥

▲ 을지문덕이 이끄는 고구려가 수나라에 대승을

거둔살수대첩

지도상의유의점

이 단원의 학습 목표는‘한국 문학의 형성’에 대한

이해와‘한국 문학의 변화·발전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학습 목표에 제시된‘연속성’이라는 용어

에 대해 학생들이 낯설어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

성이라는 용어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바탕으로

형성기 한국 문학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이때,

한국 문학의 시대 구분을 각각 별개의 의미를 가지

는 것이 아닌 하나의 흐름으로 보아야 함을 이해하

도록지도한다. 또한 형성기한국문학이후대에어

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 학생들에게 설명할

필요가있다.

향가의표기수단

한문학의발달

향가형식의다양성

기록문학의발달

시가문학의흐름

한시의기능과발달

문학(2)01(012~043) 2011.11.26 4:3 AM 페이지28 mac01 T

Page 45: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2. 한국문학의형성 29*

민족어 시가인 향가는“삼국유사(三國遺事)”에 14수가 전한다. 4구체에‘서

동요(薯童謠)’, ‘풍요(風謠)’, ‘헌화가(獻花歌)’, ‘도솔가(兜率歌)’가, 8구체에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처용가(處容歌)’가 있고, ‘제망매가(祭亡妹歌)’,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등 나머지는 모두 10구체의 사뇌가(詞腦歌) 형식에

속한다. 향가는 고유의 형식에 민족 특유의 정서를 담은 고전 시가이다. 고대

가요가 원시적 보편성을 띠고 있다면 향가(鄕歌)는 중세의 민족적 특수성이

강한 갈래라 할 수 있다. 삼국 시대에 들어 봉건 국가 체제가 본격적으로 성

립되면서 새로운 이념이 요구되었다. 이처럼 향가는 상하층이 소통 가능한 새

로운 질서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이다. 또한 향가의 출

현은‘민족어 시가의 출발’이라는 의미와 함께‘서정시의 발전’이라는 또 하

나의 중요한 문학사적 의의를 갖는다. 향가의 형식적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

❶한국문학의형성기에나타난문화적특징을정리해보자.

❷향가의특성과의의를말해보자.

짚고가기

삼국 시대와 통일 신라 시대 역시 설화의 시대라 할 수 있다. 전대의 서사

양식인 신화가 전설이나 민담의 양식으로 계승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 특징

적이다. 이 시기의 설화가 실려 있는 대표적인 문헌이 바로“삼국유사(三國遺

事)”와“삼국사기(三國史記)”이다. 대표적인 이야기들로는‘선도산 성모 이야

기’, ‘연오랑 세오녀’, ‘미추왕 죽엽군’등이 있다. 이 이야기들은 신화가 전

설로 이행해 가는 모습을 보여 준다. 이외에 건국 신화와는 다른 형태의 민간

영웅담도 이 시대를 대표하는 서사 유형에 속한다. 신성을 갖지 못한 인물이

고난을 극복하고 승리의 영광을 차지하는 이야기들은 민중의 바람을 반영하

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주요 주인공들로는 서동, 견훤, 온달, 김유신,

거타지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후대에 다른 문헌을 통해 알려진“수이전(殊異傳)”소재 설화나

“삼국유사”소재 조신 설화 같은 경우 뛰어난 완성도를 보여 준다는 점에서

전기 소설 유형의 원형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이시기의서사문학

▲ 삼국 시대와 통일 신라 시

대의 설화가 실려 있는“삼국

유사”

활동안내|본문 내용에 따라 한국 문학의 형성기에 대해 정리하도록 지도한다. 특히 이 시기는 기록 문학이 등장하

는시기라는것에초점을두어지도한다.

예시 답|민족어 시가인 향가는“삼국유사

(三國遺事)”에 14수가 전한다. 4구체에‘서동

요(薯童謠)’, ‘풍요(風謠)’, ‘헌화가(獻花歌)’,

‘도솔가(兜率歌)’가, 8구체에‘모죽지랑가(慕

竹旨郞歌)’, ‘처용가(處容歌)’가 있고, ‘제망

매가(祭亡妹歌)’,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등 나머지는 모두 10구체의 사뇌가(詞腦歌)

형식에 속한다. 향가는 고유의 형식에 민족

특유의 정서를 담은 고전 시가이다. 고대 가

요가 원시적 보편성을 띠고 있다면 향가(鄕

歌)는 중세의 민족적 특수성이 강한 갈래라

할 수 있다. 삼국 시대에 들어 봉건 국가 체

제가 본격적으로 성립되면서 새로운 이념이

요구되었다. 이처럼 향가는 상하층이 소통

가능한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이다. 또한 향가의 출

현은‘민족어 시가의 출발’이라는 의미와 함

께‘서정시의 발전’이라는 또 하나의 중요한

문학사적의의를갖는다.

짚고가기 1

활동 안내|전기 중세 민족적 특징을 고려하

여 향가의 형식적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를

정리하도록지도한다.

예시 답|한국 문학이 기록을 통한 전승으로

그 원형을 드러내는 것을 이 시기의 특징이

라 할 수 있다. 대체로 삼국 시대부터 통일

신라 시대에 이르기까지의 시기가 이에 해당

한다. 이 시기는 한문학이 본격적으로 수용

되어 발전하였으며, 우리의 민족어 문학 역

시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쓴 향찰(鄕札)이라

는 문자 체계의 발명을 통해 꽃을 피우게 되

었다. 또 이 시대는 보편적인 문어로서 한문

을 공식적으로 사용하되, 민족어 문학에 대

한 열기 또한 상하층 모두 뜨거웠던 시기이

다. 따라서 문신이나 육두품 계층 등을 통해

표현 기법이나 미의식 등 한시의 서정적 폭

이 확대되었을 뿐 아니라, 향가 역시 4·8·

10구체 등 다양한 형태를 통해 집단적 서정

에서 개인적 서정에 이르는 폭넓은 주제와

내용을수용하면서그외연을넓혀갔다.

향가의문학사적의의①

향가의문학사적의의②

향가의문학사적의의③

』̀

『 』̀: 전기 소설에영향을줌.

설화의시대인삼국시대와통일신라시대

문학(2)01(012~043) 2012.1.5 4:16 PM 페이지29 mac01 T

Page 46: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30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흐느끼며 바라보매

이슬 밝힌 달1)이

흰 구름 따라 떠간 언저리에

모래 가른 물가에

기랑(耆郞)의 모습이올시 수풀이여.

일오(逸烏)내 자갈벌2)에서

낭(郞)이 지니시던

마음의 갓을 좇고 있노라.

아아, 잣나무 가지가 높아

눈3)이라도 덮지 못할 고깔4)이여.

咽嗚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支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貌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積惡尸

郞也持以支如賜烏隱

心未際叱 兮逐內良齊

阿耶 栢史叱枝次高支乎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충 담 사김 완 진 해 독

1) 달 광명과 염원, 기파랑의

정신을상징하는사물.

2) 자갈벌 기파랑의 강직한 성

품.

3) 눈 시련, 유혹, 불의등장애

물을비유.

4) 고깔 기파랑의 고결한 인품

을상징.

통일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의 승려.

화랑의무리와밀접한관련이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향가‘안민가(安民

歌)’와‘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를

지었으며, “삼국유사”에그의행적이

소개되어있다.

충담사(忠談師)

다채로운 비유와 표현 기법에 유의

하며 작품의 주제와 의미를 생각해

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찬기파랑가소단원설정취지

‘찬기파랑가’는기파랑에대한추모를고도의표현기법을사용하여노래한 10구체향가로, 향가 작품중백미로꼽

히는작품이다. 10구체 향가는향가가운데서도가장발전된형태의형식으로, 연속성의관점에서한국문학의형성

과변화발전을이해하는데적절하다고판단되어이작품을소단원제재로선정하였다.

플러스활동

1. 이작품의말하기방식을쓰시오.

예시 답|서정적 주체의 독백체

형식

작품연구

•갈래:̀ 향가

•시대:̀ 신라 경덕왕때

•형식:̀ 10구체

•성격:̀ 예찬적, 서정적

•표현:̀ 은유법, 상징법, 영탄법

•제재:̀ 기파랑의성품과인격

•주제:̀ 기파랑의고매한인품에대한찬양

•의의:̀ ‘제망매가’와함께표현기교및서정성이돋보이는향가의백미

화자가직접보지못하고상상을통해접근할수있는대상

기파랑의고결한절개

그리움

물→맑고깨끗한모습

문학(2)01(012~043) 2012.1.5 5:17 AM 페이지30 mac01 T

Page 47: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2. 한국문학의형성 31*

‘찬기파랑가’는 신라 경덕왕 대

(742∼765)에 승려 충담사가 화랑

인 기파랑을 찬양하며 지은 10구체

향가로, “삼국유사”의‘경덕왕 충

담사 표훈대덕(表訓大德)’조에 전

한다. 하늘에 높이 뜬 달은 기파랑

을 나타내고, 화자 자신은 물에 비

친 그 모습을 사모하며, 냇가 조약돌에서 기랑이 지니던 마음의 끝이라도

따르고자 한다는 말로 8행이 이루어져 있다. 9~10행에 이르러서는, 기랑의

정신이 무엇으로 표상되는지 화자 자신이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그것은 높

은 잣가지이다. 고깔 역시 기파랑의 상징임에 틀림없다. ‘찬기파랑가’의 표

현 기법 중 특이한 점은 기원, 찬가적인 영탄법이다. 달, 냇물, 조약돌, 잣

나무 등의 보조 관념을 빌려 인물의 고매함을 부각하고, 이런 이미지가 유

기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화자의 말과 의식을 명확히 나타내고 있다.

감상의길잡이

‘찬기파랑가’는어떤작품인가

작품 들여다보기

기본개념으로이해하기

사뇌가의개념

넓고깊게이해하기

충담사에대하여

사뇌가는 10구체 향가를 가리키기도 하고, 향가 자체를 가리키거나 신

라의 노래를 의미하기도 한다. 10구의 형식을 갖춘 사뇌가는 향가 가운데

가장 세련된 형식미와 표현을 갖추고 있다. 향가는 본래 민요에 기원을 둔

4구체에서 발전하여 10구체 사뇌가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대체로 3단 구

성으로 된 것이 특징으로, 낙구(落句) 첫머리에는 감탄사를 두어 화자의

집약된 정서를 표현한다. ‘찬기파랑가’의 경우‘아아’가 이에 해당하는데,

이것을 시조 종장 첫 부분에 오는 영탄구의 연원(淵源)으로 보기도 한다.

‘찬기파랑가’를 지은 충담사는 통일 신라 경덕왕 대의 승려이다. “삼국

유사”에 따르면, 경덕왕이 문루에서 아래를 굽어보다가 차를 공양하고 돌

아오는 충담사를 친히 불러서‘안민가’를 지어 달라고 부탁하였다. 그러

면서 왕이“그대가 지은‘찬기파랑가’의 뜻이 매우 심오하다고 들었다.”라

며 칭찬한 것으로 보아, ‘찬기파랑가’는 당대에도 널리 인정받았던 작품

으로 보인다. 경덕왕은 안민가를 지은 공로로 충담사를 왕사에 봉하였으

나 충담사는 굳이 사양하였다고 한다.

냇물

–맑고깨끗한인품

잣나무가지

–높은인격, 고매한절개

자갈벌(조약돌)

–원만하고강직한인품

기파랑

지도상의유의점

이 작품은 비유와 상징 등 다양한 표현 기법

을 사용하여 쓰여진 작품이다. 이를 바탕으로

작품에 나타난 시어들의 의미를 파악하도록

하며, 기파랑의고결한인품을추모하는시적

화자의정서에초점을두고지도한다.

지도상의유의점

사뇌가의 개념을 향가 장르 자체에서만 이해

하지 않고, 다른 장르와 영향을 주고받는 관

계를 고려하여 연속성의 관점에서 그 의의를

함께 파악하도록 지도한다. 또한 낙구(落句)

가 후대에 나타나는 시가에 영향을 주었음을

함께설명하도록한다.

지도상의유의점

향가 작자층으로서 승려의 위치에 대해 이해

하도록 한다. 향가의 작가로는 화랑과 승려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특히 충담사는 월명사와

더불어 높은 경지에 이른 향가 작가였다는

점을 중심으로 지도한다. 작품의 작가에 대해

이해할 때에는 그 작가의 다른 작품들을 찾

아보도록 하는 것도 좋은 지도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학(2)01(012~043) 2011.11.26 4:3 AM 페이지31 mac01 T

Page 48: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32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찬기파랑가’를 읽고 다음에 해당하는 시어 또는 어구를 찾아 써 보자. 1

색채어•흰색 - 달, 흰 구름, 눈

•푸른색 - 물가, 수풀, 잣나무가지

•의미의대립:̀ ① 눈 →시련, 유혹, 불의 등장애물을비유 / ② 달,

수풀, 자갈벌, 잣나무 가지, 고깔 → 기파랑의 고결한 인품과 절개

를상징 / •시간적대립:̀ ① 눈 →금방소멸해버리고마는존재

②달, 내, 자갈벌, 잣나무→영속성을가진존재

달, 자갈벌, 잣나무가지, 고깔

대립적상징

기파랑의성품과인격

해당시어나어구

다음은 같은 작품을 다른 사람이 해독한 결과이다. 교과서에 실린 현대역과

비교, 대조하는 활동을 해 보자. 2

(1) 시적 대상(기파랑)을 일컫는 시어:

(2) 표현 기법의 측면:

(3) 주제 의식:

열치매

나타난달이

흰구름따라 (서쪽으로) 가는것아니냐?

새파란냇가에

기랑의모습이있구나.

이로부터냇가조약에

낭의지니시던마음의끝을따르련다.

아아, 잣가지높아

서리를모를화랑이여.

—양주동해독

도움닫기

활동안내 1|작품이시어또는어

구를 통해 기파랑의 인품과 기개

를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 초점

을 두어 지도한다. 나아가 이러한

시어 또는 어구들이 작품의 서정

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까지 이해

하도록설명한다.

활동 안내 2|향가의 경우 향찰

해독의 차이로 인해 같은 작품이

라도 해독하는 사람에 따라 그 결

과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이

를 이해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해

독의 결과를 활동에 제시된 여러

측면에서 분석하고 비교, 대조해

보도록 지도한다. 특히 두 해독 결

과의 말하기 방식에 따라 주제 의

식이 다르다는 것에 초점을 두어

지도하는것이바람직하다.

광명과염원

지조, 절개, 의지

고결한절개

시련, 역경

예시답|•김완진:̀ 달, 수풀, 잣가지, 고깔 •양주동:̀ 냇물, 조약돌, 잣가지

예시답|양주동의 역은 기파랑의 이상과 절개에 대한 찬미적 성격이 강하다면, 김완진의 역은 세속적인 현실에

서기파랑의고매한인품을그리는추모적성격이강하다.

예시답 2`-(̀2)|두 현대역은 모두

기파랑의 인품을 흰색과 푸른색의

대조에서 빚어지는 청신한 기상으

로 표상하고 있다. 또한‘아아’로

시작되는 낙구(落句)에서 시상(詩

想)을 고양시켜 흠모의 정을 절실

히 표현했다는 점, 또 기파랑의 인

품을 정적 소재와 동적 소재의 조

화에 의해 이루어지는 청신함, 안

정미, 생동감을 통해 표상하고 있

다는 점은 비슷하다. 하지만 김완

진의역에서 3, 5행을 각각현실과

이상으로 대비시켜 표현한 점이나,

흐느끼며 바라본다는 표현을 통해

비통한 정서를 작품에 직접적으로

드러냈다는 점 등은 양주동의 역

과다르다고할수있다.

문학(2)01(012~043) 2012.1.5 5:17 AM 페이지32 mac01 T

Page 49: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2. 한국문학의형성 33*

다음 작품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3

시적 정황으로 볼 때, 기파랑과 서정적 주체는 매우 친밀한 관계인 것으로 보

인다. 서정적 주체의 정감과 태도를 빌려 기파랑에게 보내는 안부 편지를 작

성해 보자.

4

지나간봄돌아오지못하니

살아계시지못하여울어말라버릴이시름.

눈두덩불두덩좋으신

모습이해가갈수록헐어가도다.

눈의돌음없이저를 → 순식간, 찰나

만나보기어찌이루리.

화랑그리는마음의모습이가는길

다복굴헝에잘밤있으리.

—‘모죽지랑가’

도움 자료

득오가자기가모시고있던

화랑 죽지랑이 죽자 그를

추모하여 부른 8구체 향가

이다.

(1) ‘찬기파랑가’와‘모죽지랑가’에 등장하는 화랑의 모습에는 어떤 차이가

있으며, 이는 대상에 대한 서정적 주체의 태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말

해 보자.

(2) ‘찬기파랑가’와‘모죽지랑가’를 향가의 형식면에서 비교해 보자.

멀리뛰기

창작활동

‘모죽지랑가’작품연구

•연대:̀ 신라 효소왕

•갈래:̀ 8구체 향가

•성격:̀ 추모적, 찬양적, 서정적

•의의:̀ 주술성이나종교적색채가없는순수한서정시

•주제:̀ 죽지랑에대한추모의정

참고자료

열 줄짜리는 여덟 줄짜리에 다시

두 줄이 추가되었다는 정도의 형

식적 차이를 가지지만 시적인 성

격은 두 줄이 덧붙여졌다는 정도

의 차이를 훨씬 넘어설 정도로 판

이하다. 특히 덧붙여진 두 줄의 첫

머리에‘아아(阿耶, 阿邪, 阿邪也)’

등의 감탄사가 오는 것을 양식화

하여 시상의 정서적 고영과 전환

을 보임으로써 시의 완결성을 추

구하고 있어 구조적으로 단단한

양식성을보여준다.

- 조동일외, “한국문학강의”(길

벗, 1994)

① 죽지랑의젊은시절

②화랑으로존경받던시절

③작자가죽지랑과함께하던시절

죽지랑

황량한마을

활동 안내 3|두 작품의 상호 텍

스트성을 비교해 보는 활동이다.

단순히 특징만을 찾기 보다는 둘

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도출하도록

지도한다. (1)에서는 대상에 대한

서정적 주체의 태도에 주목하고

(2)에서는 두 작품 모두 화랑을 대

상으로 노래한 것이지만 형식면에

서 각각 10구체의 사뇌가와 8구체

라는 차이를 드러낸다는 점을 중

심으로활동하도록안내한다.

활동 안내 4|서정적 주체의 입장

에서 시적 대상에게 편지를 보내

는 활동을 통해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할 수 있다. 서정적

주체의 정감과 태도에 감정을 이

입하여 시적 정황에 몰입할 수 있

도록 도움을 준다. 편지글 형식에

너무 얽매이지 않도록 유의하고,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학생들이

자유롭게활동할수있게한다.

예시답|청색의이미지를통하여기파랑의젊고씩씩한기상을보여주는‘찬기파랑가’와는달리, ‘모죽지랑가’

는 노화랑(죽지랑)의 쇠잔한 모습을 보여 준다. 이는 서정적 주체로 하여금 대상에 대한 찬양보다는 대상에 대한

흠모또는추모의감정과함께현재의비통한내면을드러내도록한다. 따라서‘찬기파랑가’는서정적주체의태

도보다는기파랑의인품이전면에드러나지만, ‘모죽지랑가’는서정적주체의정서가전면에나타나게된다.

예시답|‘찬기파랑가’는 10구체의사뇌가형식이고‘모죽지랑가’는 8구체형식이다.

예시답|생략

문학(2)01(012~043) 2011.11.26 4:3 AM 페이지33 mac01 T

Page 50: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34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미친 물 바위 치며 산을 울리어 狂奔疊石1)吼重巒2)

지척에서 하는 말도 분간 못하네. 人語3)難分4)咫尺間

행여나 세상 시비 귀에 들릴까 常恐是非聲5)到耳

흐르는 물을 시켜 산을 감쌌네. 故6)敎流水盡籠7)山

최 치 원

1) 疊石(첩석) 첩첩이 쌓인 바

위.

2) 重巒(중만) 겹겹이 들어선

산봉우리.

3) 人語(인어) 사람들의 말소

리.

4) 難分(난분) 분간하기 어렵

다.

5) 是非聲(시비성) 옳으니그리

니하는말다툼소리.

6) 故(고) 짐짓.

7) 籠(롱) 싸다.

통일 신라 말기의 학자·문장가. 자

는고운(孤雲)·해운(海雲). 12세에중

국당나라에유학하여과거에급제하

고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격문(檄文)

을써서이름을높였다. 저서에“계원

필경”, “사륙집(四六集)”등이있다.

최치원(崔致遠, 857~?)

한시의 형식미와 표현 기법에 유의

하며읽어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제가야산독서당

플러스활동

1. 시인이 가장 싫어하는 것은 무

엇인지쓰시오.

예시답|세상시비

작품연구

•연대:̀ 신라 헌강왕

•갈래:̀ 7언 절구, 서정시

•성격:̀ 서정적, 상징적, 현실 비판적

•표현:̀ 대조법, 의인법

•구성:̀ 기승전결의 4단 구성

①기:̀ 자연의소리

②승:̀ 인간의소리

③전:̀ 작가의심리

④결:̀ 세속과거리를두고싶은심리

•주제:̀ 세속과거리를두고자연속에은거하고싶은심경

자연의소리

인간의소리

속세에대한부정적인식

소단원설정취지

이시는자연물을통해세상과단절된자신의모습을포착하여형상화한작품이다. 작가는현실을대하는자신의태

도를 7언 절구의 한시로 노래하고 있다. 이처럼 동아시아의 공동 문어인 한문을 활용하여 정통 한문학의 수준을 보

여주는작품을통해신선한발상과표현을감상할수있을뿐만아니라한국문학의발전과정을파악할수있다는

점에서이작품을소단원제재로삼았다.

문학(2)01(012~043) 2011.11.26 4:3 AM 페이지34 mac01 T

Page 51: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2. 한국문학의형성 35*

‘제가야산독서당’은 통일 신라 말기의 문장가인 최치원이 지은 칠언 절

구이다. 세상을 등진 화자의 모습을 잘 그리고 있다. 이 시에서‘유수’는

시적 화자와 세상을 단절시키는 존재로 나타난다. 화자는 스스로가 세상

살이에 염증을 느껴 자연으로 떠난 것이다. 그럼에도 화자는 짐짓 유수가

산을 둘러싸서 세상과 단절되었다는 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

서‘유수’의 의미는 여러 가지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먼저‘유수’는 세속

과 단절하려는 화자의 의지를 의미한다. 한편으로 화자에게 자기 위안을

주는 존재이기도 하고, 갈등이나 번민을 심화하는 존재로 볼 수도 있다.

감상의길잡이

‘제가야산독서당’은어떤

작품인가

작품 들여다보기

기본개념으로이해하기

한시의비유

넓고깊게이해하기

기승전결로본시상전개

이 시를 보면 대상의 형상과 속성을 비유하는 언어에서 화자의 비분강

개한 심정을 읽을 수 있다. 화자는 여기서 자신의 생각과 어긋난 정치 현

실과 세력을‘첩석(疊石)’과‘중만(重巒)’에 빗대어 표현한다. 자신의 삶에

장애물과 같은 존재임을 나타낸 것이다. ‘광분(狂奔)’과‘후(吼)’는 이들

사이를 흐르는 물의 속성을 비유한 표현이다. 그런데 여기서 시끄러움의

이유가 물 때문인지 돌과 봉우리 때문인지는 분명치 않다. 이 시의 놀라운

비유는 여기서 태어난다. 돌과 봉우리 때문이라면 자신의 의사가 받아들

여지지 않는 현실의 장벽을 비유하는 것이 되고, 물 때문이라면 스스로의

의지로 세상과 단절함을 비유하는 것이 된다. 물론 실상은 전자일 것이나

화자는 이를 짐짓 후자인 듯 표현한다. 우리가 최치원의 은둔을 두고 현실

도피로 보기도 하고 저항으로 보기도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기(起)산골을 흐르는 냇물의 모습과 소리를 묘사했다. 세상과 단절하고자 하는 화자의 심리

가드러나는대목이다.

승(承)냇물 소리가 사람 사이를 막아 버린다고 했다. 물소리를 통해 사람 사이의 시비와 어

지러움을벗어나고자하는화자의의식을엿볼수있다.

전(轉)화자가 세상을 등진 까닭이 드러나며, 그러한 인간 세계를 멀리하려는 화자의 솔직한

내면이드러나있는부분이다.

결(結)앞의 기·승 2구를 받아 그것이 자신의 의도라고 생각하고, 자연 현상인 물소리를 세

상과단절하고자하는자신의의지로표현한다.

지도상의유의점

이 시를 이해할 때 작품이 쓰여진 시대적 상

황을 설명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이를 바

탕으로 세상과 단절하고자 하는 시적 화자의

의도를‘유수(流水)’라는 시어를 중심으로 생

각해보도록지도한다.

지도상의유의점

한시의 비유는 다양한 해석을 낳을 수 있다.

이 작품에서는 관점에 따라 해석의 차이를

가져오며, 의미상의 차이도 나타난다. 이러한

해석의 다양성을 갖는 것이 한시의 묘미라는

점을설명하도록한다.

지도상의유의점

이 작품에 드러난 시적 화자의 심정을 중심

으로 시상 전개에 초점을 두고 지도한다. 특

히 선경 후정(先景後情) 또는‘기 - 승 - 전

- 결’의 시상 전개 방식이 후대의 문학에 어

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예시 작품과 비교하여

설명하는것도좋은방법이다.

문학(2)01(012~043) 2012.1.5 5:17 AM 페이지35 mac01 T

Page 52: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36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제가야산독서당’에서 자연은 의인화되어 표현된다. 다음 <보기>를 통해 작

가 최치원에게 자연은 어떤 존재인지를 생각해 보고 한시의 내용을 토대로 구

체적인 시적 정황을 산문으로 써 보자.

3

이 시에서‘물’이 화자에게 미치는 영향 및 역할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2

‘제가야산독서당’의 화자를 이해하기 위해 시어의 의미와 주체를 정리해 보자.1

최치원은 당나라의 빈공과에 급제하고 문장으로 이름을 떨치다가 신라

로 돌아온 육두품 출신의 지식인이다. 그는 귀국한 뒤 정치 개혁에 힘을

기울였지만, 신라말기의경직된신분제아래에서육두품으로서의신분적

한계에 부딪혔다. 원대한 이상을 이루지 못한 그는 정계에서 물러나 경남

합천의가야산에은거하는데, 이때쓴‘제가야산독서당’은만년의심경을

잘드러내고있다.

보기

‘인어(人語)’의의미 사람들의말소리, 사람 사이의시비와어지러움

시비성이들릴까두려워하는화자의마음

실질적인 주체는‘유수’, 하지만 흐르는 물에게 산을 감싸라 시킨 것

으로설정된주체는‘화자’

‘공(恐)’의의미

‘롱(籠)’의주체

시어 의미및주체

도움닫기

활동 안내 1|활동에 앞서 시대적

상황과 작가에 대해 설명한 다음

작품의 내용을 학생들로 하여금

정리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

한 교수·학습시 활동에 제시된

시어들이 시적 화자의 심정과 관

련되어 있다는 점을 설명하는 것

도도움이된다.

활동 안내 2|시의 내용과 관련하

여‘물’이 시적 화자에게 어떻게

기능하는지 설명할 필요가 있다.

시의 전체적인 맥락과 관련하여

‘물’의 의미가 다양하게 해석된다

는점도설명이필요하다.

활동 안내 3|이 시의 내용을 바

탕으로 시적 상황을 산문으로 써

보는 활동을 통해 작품에 대한 깊

이 있는 이해를 할 수 있다. 따라

서 자연이 작가에게 어떤 존재인

지, 이러한 것이 어떻게 표현되었

는지를 학생들이 스스로 정리해

보도록 지도한다. 또한 이러한 활

동을 통해 화자의 심경을 이해해

보는 것에 초점을 두어 지도하는

것이바람직하다.

예시답|이 시에서‘물’은 시적 화자와 세상을 단절시키는 존재이다. 하지만 화자 스스로가 세상살이에 염증을

느껴 자연으로 떠난 것이기 때문에‘유수’는 세속과 단절하려는 화자의 의지를 의미한다. 따라서‘유수’는 화자

에게 자기 위안을 주기도 하고 세속에서 자신의 이름을 떨치지 못하게 함으로써 갈등이나 번민을 심화시키기도

하는존재이다.

예시답|최치원에게자연은현실의문제를연상케하는비유적존재이다. ‘첩석(疊石)’이나‘중만(重巒)’은 유수

의 흐름을 방해하며 소란을 야기하는 현실의 문제 세력에 비유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연물은 시적 화

자(최치원)의 내적 갈등과번민을심화시킨다. 반면‘유수’는그런현실로부터최치원을단절시켜주는자연물이

며동시에은둔하고자하는최치원의의지를표상한다.

문학(2)01(012~043) 2012.1.5 5:17 AM 페이지36 mac01 T

Page 53: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2. 한국문학의형성 37*

다음 작품과‘제가야산독서당’에 나타난 화자의 태도를 비교하는 활동을 해

보자. 4

‘제가야산독서당’과 같은 한시를 창작할 때는 선경후정(先景後情), 혹은

‘기–승–전–결’의 기법이 자주 쓰인다. 현대시에서 이러한 기법을 계승한

경우를 찾아보고 그 효과를 발표해 보자.

5

(1) 두 작품에 나타난 화자의 심리 상태를 부추기는 사물들을 적어 보자.

(2) 두 작품에 나타난‘고독감’의 원인을 각각 상상하여 서술해 보자.

오늘, 북창을열어

장거릴등지고산을향하여앉은뜻은

사람은맨날변해쌓지만 → 장거리를 등지고 있는 이유

태고로부터푸르러온산이아니냐.

고요하고너그러워수(壽)하는데다가

보옥(寶玉)을 갖고도자랑않는겸허한산.

마음이본시산을사랑해

평생산을보고산을배우네.

그품안에서자라나거기에가또묻히리니

내이승의낮과저승의밤에

아아(峨峨)라히뻗쳐있어다리놓는산.

네품이고향인그리운산아

미역취한이파리상긋한산내음새

산에서도오히려산을그리며 → 역설법. 산에 대한 그리움 강조

꿈같은산정기(山精氣)를그리며산다.

—김관식, ‘거산호2’

도움 자료

이 시는 세속을 벗어나 유

유자적하는삶의모습을구

체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이

다. 유한한 인간사와 자연

의영원성을대조적으로표

현하고있다.

멀리뛰기

활동 안내 4|두 작품의 상호 텍

스트성을 비교해 보는 활동이다.

시적 화자의태도를단순히비교하

기보다는두작품에나타난화자의

상황을고려하여화자의심정에대

한 차이점을 도출해야 한다. 화자

의 심정을 파악하기 위해 시적 화

자의 심정이 어떻게 형상화되었는

지파악해보도록지도한다.

활동 안내 5|한시의 시상 전개

방식이 후대에 계승된 경우를 찾

아보도록 소집단 활동을 구성한다.

단순히 선경 후정(先景後情)과 기

승전결이 나타난 작품을 찾고 그

효과를 발표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기법의 사용으로

인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시

의 형식적 안정감을 바탕으로 서

정적 주체의 의도가 효과적으로

표현된다는 것에 초점을 두어 지

도한다. 또한, 이를 교수·학습할

때 형성기 한국 문학의 발전 과정

과관련지어설명하도록한다.

부정적대상, 속세 긍정적대상

』̀『 』̀: ‘산’의 특징. 겸허하고 너그러운

존재로인격부여

친화의대상과, 교훈의대상으로산을보고있음.

예시답|두작품에는현실에대한문제를느끼고세속과단절하려는화자의내면심리를촉발시키는대상들이나타

나 있다. ‘제가야산독서당’에는 첩석(바위), 중만(산봉우리), 유수 등이 그러한 대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거산호2’에

는장거리, 사람, 산 등이대립적의미를가진대상으로배치되어있다.

예시답|•현대시에서 기법을 계승한 경우:̀ 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 마침내 북방으로 휩쓸려오다. // 하늘도 그

만 지쳐 끝난 고원 /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 어데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 이러매눈감아생각해볼밖에 / 겨울은강철로된무지갠가보다.(이육사, ‘절정’)

•효과:̀ 이 시는기승전결과선경후정(先景後情)이라는한시적 4단 구성을취하고있다. 안정된형태의고전적형식

미가 시가 지향하고 있는 정신적 경지의 높이를 떠받치는 효과를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형식과 주제가 절묘하

게긴장을이루고있다고할수있다.

예시답|•‘제가야산독서당’- 이 작품의 작자는 당대 최고의 문장가이지만 육두품이라는 신분에 가로막혀 현실에

서 자신의 이상을 펼치지 못한 최치원이라는 인물이다. 그가 여기서 세속을 떠나 자연에 은둔하려는 것은‘거산호

2’처럼 안빈낙도의 추구를 위해 선택한 것이 아니다. 작자는 자신이 받아들여지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부정으로

자연을선택하고있으며, 이러한은둔적삶의지향속에서우리는작자의좌절감과고독감을엿볼수있는것이다.

•‘거산호2’- 시인은 산이라는 이상적인 공간에 있지만 여전히 북창 반대편, 장거리를 볼 수 있을 정도로 세속의

공간에도 가까이 있다. 화자의 고독감은 이러한 세속에서 오는 번민 때문이다. 하지만 이 시의 화자는‘산에서 산

을그림’으로써탈속적의지를강화하고있다.

문학(2)01(012~043) 2011.11.26 4:3 AM 페이지37 mac01 T

Page 54: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문학 여행의 첫 번째 여정을 마치다

한국 문학의 태동기 또는 형성기라 불리는 상고 시대와, 그로부터 통일

신라 시대까지 이르는 시기는 한국 문학이 아름다운 첫 자취를 남기기 시작

한 때이다. 신화에 담긴 집단적 사고, 고대 시가로부터 향가까지 폭넓은 진

폭을 보여 주는 시가들의 서정성, 우리말 문학에 대한 최초의 자각, 그리고

독자적으로 발전한 한문학의 지평이 이 시기의 성격을 규정하고 있다.

형식, 재현, 수용은 이 시대의 문학 여행을 마치며 각자가 배우고 느낀 바

를 함께 나누었다.

38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단원을닫으며

자, 다음 여행지는 어디일까?

형식⋯ 과거의 문학도 오늘날 우리가 경험하는 문학의 원형성을 지니

고 있어.

재현⋯ 오랫동안 살아 숨 쉬고 있는 고전 문학 작품은 강한 상징의 힘

을 가지고 있지. 그건 많은 사람의 입을 통해 전해지면서 공통

의 사고방식과 감정, 믿음이 쌓였기 때문이 아닐까.

수용⋯ 천 년보다 훨씬 전에 쓰인 과거의 문학이 살아남아 또 다른 형태

로 불리고 있다는 사실에서 문학의 보편성과 생명력을 느꼈어.

삼인행대화살펴보기

‘단원을 닫으며’의 삼인행 대

화에는 각자의 문학관을 정리

한 내용이 담겨 있다. 우선 형

식은 문학의 원형성에 대해 언

급하고있다. 작품내적으로드

러나는 문학의 원형성을 연속

성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있다.

재현은 문학이 현대로 전승되

는 방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

다. 과거의문학이구전의방식

으로 이어져 내려오면서 그 안

에 우리 민족의 사상과 감정,

문화 등이 반영된다는 것을 생

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용의 문학관은 효용론적 관

점에초점을둔것으로, 연속성

의 관점에서 본 한국 문학에서

느껴지는 보편성과 생명력을

이야기하고있다.

학생들에게 자신의 문학관을

정립하기에 앞서 형식, 수용,

재현의 문학관 중 누구의 의견

에 동의하는지, 왜 동의하는지

에 대해 발표하게 하는 것도

의미있는시간이될수있다.

지도상의유의점

‘단원을 닫으며’는 이 단원을 통해 이해하게 된 연속성의 관점에서 본 한국

문학의 특성과 한국 문학의 변화·발전 과정에 대해 정리하도록 되어 있다.

형식, 수용, 재현이 이번 여행을 통해 정리한 태동기 한국 문학을 보며 학생

들도스스로나름의한국문학의역사를정리하도록하는것이바람직하다.

문학(2)01(012~043) 2011.11.26 4:4 AM 페이지38 mac01 T

Page 55: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더공부하기

>> 다른 친구들의 학습 과정 점검을 도와주자.

>> 중단원 학습 과정에서 익힌 지식을 작품에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다시한번 검토해 보자.

>> 스스로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단원의 학습 내용을 처음부터 차분히정리해 보자.

13점이상

9~12점

8점이하

단원을닫으며 39*

::자기점검하기

문학지식

점검항목 점검내용 평가

나는 스스로가 이 단원에서 고조선 시대부터 통일

신라 시대까지 한국 문학이 어떻게 성장하며 발전했

는지를 통시적 관점에서 학습하면서 이 시대의 한국

문학에 대한 다양한 문학사적 지식을 습득하게 되었

다고평가한다.

① ② ③ ④ ⑤

문학적기능과

수행

나는 스스로가 이 단원에서 한국 문학 태동·형성

기의 대표적인 작품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한국 문학

의 역사적 변화 과정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

다고평가한다.

① ② ③ ④ ⑤

맥락을통한확장

나는 스스로가 이 단원의 학습을 통해 고전 문학

작품에더많은관심을갖게되었으며, 다양한문화·

예술 양식을 통해 계승되어 온 고전 문학의 문학적

성취를다양한맥락에서체험하고수용할수있게되

었다고평가한다.

① ② ③ ④ ⑤

지도상의유의점

‘자기 점검하기’는 이 단원을 통해

학습 목표를 달성하였는지를 학습

자 스스로 확인해 보도록 지도한

다. 이와 더불어 각 중단원의 학습

목표를 제시하여 성취 기준에 도

달했는지를 점검해 보는 것도 좋

다.

지도상의유의점

‘더 공부하기’에서는 학습자 스스

로 점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

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항목이

있을 경우 그에 해당하는 단원으

로안내하여다시한번내용을확

인할수있도록지도한다.

점검항목 점검내용 평가

문학지식

문학적기능과수행

맥락을통한확장

한국문학의개념을이해하였는가? ① ② ③ ④ ⑤

한국문학태동기의특징을이해하였는가

연속성의관점에서형성기한국문학을설명할수있는가?

형성기한국문학의변화·발전과정을이해할수있는가?

이 시기문학에대한지식을바탕으로주요문학작품을감상

하고이해할수있는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문학(2)01(012~043) 2011.11.26 4:4 AM 페이지39 mac01 T

Page 56: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친구들이여! 여신들 중에서도 고귀한 키르케1)가 내게 말해 준

신탁들은 한두 사람만이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닌 이상

나는 그것들을 말하겠소. 우리가 그것들을 알고 죽거나

아니면 죽음과 죽음의 운명을 피하고 벗어날 수 있도록 말이오.

그녀는 먼저 우리더러 놀라운 세이렌 자매2)의 목소리와

그들의 꽃이 핀 풀밭은 피하라고 명령했소. 그리고 그녀는

오직 나만이 그들의 목소리를 들으라고 했소. 그러니 그대들은

돛대를 고정하는 나무통에 똑바로 선 채 그 자리에서 꼼짝하지

못하도록 나를 고통스런 밧줄로 묶되 돛대에다 밧줄의 끄트머리들을

매시오. 그리고 내가 그대들에게 풀어 달라고 애원하거나 명령하거든

그때는 그대들이 더 많은 밧줄로 나를 꽁꽁 묶으시오.’

이렇게 말하고 나는 전우들에게 모든 것을 자세히 설명해 주었소.

그 사이에 우리의 잘 만든 배는 재빨리 두 세이렌 자매의 섬에

이르렀소. 부드러운 순풍이 우리의 배를 몰아다 주었던 것이지요.

그러자 금세 바람이 자더니 바다는 바람 한 점 없이 잔잔해졌소.

어떤 신이 너울을 잠재웠던 것이지요.

호 메 로 스천 병 희 옮 김

오디세이

1) 키르케 헬리오스의 딸로 마

술에능한요정.

2) 세이렌 자매 고운 목소리로

지나가는 선원들을 유혹하여 파

멸케한다는전설상의자매.

[1] 다음은그리스의대시인호메로스가쓴장편서사시의일부이다. 잘읽고, 물음에답해보자.

5

10

15

20

이시기의세계문학

40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고대그리스의시인. 그의 생애에대

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기원전

8세기 말경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

다. 유럽 문학의 최고(最古) 서사시

“일리아드”와“오디세이”의 작자로

알려져있다.

호메로스(Homeros)

문학(2)01(012~043) 2011.11.26 4:4 AM 페이지40 mac01 T

Page 57: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그러자 전우들이 일어서서 배의 돛을 말아

속이 빈 배 안에 넣고는 노 옆에 앉아

반들반들 깎은 전나무 노로 물에 흰 거품을 일으켰소.

나는 날카로운 청동으로 크고 둥근 밀랍3) 덩이를

잘게 잘라 내 튼튼한 두 손으로 이겼소.

그러자 밀랍이 금세 데워졌으니 내 힘과 고공(高空)의 아들

헬리오스의 광선이 그렇게 되도록 강요했던 것이오.

나는 순서대로 모든 전우들의 귀에다 그것을 발라 주었소.

그리고 그들은 배 안에서 돛대를 고정하는 나무통에 똑바로

서 있는 나의 손발을 동시에 묶고, 돛대에다 밧줄의 끄트머리들을

매더니 그들 자신은 앉아 노로 잿빛 바닷물을 쳤소.

사람의 고함 소리가 들릴 만한 거리만큼 떨어졌을 때 우리는 재빨리

내달았소. 그러나 세이렌 자매도 자기들을 향해 가까이 다가오는

날랜 배를 못 볼 리 없는지라 낭랑한 노랫소리를 울리기 시작했소.

‘자! 이리 오세요, 칭찬이 자자한 오디세우스여, 아카이오이 족의

위대한 영광이여! 이곳에 배를 세우고 우리 두 자매의 목소리를

듣도록 하세요. 우리 입에서 나오는 감미롭게 울리는 목소리를

듣기 전에 검은 배를 타고 이 옆을 지나간 사람은 아직 아무도

없어요. 그 사람은 즐긴 다음 더 유식해져서 돌아가지요.

우리는 넓은 트로이아에서 아르고스 인들과 트로이아 인들이

신들의 뜻에 따라 겪었던 모든 고통을 다 알고 있으며

풍요한 대지 위에서 일어나는 일은 무엇이든 다 알고 있으니까요.’

그들이 고운 목소리로 이렇게 노래하자 내 마음은 듣고 싶어 했소.

그래서 나는 전우들에게 눈짓으로 풀어 달라고 명령했으나

그들은 몸을 앞으로 구부리며 힘껏 노를 저었소.

그리고 페리메데스와 에우릴로코스가 당장 일어서더니

더 많은 밧줄로 나를 더욱 꽁꽁 묶었소.

우리가 배를 몰아 세이렌 자매 옆을 지나가고

그들의 목소리와 노랫소리가 더 이상 들리지 않자

내 사랑하는 전우들은 지체 없이 내가 그들의 귀에다

발라 준 밀랍을 뗐고 나도 밧줄에서 풀어 주었소. 3) 밀랍 벌집을 만들기 위하여

꿀벌이분비하는물질.

5

10

15

20

25

30

이시기의세계문학 41*

문학(2)01(012~043) 2011.11.26 4:4 AM 페이지41 mac01 T

Page 58: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오디세이’는‘일리아드’의후속편으로, 트로이전쟁이끝난뒤10년에걸쳐고국

으로 돌아가는 오디세우스의 험난한 항해를 다루고 있다. 전쟁터에서 10년을 보

내야했던한사나이가바다에서10년이나더모진고생을겪으면서도강인한의

지와 명석한 두뇌로 마침내 고향 이타케로 돌아가 사랑하는 아내와 만난다는 이

야기이다. 제시된부분은세이렌자매의노래를듣게되면어느누구라도그아름

다운 소리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해 가까이 다가가다 난파하게 되는데, 동료의 귀

를밀랍으로막고자신의몸은돛대에묶게한채세이렌자매의유혹으로부터벗

어나는이야기이다.

1. 이글에나타난오디세우스의성격을평가해보자.

2. 오디세우스가 온갖 난관을 물리치고 고향을 찾아가는 10년간의 항해가 주

는교훈에대해생각해보자.

■감상의길잡이

42 1. 한국문학의태동과형성*

활동안내 1|교사는먼저이작품

의 배경을‘감상의 길잡이’를 통해

파악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작품

에 드러난 인물의 행동, 사상 등을

통해 인물의 성격을 평가해 보도

록지도한다.

활동 안내 2|작품을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파악하고, 그

에 따른 교훈적 의미를 생각해 보

도록 안내한다. 단순히 작가의 생

각을 파악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학

습자에게 유의미한 방향으로 내면

화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예시답|오디세우스는 지혜롭고 도전적인 성격을 가진 인물이다. 강인한 인내심을 갖고 있으며 부하들이 위험에 빠

지지않도록과감한결단력을발휘하는리더십을가진영웅적인물형이라고할수있다.

예시답|어떠한위기에서도희망과용기를잃지않는것은중요하며, 주체적인의지와인내심만있다면어떠한고난

도극복할수있다는교훈적의미를전달하고있다.

문학(2)01(012~043) 2011.11.26 4:4 AM 페이지42 mac01 T

Page 59: 문학2(최)지도서 2011.11.28 10:1 AM 페이지i mac01 T 고등학교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고등학교문학Ⅱ 교사용지도서 문학2(최)지도서

나이 드니 그저 조용한 것이 좋고

모든 일에 마음을 쓰지 않게 되었네.

돌이켜 보건대 별 방책이 없는지라

고향으로 돌아오는 수밖에요.

솔바람 부니 허리띠 풀리고

산의 달은 거문고 타는 내 모습을 비추네.

그대 궁통(窮通)1)의 이치를 물으시는가?

개울가 저쪽에서 들리는 어부의 노래, 그 아니 흥겨운가!

晩年惟好靜 ⋯ 萬事不關心

自顧無長策 ⋯ 空知返舊林

松風吹解帶 ⋯ 山月照彈琴

君問窮通理 ⋯ 漁歌入浦深

왕 유이 병 한 옮 김

장소부에게

1) 궁통 사물의 이치·지식·

기술등을깊이연구하여훤히앎.

당나라의시불(詩佛)이라불리는왕유의오언율시이다. 세상일에관심을끊고한

적한생활을영위하려는은자(隱者)의심경속에현실생활의좌절에서온울분이

서려있는작품이다. 화자는세상일에실패해고향에서은거생활을하고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마지막 부분의‘어부의 노래(漁歌)’는 굴원의‘초사(楚辭)’에

나오는말로“세상이밝으면나가서세상을다스리고, 세상에도가행해지지않으

면 은거하라.”라는 의미다. 따라서 친구의 물음에 어부의 노래가 흥겹다고 짐짓

딴청을부림으로써현실에대한불만을간접적으로토로하고있는셈이다.

1. 이 시에서 화자가 친구의 물음에‘어부의 노래, 그 아니 흥겨운가!’라면서

짐짓딴청을피우는이면에드러난심리상태는무엇인가?

■감상의길잡이

2. 은거생활의정취를사실적으로묘사한부분을찾아보자.

중국 당나라의 시인·화가. 자는 마

힐(摩詰). 벼슬은 상서우승(尙書右丞)

에 이르렀고, 중국 자연 시인의 대표

로 꼽히며, 남종화의 창시자로 불린

다. 작품에 시집“왕우승집(王右丞

集)”이있다.

왕유(王維, 699~761)

이시기의세계문학 43*

[2] 다음은당나라의시인왕유의한시이다. 잘읽고, 물음에답해보자.

활동 안내 1|작품의 전체적인 내

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시구에

드러난 심리 상태를 파악하도록

한다. 작품을 분석할 때 겉으로 드

러난 표현뿐만 아니라 이면에 나

타나는 내용에도 주의를 두는 것

이 좋다는 점에 유의하여 활동하

도록지도한다.

활동 안내 2|작품의 내용을 토대

로 장면을 상상해 보도록 한 다음

묘사가 드러난 부분을 찾아보도록

지도한다. 또한 이러한 활동을 우

리나라 문학 작품에 적용하여 보

편성과 특수성의 관점에서 두 작

품을 이해하는 것도 좋은 지도 방

법이될수있다.

예시 답|상대의 진지한 물음에 대해 오히려 흥겨운 어부의 노래에 귀기울일 것을 권하는 대목에서 세속에 대한 자

신의냉소적이고비판적인태도를우회적으로드러내고있다.

예시답|‘솔바람부니허리띠풀리고 / 산의달은거문고타는내모습을비추네’

문학(2)01(012~043) 2012.1.5 4:16 PM 페이지43 mac01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