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19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 2012. 4 (사)글로벌발전연구원 ReDI

Transcript of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Page 1: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

2012. 4

(사)글로벌발전연구원 ReDI

Page 2: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본 평가보고서는 (사)글로벌발전연구원(Re-shaping Development Institute,

ReDI)에 외부 평가로 위탁하여 작성되었으며, 평가 책임자인 정진택 교수 외

총 2명의 연구원(이태주, 김현정)이 참여하여 작성하였음을 밝힙니다. 본 평가

보고서의 내용은 한국국제협력단의 공식적인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

니다.

Page 3: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i -

1

9

제1절 평가 배경

제2절 평가의 목적

제3절 평가 상 사업

제4절 평가의 범위

9

10

12

15

17

제1절 평가팀 구성

제2절 평가 일정

제3절 평가 항목 및 방법

제4절 평가의 제약요인과 한계

17

18

20

26

28

제1절 엘살바도르 외교부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28

1. 적절성

2. 효율성

3. 효과성

4. 지속가능성

5. 크로스 커팅(Cross Cutting) 이슈

6. 사후관리 방안

7. 사후평가 시 확인사항

28

47

55

74

76

76

81

제2절 콜롬비아 역사자료 전산화 및 보존기술 역량 강화 사업 82

1. 적절성

2. 효율성

3. 효과성

82

102

109

Page 4: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ii -

4. 지속가능성

5. 크로스 커팅(Cross Cutting) 이슈

6. 사후관리 방안

7. 사후평가 시 확인사항

120

121

121

124

제3절 자메이카 청소년 IT 정보센터 신축 및 사회참여 역량강화사업 125

1. 적절성

2. 효율성

3. 효과성

4. 지속가능성

5. 크로스 커팅(Cross Cutting) 이슈

6. 사후관리 방안

7. 사후평가 시 확인사항

125

141

147

162

163

166

167

168

제1절 엘살바도르 외교부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168

1. 사업의 의의

2. 종합 평가 결과

3. 교훈점

4. 제안사항

168

169

172

174

제2절 콜롬비아 역사자료 전산화 및 보존기술 역량 강화 사업 176

1. 사업의 의의

2. 종합 평가 결과

3. 교훈점

4. 제안사항

176

177

180

182

제3절 자메이카 청소년 IT 정보센터 신축 및 사회참여 역량강화사업 185

1. 사업의 의의

2. 종합 평가 결과

185

185

Page 5: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iii -

3. 교훈점

4. 제안사항

188

189

제4절 ICT 분야 정책 제언 192

198

부록 1. KOICA 원조 상국 전자정부/ICT 섹터 평가(중남미 지역 국가)

부록 2. 면담 상자 명단

부록 3. 참고문헌

199

216

219

<표 3-1> 평가팀 구성

<표 3-2> 평가 진행 일정

<표 3-3> 현지 조사 일정

<표 3-4>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 항목

<표 3-5> 성과평가(Performance Evaluation) 항목

<표 3-6> 국가 별 국외조사 방법

<표 4-1> 엘살바도르와 과테말라 연도별 무상원조 실적

<표 4-2> 엘살바도르 외교부와 수원기관 내 정보통신국의 역할과 책임

17

18

18

20

21

25

29

41

<표 4-3> 수원기관의 사업 개발지원 관련 참여 세부 내용

<표 4-4> 사업목적과 내용

<표 4-5> 엘살바도르 사업 Project Design Matrix(PDM)

<표 4-6> 사업 투입요소 별 실행 내역

<표 4-7> 사업별 예산 투입 내역

<표 4-8> 대외협력정보시스템 주요 기능

<표 4-9> 지원 기자재 현황

<표 4-10> 대외정보협력시스템 데이터 분류 체계

<표 4-11> 대외협력정보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한국의 원조 프로젝트

42

44

44

48

50

57

60

61

62

Page 6: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iv -

<표 4-12> 전문가 파견 내역

<표 4-13> 사용자 레벨에서 제시된 시스템 문제점

<표 4-14> ‘Soft and Enterprising Colombia’ 세부 목표

<표 4-15> 수요조사 및 정책심사 결과 총괄표

<표 4-16> 콜롬비아 문화부와 국립도서관의 역할과 책임

<표 4-17> 콜롬비아 사업 PDM

<표 4-18> 수원국 요청 대비 지원 내역

<표 4-19> 사업 투입요소 별 실행 내역

<표 4-20> 전산화 및 보존 작업 현황

<표 4-21> 디지털도서관 내 자료 전시 현황

67

71

83

90

95

97

100

103

112

113

<표 4-22> 홈페이지 이용 통계

<표 4-23> 파견 전문가 현황

<표 4-24> Vision 2030 ICT 섹터 성과 목표

<표 4-25> ICT 국가전략 6대 중점 추진 분야

<표 4-26> 국가청소년정책 6대 중점 분야

<표 4-27> 자메이카 주요 사업 내역

<표 4-28> 사업 목적 및 사업 내용

<표 4-29> 사업 대상 선정의 적절성

<표 4-30> 사업 투입요소 별 계획 대비 실행

<표 4-31> 기관별 지원 기자재

<표 4-32> 센터 이용 기관 및 관련 분야

114

116

127

128

130

132

137

139

141

148

157

<그림 2-1> 성과모델(Logical Framework)과 종료평가의 범위

<그림 3-1> 본 평가의 조사방법 흐름도

<그림 4-1> 엘살바도르 ICT 관련 전략 및 정책

<그림 4-2> 엘살바도르 e-Country Programme 의 전략적 달성 프레임

16

23

29

30

Page 7: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v -

<그림 4-3> 엘살바도르 GDP의 구성 비율

<그림 4-4> 외교부 전략 프레임 2009-2014

<그림 4-5> 엘살바도르 ODA 수원 현황, 2001-2007

<그림 4-6> 중남미 ICT 현황 대 한국의 ICT 지원전략

<그림 4-7> 엘살바도르 사업 주요 이해관계자

<그림 4-8> 항목별 예산 비율

<그림 4-9> 사업 수행 체계

<그림 4-10> 엘살바도르 외교부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지원 사업 성과모형

<그림 4-11> 한국이 지원한 원조의 지리 정보

<그림 4-12> 수원기관에서 개발한 사용자용 매뉴얼

<그림 4-13> 국가별 시스템 방문 현황

<그림 4-14> 제안 요청 공문(번역본)

<그림 4-15> 콜롬비아 ICT 개발 정책 관련 주요 부처

<그림 4-16> 중점지원 분야 및 전략지원 프로그램

<그림 4-17> 콜롬비아 사업 이해관계자 분석

<그림 4-18> 국립도서관 조직도

<그림 4-19> 항목별 예산 비율

<그림 4-20> 콜롬비아 역사자료 전산화 및 역량 강화 사업 로그프레임

<그림 4-21> 자료 전산화 과정

<그림 4-22> 콜롬비아 국립도서관에서 보관중인 유네스코 등재 유산

<그림 4-23> 디지털도서관 3단계 로드맵

<그림 4-24> Vision 2030, 4대 국가 발전 목표와 15개 세부 목표

<그림 4-25> 이해관계자 분석

<그림 4-26> 항목별 예산 비율

<그림 4-27> 사업 수행 체계

<그림 4-28> 자메이카 사업 성과모형

<그림 4-29> 자메이카 청소년정보센터(YIC) 지도

<그림 4-30> NCYD 격월지

<그림 4-31> 자메이카 개발 사업의 환경 승인 수행 절차

32

34

35

37

40

50

53

56

63

65

66

73

84

89

91

94

106

109

111

114

117

126

133

143

145

148

154

155

165

Page 8: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vi -

<사진 1-1> 시스템 메인 화면

<사진 1-2> 시스템 소개(Introduction)

<사진 1-3> 수원금 총계(General Balance)

<사진 1-4> 지리 정보

<사진 1-5> 프로젝트 정보 제공

<사진 1-6> 관련 기사

<사진 1-7> 초청연수자 인터뷰

<사진 2-1> A2 사이즈 스캐너(1)

<사진 2-2> A2 사이즈 스캐너(2)

<사진 2-3> A1 사이즈 스캐너

<사진 2-4> A0 사이즈 스캐너

<사진 2-5> Archive Writer

<사진 2-6> 박스 메이커

<사진 2-7> 스토리지

<사진 2-8> 관계자 인터뷰

<사진 3-1> JFLL 건물 앞 표지판

<사진 3-2> JFLL 센터 외관

<사진 3-3> JFLL 센터 내부

<사진 3-4> 센터 내 IT Lab(1)

<사진 3-5> 센터 내 IT Lab(2)

<사진 3-6> 이용 청소년

<사진 3-7> NYS IT Lab(1)

<사진 3-8> NYS IT Lab(2)

<사진 3-9> NYS IT Lab(3)

<사진 3-10> NYS IT Lab(4)

<사진 3-11> NYS 내부 네트워크

59

59

59

59

59

59

70

110

110

110

110

110

110

111

111

149

149

150

150

150

150

151

151

151

151

152

Page 9: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vii -

<사진 3-12> 훼손된 노트북

<사진 3-13> 고장난 노트북 7대

<사진 3-14> NYS 서버실 내부

<사진 3-15> YIC 센터 정면

<사진 3-16> YIC 센터 후면

<사진 3-17> 센터 내부

<사진 3-18> 부엌

<사진 3-19> 화장실

<사진 3-20> 관계자 면담

<사진 3-21> 센터 전경

<사진 3-22> 센터 내부

<사진 3-23> 지원된 컴퓨터

<사진 3-24> 서버실

<사진 3-25> 지역 청소년 및 관계자 인터뷰

<사진 3-26> 센터 앞 기념촬영

152

152

152

156

156

156

156

156

156

159

159

159

159

160

160

Page 10: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viii -

약어 정식 명칭

AIDS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CAP Career Advancement Program

CITO Central Information Technology Office

CM Construction Manager

COLCIENCIAS Administrative Department of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CSS Cascading Style Sheet

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CISES Development Cooperation Information System of El Salvador

EC European Committee

EU European Union

FGD Focus Group Discussion

HIV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LF-4 High Level Forum - 4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DB Interamerica Development Bank

IDPs Internally Displaced Persons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IT Information Technology

ITIGES Technology and Computer Innovation Unit of the Government

of El Salvador

JFLL Jamaica Foundation for Lifelong Learning

KOICA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MICYS Ministry of Information, Culture, Youth, and Sports

MOF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NCYD National Center for Youth Development

NSSC National Secondary School Council

약 어

Page 11: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ix -

약어 정식 명칭

NYS National Youth Service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SS Open Source Software

PDM Project Design Matrix

PIOJ Planning Institue of Jamaica

PMC Project Management Consultant

RD Record of Discussion

SICDES Sistema de Informacion sobre Cooperacion para el Desarrollo

de El Salvador

TOR Terms of Reference

UNICEF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YEO Youth Empowerment Officer

YIC Youth Information Center

Page 12: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1 -

제 I 장 평가 요약

본 평가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KOICA에서 실시한 <중남미 3개국의 ICT/

행정제도 지원 사업>에 한 종료평가로, 각 사업의 과정과 성과를 적절성

(Relevance) 효율성(Efficiency), 효과성(Effectiveness),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등 OECD/DAC가 권고하는 국제적으로 합의된 평가 기준에 입

각하여 분석하였음.

동 평가의 상 사업은 엘살바도르 외교부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콜롬비

아 역사자료 전산화 및 보존기술 역량 강화 사업, 자메이카 청소년 IT 정보센터

신축 및 사회참여 역량강화 사업으로 각 사업의 성격에 맞는 성과모형의 도출을

통하여 성과평가(Performance Evaluation)와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를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고, 문헌조사, 관계자 면담, 현장실사 등을 통해 종합

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논리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과 결과를 도출하였음.

각 사업별 종합적 평가 결과와 그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음.

※ 엘살바도르 외교부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 (적절성) 동 사업은 파리선언 원조조화 원칙의 수행을 보다 용이하게 함으

로써 수원국의 원조효과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국제사회의 요구에 부합하

며 투명성과 책무성을 강조하는 엘살바도르의 정부 정책에 부합하다는 면

에서 지원의 적절성이 있음. 사업 계획 및 수행 과정에서 현지조사와 요구

분석을 통해 수원기관의 의견과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여 시스템을 구

축했으며, 수원기관 내 구체적인 역할 분담을 통하여 상호 간의 의사소통

이 비교적 원활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사업 수립과정의 적절성이 있다

고 판단됨.

○ (효율성) 동 사업에 투입된 자원은 주어진 과업 기간과 예산 내에 계획 로

Page 13: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2 -

집행이 완료되었으나 일부 사업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기자재 지원과 사업

관리 예산의 증 로 자원 배분의 효율성이 다소 저하됐다고 판단됨. 사업

수행 과정에서 원활한 소통 체계를 구축하였으나 사업 종료 후 문제해결을

위한 소통 구조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였고, 언어차이로 인한 의사소

통 문제와 시차가 사업의 효율성을 해치는 구조적인 문제로 작용하였음.

○ (효과성) 수원기관의 필요를 충분히 반영하여 시스템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본 시스템을 통하여 엘살바도르 원조 관련 정보가 체계적으로 저장되고 투

명하게 공개되고 있음. 또한 시스템의 내외적인 활용도가 매우 높음. 하

지만 전문가 파견과 초청연수를 통한 기술이전이 충분치 못하여 정보처리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됨.

○ (지속가능성) 수원국의 시스템 활용도가 높아 지속가능한 운영이 보장되나

시스템 안정성의 문제로 효율성이 저하되어 이에 한 조속한 개선이 필요

한 상태임. 지원된 기자재는 현지유지보수 업체 계약과 외교부의 충분한

관리역량으로 운영에 있어서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됨.

위와 같은 종합적 종료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사업의 사후관리 및 사업

추진에 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였음.

○ (사후관리) 시스템에 한 유지보수를 수행할 경우 현재 나타나고 있는 단

순 오류 수정을 넘어서, 요구분석 전문가의 파견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시

스템 전반에 한 개선 과정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이를 위해서

는 아측의 전문가를 최소 1개월 이상 파견하여 시스템을 수원기관의 요구

에 맞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시스템 관리 인력을 상으로 한 운영 교

육을 보다 체계적으로 철저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됨.

○ (지속적인 정책 화 필요) 수원국과의 지속적인 정책 화를 통하여 지원한

사항에 한 사업관리를 철저하게 할 필요가 있음. 외협력정보시스템에

하여 엘살바도르 외교부 측에서 자체적인 개선계획을 세워 남남협력 사

Page 14: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3 -

업으로 추진한 바 있는데 수원국과의 지속적인 정책 화가 있었다면 이러

한 부분을 미리 인지하고 아측에서 사후관리를 철저히 수행했을 것으로 사

료됨.

○ (시스템 관리 및 유지보수 체계 구축) 사업수행 단계뿐만 아니라 사업이 종

료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의사소통 채널을 유지하고 적극적으로 성과를

관리하며, 유지보수를 위한 여유분의 자금을 확보하여 추가적으로 발생할

문제에 한 위험관리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

○ (기술이전을 위한 전문가 파견 기간 및 역할의 구체화) 시스템 구축 사업은

지원된 시스템 운영을 위한 충분한 기술이전이 필수사항임. 따라서 사업

계획 당시 철저한 사전조사를 바탕으로 전문가 파견 역할을 구체화하여 교

육 커리큐럼, 시스템 설치 기간, 교육 기간 등이 각각 세부적으로 명시된

과업지시서(TOR)를 작성할 필요가 있음.

○ (삼각협력 사업 추진) 엘살바도르 외교부 측에서 만족할 정도의 시스템 개

선이 이루어지고 해당 인력의 역량 강화가 충분히 이루어진다면, 동 사업

은 향후 엘살바도르를 중심으로 중남미 지역을 상으로 한 삼각협력 사업

으로 추진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됨.

※ 콜롬비아 역사자료 전산화 및 보존기술 역량 강화 사업

○ (적절성) 동 사업은 콜롬비아가 보유하고 있는 소중한 역사문화 자료를 전

산화하여 일반 시민들이 편리하게 접근 가능토록 한다는 면에서 콜롬비아

정보통신 분야의 정책적 목표에 부합하는 면이 있으며, 콜롬비아 문화부

및 국립도서관의 장기적인 비전하에서 사업이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지원의

타당성이 있다고 평가됨. KOICA의 지원전략과 연관성을 찾기는 어렵지만

독립 200주년을 맞이한 콜롬비아의 정보문화 부흥 전략과의 시기적 적절성

이 있음. 3단계의 디지털도서관 구축 로드맵 제공으로 장기 비전을 제시하

고 이중에서 1단계 달성을 위한 기자재 지원으로 사업 범위를 구체화하여

Page 15: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4 -

한정된 예산 하에서 전략적인 사업 규모 선정을 하였다고 판단됨.

○ (효율성) 동 사업에 투입된 인력은 계획 로 이행되었으며, 기자재 설치 및

기술이전에 충분한 전문 인력 및 기간이 투입되었음. 수원국의 면세-통관

절차와 암실 구축 과정에서 계획보다 지연된 부분이 있었으나 이에 따른

과업 기간의 연장은 없었음. 수원국 내 관련 부처들의 협력 체계 미비와

수원기관의 행정처리 역량 부족이 사업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

적되나 동 사업의 과업기간 및 예산에 미친 영향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됨.

○ (효과성) 지원된 기자재는 모두 정상적으로 설치, 운영되어 콜롬비아 소장

고문서의 전산화 및 보존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음. 콜롬비아 국립도서

관의 자체 계획 하에 지원된 스캐너와 Archive Writer를 활용하여 자료 전

산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박스메이커의 도입으로 문서자료

보존 역량 또한 폭 향상되었음. 초청연수 시 자료 보존 및 디지털도서관

에 한 최근 경향과 특성에 한 교육 훈련이 이루어졌으며 연수자가 현

재까지 실무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사업을 관리함으로써 기술전파의 효과

가 증 되었음. 전문가 파견을 통한 컨설팅이 단순 지식 공유에 그치지 않

고 수원기관 측에서 충분히 수용하여 자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술 이전의 효과 또한 지속되고 있다고 판단됨.

○ (지속가능성) 국립도서관 측에서 디지털도서관 전담부서의 운용을 통해 자

체적으로 디지털화 계획을 추진해 가고 있다는 점에서 동 사업의 지속가능

성이 있다고 판단됨. 지원된 기자재에 한 운영 인력과 예산이 확보되어

있으며 현지 유지보수 계약으로 정기적인 점검이 이루어지고 있음. 하지만

지원된 기자재가 최첨단장비로 현지유지보수 업체가 해당 장비에 한 전

문성이 부족하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됨.

위와 같은 종합적 종료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사후관리 및 사업 추진에

한 제언은 다음과 같음.

Page 16: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5 -

○ (사후관리) 지원된 기자재는 부분 외산 장비로 아국의 지원업체 역시 해

당 장비에 한 전문성이 부족하여 장기적인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국립도

서관과 제조사와의 직접적인 의사소통 채널의 확보가 필요함.

○ (스토리지 확장 및 회선 속도 개선) 사후관리 차원으로 추가 지원을 수행할

경우 추가적인 스토리지 지원이 필요하며 향후 콜롬비아 디지털 국립도서

관 서비스와 연계하여 보다 원활하고 양질의 이미지 및 동영상 정보 제공

을 위해서는 폭적인 회선속도 개선이 필요함.

○ (문화 ODA 지원 전략 수립) ODA를 통한 문화 분야의 지원에 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문화 분야의 지원은 단순 기계중심의 부가가치 창출

에서 탈피하여 지속적인 유무형의 부가가치 창출을 모색할 수 있다는 장점

을 지님. 특히 콜롬비아와 같이 일정 수준 이상의 소득을 영위하며 우수한

문화유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국가의 경우 동 사업과 같은 문화 분야 지

원이 타당함. 이에 ODA를 통한 문화 분야의 전략적 지원을 위한 정책 수

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됨.

※ 자메이카 청소년 IT 정보센터 신축 및 사회참여 역량강화 사업

○ (적절성) 동 사업은 수원국의 ICT 정책이나 청소년 정책을 기반으로 기획

된 것은 아니나 수원국의 인적자원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자메이카 ICT 정

책과 청소년 정책에 일정 정도 부합함. 아측 이해관계자의 역할 분담은 잘

되었으며 각 담당기관이 주어진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였으나 KOICA 현

지사무소 부재로 전반적인 사업 관리 및 모니터링이 원활히 수행되지 않은

점이 한계점으로 지적됨. 사업 수립 단계에서 수원국의 의견과 요청이 아

측과의 협의를 통하여 적절하게 반영되었지만 사업이 여러 기관에 분산되

어 지원됨으로 인하여 사업의 관리 및 운영에 제약을 가져왔다고 판단됨.

○ (효율성) 동 사업의 과업 기간이 수원국 측의 업무체계 상의 문제로 계획보

다 1년 간 지연되었음. 복잡한 사업 구조에 반하여 이해관계자 간의 원활

Page 17: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6 -

한 소통체계가 구축되지 않아 사업 전반의 효율성을 저하하였다고 보임.

아측에서 지원하기로 한 투입자원은 집행이 모두 완료되었으나 유지보수

및 사업 관리에 하여 수원기관과의 충분한 협의가 부족하였음. KOICA

현지사무소 부재와, 수원기관의 예산 부족 및 사업 관리 역량 부족이 사업

의 효율성을 저해한 주요 요인으로 판단됨.

○ (효과성) NYS에 지원된 기자재 중 일부가 청소년 직업교육에 활용되고 있

다는 점에서 청소년의 IT 교육 접근성 향상에 일정 부분 기여하고 있다고

판단되나 부분의 기자재가 타 지역으로 분배, 이전되었으며 기자재가 산

발적으로 지원되어 그 효과를 보장하기 어려움. 청소년 IT 센터는 두 센터

모두 정상적으로 완공되었으나 아직까지 공식적인 개소식이 이루어지지 않

았으며 수원기관의 역량 부족으로 정상적인 센터 운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임.

○ (지속가능성) NYS에 지원된 기자재의 경우 현지 운영 및 유지보수 역량 부

족으로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어려움. 청소년 IT 센터는 현재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지 않지만 센터 운영이 NCYD에서 핵심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

므로 향후 지속가능한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 됨. 하지만 센터의 안

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예산 및 IT 관련 인력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고 보임.

위와 같은 종합적 종료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사후관리 및 사업 추진에

한 제언은 다음과 같음.

○ (사업 발굴 체계 검토) 동 사업과 같이 수원국 내 여러 기관의 수요를 포괄

한 형태의 사업지원은 타계하고자 하는 목표가 불분명하며 사업의 파급효

과 또한 크지 않다는 한계가 있음. 따라서 사업발굴에 있어서 단순히 수원

국의 요청에 국한하여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개발 수요를 탐색

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지원 분야 및 사업을 발굴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증 되는 ODA 예산을 감안할 때, 단순히 사업의 수를 늘리

Page 18: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7 -

는 방향이 아닌, 개발 수요에 부합하는 전략적인 사업 발굴이 필요한 시점

임.

○ (출구 전략 도입) 사업 계획 및 실행 단계에서 지원된 시설물을 운영, 관리

할 기관에 한 분석을 바탕으로 출구 전략(Exit Strategy)을 수립해야 함.

출구 전략을 통하여 현재 수원기관의 역량과 시설물을 운영하기 위해 추가

적으로 필요한 역량 간의 간극을 파악하고, 이러한 간극을 줄이기 위한 방

안을 도입할 필요가 있음. 이러한 출구 전략을 바탕으로 사후 관리 프로그

램이 도입될 수 있으며, 사업종료 후에도 의사소통 채널을 유지하여 사업

의 성과 달성을 위한 지원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됨.

○ (KOICA 봉사단 파견 검토) 지원된 기자재를 적절히 운영하고 교육, 훈련할

수 있는 IT 전문 인력의 파견이 필요함. 두 개의 청소년 IT 센터는 담당직

원이 존재하지만 IT와 관련된 전문지식 및 교육역량은 부족한 상태임. IT

분야에 한 전문지식과 교육역량을 지닌 인력이 부족할 경우 센터 구축

이후의 관리에 있어 문제가 생길 수 있음. 이에 KOICA 측에서 IT 역량강

화 프로그램을 전담 운용해 나갈 수 있는 봉사단을 파견하며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됨.

○ (청년 창업 지원 검토) 자메이카 정부에서 Youth Entrepreneurship

Program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아측에서 지원한 YIC 센터를 IT

분야의 청년 창업 기점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계획을 지니고 있음. 이러한

상황에 기반하였을 때 향후 자메이카에 추가적인 사업지원이 이루어질 경

우 청년창업, 중소기업 육성과 IT를 연계한 프로젝트 지원이 검토될 필요

가 있음.

엘살바도르 외교부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과 콜롬비아 역사자료 전산화 및

보존기술 역량 강화 사업은 사업의 의의와 그 내용 면에서 봤을 때 KOICA의

표적인 성공사례로 꼽을 수 있는 사업으로 평가됨. 특히 엘살바도르 사업의 경우

국제적인 흐름에도 매우 부합하여 향후 중남미를 거점으로 한 삼각협력 사업으

Page 19: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사업 종료평가 보고서redi.prizma.co.kr/wp-content/uploads/2014/08/...보고서평가-요약-부분.pdf · 중남미 ict/행정제도 지원

- 8 -

로의 추진을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됨.

한국의 ODA 규모가 늘어나고 국제사회의 원조에 있어서도 한국의 역할에

한 기 가 높아지는 시점에서, KOICA가 한국을 표하는 무상원조기관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원조를 집행하기 위해서는 무상협력 사업의 표적인 브랜드

사업 발굴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마지막으로 제언하는 바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