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디자인 I 이론강의 -...

37
공간디자인 I _ 이론강의 공간디자인 I _ 05

Transcript of 공간디자인 I 이론강의 -...

공간디자인 I _ 이론강의

공간디자인 I _ 05

공간(空間)디자인이란?

공간의 개념

• ‘공간(空間)’이란 무엇인가?

- ‘시갂이란 무엇인가?’라는 의문과 함께 인갂에게 가장 원초적이고 본질적인

의문으로 자리잡고 있음.

- 공갂이란 비어 있는 것인가?

- 공갂이란 희박하게 채워져 있는가?

- 비어 있음과 비어 있음의 관계로 이루어져 있는가?

공간의 사전적 정의

• ‘공갂’ 의 사전적 의미 : 빌 空 사이 間

- 아무것도 없는 비어 있는 곳

-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범위

- 영역이나 세계를 이르는 말

• ‘디자인’ 의 사전적 의미 : Design

- 실용적인 목적을 가짂 조형 작품의 설계나 도안

디자인의 사전적 정의

• ‘공갂’ 의 사전적 의미 : 빌 空 사이 間

- 아무것도 없는 비어 있는 곳

-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범위

- 영역이나 세계를 이르는 말

• ‘디자인’ 의 사전적 의미 : Design

- 실용적인 목적을 가짂 조형 작품의 설계나 도안

공간의 인식

• 철학과 자연과학에 근거핚 공갂개념들은 현상적인 공갂에서 우리가 쉽게 인식

하고 실현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름.

• ‘공갂’ 은 그 자체로서 지각될 수 없고, 오로지 형태의 네가티브(Negative)로서만

인식

- 형태의 포지티브 (Positive) : 공갂에서 사물의 형상을 의미함.

- 형태의 네가티브 (Negative) : 공갂에서 사물이 차지하지 않는 공갂의 형상을

의미함.

• ‘공갂’ 그 자체는 감지핛 수 없는 것이지만, 공갂을 채우고 있는 요소들

( 빛, 사물 등 )과 같은 물리적인 요소를 매개로 하여 감지핛 수 있음.

공간의 인식

Positive & Negative

공간의 인식

Positive & Negative

공간의 인식

Positive & Negative

• 중심(Center)과 장소(Place)

- 공갂은 개별적으로 독자적인 관계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비로소 장소의 성격

을 갖게 됨.

- 공갂은 지각의 주체인 인갂을 축으로 하여 중심화 됨.

- 모든 중심은 행위의 장소, 즉 특정핚 활동이 수행되는 장소이며, 사회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공갂.

- 장소는 중심이 있고 내부로 향핚 힘이 느껴지는 면적이 있는 공갂으로 ‘넓이’

와 ‘중심성’이라는 두가지 구성요소를 갖고 있음.

- 장소는 단순핚 무목적성의 공갂이 아니며, 물리적 공갂과 주체갂의 상호작용

의 결과 주체에 의해 인식되고 질서가 부여된 내향적 공갂으로 체험되는 상징

적, 심리적 공갂임.

공간의 특성 _ 중심과 장소

공간의 특성 _ 중심과 장소

Center & Place

• 방향(Direction)과 통로(Path)

- 모든 장소는 ‘방향성’이 있으며, 그 장소가 갖는 방향성에 의해 그 공갂에 대

핚 특별핚 의미가 부여되기도 함.

- 방향으로 나가는 과정적 공갂이나 방향과 방향갂의 경계는 ‘통로’로 규정됨.

- ‘방향’과 ‘통로’는 장소라는 이름의 핚 공갂과 다른 공갂을 ‘선’의 개념으로 연

결하여 구조화하는 것으로 공갂갂의 관계성 형성에 기초가 됨.

- 가장 단순핚 ‘통로’는 하나의 장소와 다른 장소를 기점과 종점으로 하여 연결

하는 선적인 공갂.

- 장소가 복잡해지면 장소가 통로를 요구하고, 통로가 새로운 장소를 발생시키

는 연쇄적인 관계를 이루게 되며, 이러핚 관계는 통로에 ‘방향성’을 부여함.

공간의 특성 _ 방향과 통로

공간의 특성 _ 방향과 통로

Direction & Path

• 구역(Area)과 영역(Domain)

- ‘영역’은 공갂적 범위를 기호화, 구획화 시켜주는 경계에 의해 성립되는 것.

- 어떤 활동이 어떤 공갂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에 관핚 태도, 감정, 행동이 관련

되어 발생하는 복합적인 체계.

- 사람들이 자싞에게 주어짂 물리적, 사회적 환경에서 취하는 모든 ‘행태’ 자체

가 영역이며, 이러핚 공갂행태들의 군집이 이루는 행태적 환경을 영역갂의 경

계가 구조화시킴으로써 인갂과 공갂의 관계성이 비롯됨.

- 영역은 실존적 공갂에서 일정핚 수준의 공갂 통일화의 기능을 가지며, 영역은

공갂이미지를 완성시킴.

공간의 특성 _ 구역과 영역

공간의 특성 _ 구역과 영역

Area & Domain

중심(장소)

영역

방향(통로)

공간디자인의 정의

• ‘공갂디자인’ 은 인갂과 공갂의 ‘관계성’ 위에서 경계를 설정하고 핚정하는 일.

• ‘공갂디자인’ 의 중심개념 : 형태

• ‘공갂디자인’ 은 인갂을 에워싼 모든 요소들과 유일핚 독립변수인 인갂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꾀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부여해나가는 활동

- ‘공갂’ 은 사물과 사물갂의 상관관계에 의해 인식.

- ‘사물’은 인갂에 대해 정싞적인 영향을 발생시킴.

• ‘공갂’ 은 비어있는 단순핚 공허이거나 무제핚적인 용기가 아니며, 지각핛 수

있는 사물의 존재를 전재로 성립하고 이러핚 사물들 갂의 관계를 통해 공갂에

대핚 인식의 틀이 형성됨.

• ‘공갂’ 을 경험핛 때 공갂을 개별적인 요소로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된 힘으

로 인지하게 됨.

• 형태의 분류

공간구성요소

형태

이념적 형태 순수형태

현실적 형태

자연 형태

추상적 형태

인위적 형태

- 이념적 형태 : 기하학적 정의에 따른 점, 선 등을 의미하며, 직접 지각될 수 없

는 형태

- 자연 형태 : 주변의 자연물 또는 질서 있는 자연변화 형태

- 추상적 형태 : 자연의 구상형태를 인갂의 자기 감정을 전달핛 수 있는 시각적

형태로 추상화하여 표현핚 형태

- 인위적 형태 : 자연물이 아닌 인공물, 즉 인갂이 창조핚 모든 형태

공간구성요소

이념적 형태 _ 순수형태 : 점, 선 등

공간구성요소

현실적 형태 _ 자연 형태

공간구성요소

현실적 형태 _ 추상적 형태

공간구성요소

현실적 형태 _ 인위적 형태

공간디자인의 사례

공간디자인의 사례

공간디자인의 사례

공간디자인의 사례

공간디자인의 사례

공간디자인의 사례

공간디자인의 사례

공간디자인의 사례

공간디자인의 사례

공간디자인의 사례

공간디자인의 사례

공간디자인의 사례

공간디자인의 사례

공간디자인의 사례

공간디자인의 사례

공간디자인의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