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부품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자동차 부품산업의...

18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Vol. 12. No.1 2013. 4. pp 23~40 23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 1) 정동원 * ·한종호 ** 2) An Input-Output Analysis of Automobile Parts Industry in Korea Dong Won Jeong Jong Ho Han 국문 요약 대구시의 주력산업인 자동차 부품산업은 한-미, 한-EU FTA의 체결로 인하여 FTA 최대 수혜 산업 으로 부상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산업은 국내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산업으로 성장하였으며, 국내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 에서는 2010년도 산업연관표에 근거한 투입산출분석을 이용하여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민경제적 산업파 급효과를 분석하되, 크게 3가지 주제를 다루고자 한다. 첫째,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자동차 부품산 업에서의 생산 혹은 투자가 다른 산업의 생산, 부가가치,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둘째, 공급유도 형 모형을 적용하여 자동차 부품산업에서의 공급지장이 다른 산업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토한다. 셋 째,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이용하여 자동차 부품산업 산출물 가격 변동이 다른 산업의 산출물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자동차 부품산업을 중심에 놓고 이를 외생화하여 분석 및 해석하는 접근방법을 취함으로써 자동차 부품산업에 대해 논의를 집중한다. 또한 전방연쇄효과 및 후방연쇄효과와 같은 정보를 얻기 위해 산업간 연쇄효과 분석결과도 제시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자동차 부품산업에 대한 1원 생산은 타산업에 0.7330원의 생산유발효과와 0.2076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그리고 10억원 생산에 따른 취업유발효과는 3.0089명으로 분석되었으며, 자동차 부품산업의 1원 공급지장이 타 산업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0.5449원, 자동차 부품산업 10% 가격상승은 타 산업에 0.0146%, 그리고 1.0871의 전방연쇄효과, 1.3228의 후방연쇄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제어 : 자동차 부품산업, 투입산출분석, 수요유도형 모형, 공급유도형 모형, 레온티에프 가격모형 * 호서대학교, 경영학과, 강사(Lectur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Hoseo University), E-mail : [email protected], Tel : 041-560-8340 ** 호서대학교, 경제학과, 강사, 교신저자(Lecture, Department of Economics, Hoseo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E-mail : [email protected], Tel : 041-560-8330

Transcript of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자동차 부품산업의...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Vol. 12. No.1 2013. 4. pp 23~40

23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

1)정동원*·한종호

**2)

An Input-Output Analysis of Automobile Parts Industry in Korea

Dong Won Jeong ․ Jong Ho Han

국문 요약

구시의 주력산업인 자동차 부품산업은 한-미, 한-EU FTA의 체결로 인하여 FTA 최 수혜 산업

으로 부상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산업은 국내경제에서 큰 비 을 차지하고 있는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되는 요한 산업으로 성장하 으며, 국내경제에서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

에서는 2010년도 산업연 표에 근거한 투입산출분석을 이용하여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민경제 산업

효과를 분석하되, 크게 3가지 주제를 다루고자 한다. 첫째,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자동차 부품산

업에서의 생산 혹은 투자가 다른 산업의 생산, 부가가치, 취업에 미치는 향을 살펴본다. 둘째, 공 유도

형 모형을 용하여 자동차 부품산업에서의 공 지장이 다른 산업에 미치는 효과에 해 검토한다. 셋

째, 온티에 가격모형을 이용하여 자동차 부품산업 산출물 가격 변동이 다른 산업의 산출물 가격에

미치는 향에 해 논의한다. 특히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자동차 부품산업을 심에 놓고

이를 외생화하여 분석 해석하는 근방법을 취함으로써 자동차 부품산업에 해 논의를 집 한다.

한 방연쇄효과 후방연쇄효과와 같은 정보를 얻기 해 산업간 연쇄효과 분석결과도 제시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자동차 부품산업에 한 1원 생산은 타산업에 0.7330원의 생산유발효과와

0.2076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그리고 10억원 생산에 따른 취업유발효과는 3.0089명으로 분석되었으며,

자동차 부품산업의 1원 공 지장이 타 산업의 생산에 미치는 향은 0.5449원, 자동차 부품산업 10%

가격상승은 타 산업에 0.0146%, 그리고 1.0871의 방연쇄효과, 1.3228의 후방연쇄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제어:자동차 부품산업, 투입산출분석, 수요유도형 모형, 공 유도형 모형, 온티에 가격모형

* 호서 학교, 경 학과, 강사(Lectur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Hoseo University), E-mail :

[email protected], Tel : 041-560-8340

** 호서 학교, 경제학과, 강사, 교신 자(Lecture, Department of Economics, Hoseo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E-mail : [email protected], Tel : 041-560-8330

24 정동원․한종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Abstract

After the launch of Korea-US and Korea-EU FTA, automobile part industry has become the

largest beneficial industry from these FTA. The automobile part industry has grown an

important sector of automobile industry and particularly plays and important role in Korea

national economy. The paper attempts to apply input-output (I-O)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automobile part industry o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 static I-O

framework is employed, focusing on three topics in its application. First, the impacts of the

production or investment in advertising industry on the production, value-added, and

employment of other sectors are explored by using demand-driven model. Second, the impacts

of the supply shortage in automobile industry on other sectors are looked into by using

supply-driven model. Third, the impacts of the rise in automobile price on prices of other

products are discussed by using Leontief price model. This pape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automobile industry by taking the industry as exogenous and then investigating its

economic impacts. In addition, inter-industry linkage analysis is performe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to quantify the strength of causation among

industries.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steel industry has 0.7330 won production-inducing

effect, 0.2076 won value-added effect, 3.0089 person/10 billion won employment-inducing effect,

0.5449 won supply shortage effect, 0.0146% effect of price change, 1.0871 forward linkage effect,

and 1.3228 backward linkage effect.

Keywords : automobile part industry, input-output analysis, demand-driven model,

supply-driven model, Leontief price model

Ⅰ. 서 론

자동차산업은 범 한 후방연 산업을 가

지고 있는 표 인 종합산업으로 오늘날 세계

으로 가장 치열한 경쟁 산업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세계의 완성차 업체들은 상호 간의

략 제휴를 통한 로벌 네트워크의 구축을 도모

하고 있으며, 첨단기술 개발은 물론 생산 기술의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충남테크노 크, 2012).

자동차 부품산업은 구시의 주력산업으로서

자동차 산업과 분업 생산체제를 형성하고 있으

며, 소재와 부품생산에 련된 속소재 기계,

기 자, 화학제품 등과 같은 공업분야와 한

련을 맺고 있다. 자동차 부품산업은 방산업인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요 산업으로

서 자동차가 고도의 안 성과 편의성, 경량화를

요구함에 따라 자동차 부품산업도 안정성, 정 성

등의 품질 리가 매주 요하다. 한 후방산업인

소재산업, 기, 자, 비철 속, 철강산업 등과 상

호 한 향을 교환한다(이춘근, 2011).

자동차산업의 특성상 완성차기업의 로벌

략이 성공 으로 실화되기 해서는 부품소재

산업의 로벌 경쟁력과 완성차기업과 부품기업

사이의 효과 이고 효율 인 력시스템이 뒷받

침되어야 한다(김동환b, 2012). 즉, 부품의 자체 설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민경제 효과 분석 -산업연 분석을 이용하여- 25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계능력 없이는 완 한 독자모델 자동차의 개발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첨단 부품의 개발 없이는

차세 자동차 개발이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자동차 부품산업은 모듈화의 진 , 랫폼

통합 가속화, 국내 완성차 메이커의 생산능력 확

, 친환경 장부품의 두 등 자동차 부품산

업의 환경이 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한-미 FTA

와 한-EU FTA 체결로 인하여 자동차 부품산업

이 FTA의 최 수혜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

러나 아직 자동차 부품산업에 한 연구는 거의

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배경 하에서는 본 논문은 투입산

출분석(input-output analysis)을 이용하여 자동

차 부품산업 경제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자동차 부품산업을 내생부문이 아닌 외생부

문으로 다루는 외생화 기법을 이용하여 자동차 부

품산업의 경제 효과를 보다 분명하게 추정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

발효과, 취업유발효과, 산업간 연쇄효과를 분석한다.

본 논문의 이후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 제2

에서는 자동차 부품산업의 개요 선행연구에

해 살펴본다. 제3 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방법론

인 수요유도형 모형, 공 지장모형, 온티에

가격모형 산업간 연쇄효과에 해 소개한다.

제4 에서는 자동차 부품산업의 경제 효과

에 한 분석결과를 제시하며, 마지막 은 결론

으로 할애한다.

Ⅱ. 자동차 부품산업의 개요

1. 자동차 부품산업의 현황

자동차 부품산업은 한국표 산업분류상 엔진과

차제의 부품을 제조하는 산업을 말한다. 용도별로

는 OEM, A/S, 수출용 부품으로 나 어지며, 기능

별로는 크게 샤시(chassis)와 차체(body)로 분류

된다. OEM 부품은 완성차 메이커에 공 되는 차

량제조용 부품을 말하며 A/S 부품은 차량의 보수

리를 해서 소요되는 부품을 일컫는다. 그

리고 수출용 부품은 해외 완성차 메이커에 한

직수출 부품과 해외에서 운행되는 차량의 A/S를

한 부품이다. 차체는 좌석 화물 재를 한

부분이고 샤시는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문(엔진

포함)으로 동력 달장치, 기장치, 기타(조향장

치, 제동장치, 가장치 등)로 구분된다.

<표 1> 부문별 매출 추이(단 : 백 억원, %)

구분  OEM A/S 수출 합계

2005 326.8(78.3) 22.9(5.5) 67.6(16.2) 417.3

2006 360.0(78.2) 23.4(5.1) 76.7(16.7) 460.1

2007 386.4(77.0) 23.2(4.6) 92.3(18.4) 501.9

2008 368.5(74.3) 22.1(4.5) 105.3(21.2) 495.9

2009 342.2(76.8) 20.5(4.6) 82.7(18.6) 445.4

2010 440.8(74.9) 26.4(4.5) 121.3(20.6) 588.5

2011 516.3(76.1) 31.0(4.6) 130.9(19.3) 678.2

자료 : 김동환a(2012).

26 정동원․한종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국내 자동차 부품산업은 국내 완성차 생산실

에 따라 실 이 연동되는 모습을 보여왔다. 그 이

유는 국내 자동차 부품산업이 OEM 부문에 한

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1998년 외

환 기를 거치면서 신성장 동력을 발굴한다는 차

원에서 해외 직수출 확 를 한 노력, 차종의 상

화, 편의사양의 다양화 화 등에 따른 부

품의 고부가가치화 진 으로 부품의 매출과 완성

차 생산실 간의 상 계는 약화되고 있는 추세

이다(김동환b, 2012). <표 1>은 최근 자동차 부품

부문별 매출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부품생산업체의

83.2%가 소기업이고 기업은 16.8%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이상의 업체가 1~2개의 완성차

메이커에 납품하는 속 · 층 거래 계를 유

지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비 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모듈화의 진

으로 인하여 모듈 업체로의 환에 실패한 부품

사의 경우에는 상 업체로의 종속성이 심화되고

・소형 부품사의 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

인다(김동환b. 2012).

<표 2> 생산업체 현황(단 : 개, %)

구분 기업 소기업 계

2008 118(13.3) 771(86.7) 889

2009 118(13.0) 792(87.0) 910

2010 119(13.2) 780(86.8) 899

2011 149(16.8) 737(83.2) 886

주주 : 1. 소기업 기 : 종업원 300명 미만, 자본 80

억원 이하(단, 한가지 기 에만 해당되면 소

기업).

2. 2011년 7월부터 계회사 규정(매출액, 지분율

30%이상 등)에 따라 기업 수 증가.

자료 : 김동환b(2012).

2. 국내 선행연구 검토

자동차 부품산업에 한 투입산출 분석을 찾아

본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자동차 부품산업에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선행연구

검토는 부품산업과 연 있는 자동차 산업을 상

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 다.

오성동․오성철(2000)은 한국 자동차산업의 발

방안에 해 연구하면서 간단히 자동차산업에

한 산업연 분석을 시도하 다. 그러나 이 연구

에서는 산업연 표 기본부문 자동차 련

산업만을 분류하여 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분석하여 자동차산업의 발 을 해서는 자동차

부품산업의 연구개발과 육성이 필요하다는 사실

을 제기하고 있다. 한 생산유발의존도 분석에서

는 민간고정자본형성에 의해 자동차산업의 생산

유발의존도가 높음을 보여 으로써, 민간소비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시사 을 제공해 주고

있다.

김안호․기성래(2004)는 생산유발계수와 수입

유발계수, 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통해 자동

차산업의 경제 효과를 분석하 다. 분석결

과 생산유발계수와 향력계수는 산업평균에

비해 매우 높았으나, 수입유발효과는 산업평균

치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감응도계수는 자동차

산업 외에는 낮은 수치를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허재용․이진섭․곽승 (2008)은 2000년 산업

연 표를 사용하여 한국과 일본 제조업의 산업

효과에 해 비교연구하면서 자동차산업을 외

생화시켜 분석하 다. 분석결과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 유발효과에서는 제1차 속(제10부문)

제품이 가장 많은 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공 지장효과와 물가 효과에서는 사회

기타서비스(제27부문) 부분이 향을 많이 받는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민경제 효과 분석 -산업연 분석을 이용하여- 27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동원․유승훈․황삼생(2008)은 2003년도 산

업연 표에 근거한 투입산출분석을 이용하여 자

동차산업을 심에 놓고 외생화하여 경제 산업

효과를 분석하 다. 분석결과 자동차 산업에

서의 1원 생산증가는 타산업에 미치는 향을 살

펴보면, 생산유발효과 1.6737원, 부가가치 유발효

과 0.4946원, 취업유발효과 8.0398명으로 분석되었

으며, 자동차산업의 산출액 1원 감소에 의해 타 부

문에 발생하는 생산 감소분을 의미하는 공 지장

효과는 1.0465원, 그리고 자동차산업 부문에서의

10% 가격상승으로 인해 타 부문에 야기되는 물가

효과는 0.3594% 으며, 자동차산업이 경제

체에서 차지하는 상 인 치를 악하기

한 방연쇄효과와 후방연쇄효과는 각각 0.9231과

1.3231로 나타났다.

유승훈 외(2008)은 산업연 분석을 이용하여 방

송산업의 국민경제 효과를 분석하 다. 수

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방송산업의 타 산업 생

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와

공 유도형 모형 온티에 가격모형을 용

하여 방송산업의 공 지장효과 물가 효과

를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 방송산업의 1원 생

산은 타 산업의 생산을 0.7059원, 타 산업의 부가

가치를 0.3970원, 방송산업의 10억 원생산은 타 산

업에서 7.919명의 취업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한 방송산업에서 1원의 공 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 타 산업에서는 1.3083원의 생산차질이 발

생하여 공 지장효과가 제법 큰 것으로 나타났으

며, 마지막으로 방송산업 산출물의 가격이 10%

상승했을 때, 국민경제 체에 미치는 물가 효

과는 0.2926%로 분석되었다.

한건택 외(2008)은 2009년도 산업연 표에 근거

한 투입산출분석을 이용하여 집단에 지산업의

국민경제 효과를 분석하 다. 분석 결과,

집단에 지산업은 낮은 생산유발효과, 높은 공

지장효과, 낮은 물가 효과, 낮은 방연쇄효과,

낮은 후방연쇄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정동원(2012)의 산업연 분석을 이용하여 물류

산업의 경제 효과를 분석하기 하여 수요

유도형 모형, 공 유도형, 온티에 가격모형을

용하 다. 분석결과 물류산업의 1원 생산은 타

산업의 생산을 0.5104원 만큼 유발하며, 타 산업의

부가가가치를 0.1722원 만큼 유발하 으며, 물류

산업의 10억원 생산은 타 산업에서 2.2554명의 취

업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물류산업에

서 1원의 공 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 타 산업에서

는 0.9387원의 생산차질이 발생하 으며, 물류산

업의 가격이 10% 상승했을 때, 국민경제 체

으로 미치는 물가 효과는 0.0276%로 분석되

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자동차산업의 국민경제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어 몇 가지 한계 을

가지고 있다. 첫째, 오성동․오성철(2000)의 연구

에서는 자동차산업을 외생화하지 않고 내생화함

으로써 자동차산업에 한 순수한 효과를 분

석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 김안호․기

성래(2004)의 연구는 자동차산업을 외생부문이 아

닌 내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자동차산업을 심

으로 한 분석결과를 제시하는 데 있어서 한계 을

가지며, 공 지장효과 물가 효과 등의 분석

은 다루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첫

째, 자동차부품산업을 내생부문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외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자동차부품산업

을 심으로 한 제반 경제 효과 분석결과를

보고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자동차산업을 외생부

문으로 다루지 않고 내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자

동차산업을 심으로 한 자동차산업의 부문별 산

28 정동원․한종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업 효과를 구하기보다는 여러 산업 에 하나

(one of them)로 자동차산업을 다 산업간 수평

인 비교결과만을 제시하 다. 한 선행연구에

서는 자동차산업의 산출물에 한 최종수요의 변

동에 을 맞춤으로써 자동차산업에 한 투자

내지는 산출 변동에 따른 산업 효과 분석결과

를 제시하지 못하 으나,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부품산업에 한 외생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자

동차 부품산업에 한 최종수요가 아닌 자동차 부

품산업의 산출이 다른 내생부문에 미치는 효

과만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자동차 부

품산업의 실질 인 효과에 한 계량화가 가

능하다(Han et al., 2004 ; Kwak et al., 2005). 즉

본 연구에서는 분석 상인 자동차 부품산업을

심에 놓고 여러 산업에 한 효과를 분석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던 공 유도형 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도 제

시한다. 수요유도형 모형은 수요가 결정되면 투입

은 자동 으로 결정되는 것을 제로 한다. 주로

수요유도형 모형에 근거한 선행 연구의 틀 내에서

는 자동차산업의 산출 증가가 자동차산업을 공

처로 하는 각 산업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

는 자동차산업의 산출 감소가 자동차산업을 공

처로 하는 각 산업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해서 정확하게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하지만 공

유도형 모형은 투입량에 따라 총생산이 변화하

는 것을 제로 근한다. 따라서 공 유도형 모

형을 이용하면 투입량에 지장이 생기는 경우 다른

산업의 산출에 어떤 향을 미치는지에 한 분석

이 가능하다(Hoover, 1975). 특히 자동차 부품산

업의 공 이 지장을 받을 때, 경제의 타 부문에서

발생하는 생산차질 비용이 얼마나 래되는지를

볼 수 있다(Giarratani, 1976).

Ⅲ. 연구방법론

1. 수요유도형 모형

1) 생산유발효과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생산유발효과란 자동차

부품산업에서의 생산이 1원만큼 증가하 을 때,

자동차 부품산업을 제외한 다른 산업에서 생산이

얼마나 증가하게 되는지를 의미한다.1) 산업연

분석은 산업의 투입과 산출을 자동차 부품산업에

한 간수요 최종수요와 상호 연 지을 수

있으므로, 자동차 부품산업에 한 수요를 분석하

는데 유용하다. 분석 상인 자동차 부품산업( )

을 외생화한 행렬에 ‘ ’란 상첨자를 붙여 정리하

면 다음 식이 유도된다.

∆ ∆ (1)

여기서, ∆ 는 분석 상인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문의 산출량 변화분을 의미한다.

는 투입계수행렬에서 부분이 포함

된 열과 행을 제외시켜 작성한 온티에 역행렬

을 나타낸다. 는 투입계수행렬 의 부문을

구하는 열벡터에서 부문 원소를 제외하고 남은

열벡터이며, 는 부문의 산출액을 나타낸다.

식 (1)은 심 상인 자동차 부품산업 부문을

심으로 한 생산유발효과를 나타내는 식으로 자

동차 부품산업 부문의 산출이 경제 내 다른 부문

의 산출에 미치는 직・간 인 효과를 나타낸다.

한 자동차 부품산업 부문에 한 투자는 자체로

서의 산출효과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연 효과를

1) 만약 자동차 부품산업을 외생화하지 않고 내생부문으로 다루는 산업연 분석에서 생산유발효과를 구한다면 이때의 생산유발효과

는 자동차 부품산업의 산출 1단 증가의 효과가 아니라 자동차 부품산업에 한 최종수요 1단 증가의 효과를 의미한다.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민경제 효과 분석 -산업연 분석을 이용하여- 29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통해 타 산업 부문의 생산을 유발시켜 결과 으로

체 산업의 생산을 진하므로, 식 (1)로부터 자

동차 부품산업의 총산출 는 생산으로 인한

효과를 구할 수 있다(Yoo and Yang, 1999 ; Kwak

et al., 2005).

2) 부가가치 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란 자동차 부품산업에서의

생산이 1원만큼 증가하 을 때, 자동차 부품산업

을 제외한 타 산업의 부가가치가 얼마나 증가하게

되는지를 의미한다. 자동차 부품산업의 산출액 증

가가 타 부문에 미치는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찰

하기 해, 최종수요의 변동이 없다는 가정 하에

자동차 부품산업을 외생화하면 다음 식이 유도

된다.

∆ ∆ (2)

∆ 는 분석 상인 부문을 제외한 다른 부

문의 부가가치 변화분을 의미한다. 은 부가가

치계수의 각행렬에서 자동차 부품산업의 행과

열을 제외시키고 남을 행렬을 의미한다. 식 (2)를

통해 자동차 부품산업의 산출액 증가에 따른 부가

가치 유발효과를 구할 수 있다.

3) 취업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란 자동차 부품산업에서의 생산이

1원만큼 증가하 을 때, 자동차 부품산업을 제외

한 타 산업의 취업자가 얼마나 증가하게 되는지를

의미한다. 최종수요와 취업유발을 연결시켜 분석

하려면, 취업계수와 생산유발계수를 기 로 취업

유발계수를 도출해야 한다. 취업계수()란 일정

기간 동안 생산 활동에 투입된 노동량()을 총

산출액()으로 나 계수( )로서 한

단 생산에 직 소요된 노동량을 의미한다.

를 생산하기 해 요구되는 취업자 수는 식 (3)으

로 표 할 수 있다.

(3)

식 (3)에서 을 취업유발계수행렬이

라 한다. 단, 은 취업계수행렬의 각행렬이다.

취업유발계수는 특정 산업부문의 생산물 한 단

생산에 직 필요한 노동량뿐만 아니라 생산

과정에서 간 으로 필요한 노동량도 모두 포함

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산업 부문의 산출액이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해서는 자동차 부품산업 부문을 외생

화시켜야 한다. 자동차 부품산업 부문을 외생화한

식은 다음과 같이 표 된다.

∆ ∆ (4)

단, 는 자동차 부품산업을 제외한 각 부문별

취업자수를 나타내며, 는 취업계수 각행렬

에서 자동차 부품산업의 행과 열을 제외시키고 남

은 행렬이다.

2. 공급유도형 모형

수요유도형 모형의 온티에 역행렬은 산업

간 구조를 떠나는 최종생산 한 단 의 변화가 부

문간 총산출에 미치는 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

석된다. 반면, 공 유도형 모형은 생산의 시작단

계에서 산업간 구조로 들어오는 1차 투입 한 단

변화가 총생산에 미치는 향에 을 맞춘다

30 정동원․한종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Miller and Blair, 1985).

고정투입계수와 투입요소의 완 탄력 공

이라는 가정에 의존하는 통상 인 투입산출분석

모형은 최종수요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즉 후방연

쇄와 활동의 산출결정을 분석하는데 을 맞춘

다(Osterhaven, 1996). 그러나 통상 인 투입산출

분석 모형은 원 공 에서 발생하는 충격, 즉

방연쇄와 활동의 투입결정을 다루는 데에는

하지 못하다. 따라서 공 유도형 투입산출분석

모형을 조입하여 자동차 부품산업 공 지장의

직・간 향을 평가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Davis et al., 1984 ; Osterhaven, 1988 ; Rose and

Allison, 1989).

이 모형은 배분함수(allocation function)를 통해

상호 작용하는 힘의 균형조건에 근거하고 있으며

기본 인 균형방정식은 식 (5)로 표된다.

(5)

여기서 는 투입계수와 응되는 산출계수

(output coefficient)로써 는

로 정의되며,

부문의 산출량 부문으로 투입된 간재의 비

을 나타낸다. 식(5)를 행렬형태로 다시 쓰면 다

음과 같다.

′ ′ (6)

단, ′ ⋯ ′ ⋯

은 로 이루어진 × 행렬로서 직 산출

계수행렬, W는 부문의 부가가치 로 이루어

진 ×행렬이며, ′은 치한 것(transpose)을 의

미한다. 특히, 는 산출역행렬(output

inverse matrix)이라 하며, 각 원소는

로 부문 부가가치 한 단 증가로 인해 직・간

으로 소요되는 부문 산출의 총 변화량을 의미

한다. 식(6)으로부터 원 투입요소의 변화가 주

어질 때 국내 산출에 한 직・간 인 총 향을

결정할 수 있다. 산출역행렬의 행(行)합은 원

투입요소의 단 변화에 해 경제 체에서의 총

산출변화를 나타내는 공 승수(supply multiplier)

가 된다.(Ghosh, 1985 ; Wu and Chen, 1990). 따라

서, 한 경제에 외생 으로 주어진 부가가치부문의

변화 ∆로 인한 총산출 변화 ∆ ′은 다음과

같다.

∆ ′ ∆ ′ (7)

에서 도출한 모형을 공 유도형 모형(supply-

side model)이라 한다. 공 유도형 모형에서는 경

제 내에서 산출분배구조가 안정 이라고 가정한

다. 이는 부문의 산출이 2배가 된다면, 부문에서

다른 부문으로의 매액(로부터의 구매액) 한

2배가 될 것임을 의미한다. 즉, 수요유도형 모형

(demand-driven model)에서 고정된 투입계수를

가정한 것처럼, 공 측면 도형에서 고정된 산출계

수를 가정한다는 것이다.

공 유도형 모형에서 사용되는 계수를 산출계수

라고 하며, 산출계수를 이용하여 인 산

출역행렬(output inverse matrix)을 구할 수 있다.

분석 상인 부문을 외생화한 식은 다음과 같다.

타부문의 부가가치의 변동이 없다고 가정하고 자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민경제 효과 분석 -산업연 분석을 이용하여- 31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동차 부품산업을 외생화하면 식(8)이 도출된다.

∆ ′ ∆ (8)

은 자동차부품산업 부문의 산출변

화로 인한 타부문의 직․간 인 산출변화를 나

타낸다. 이때, 는 산출계수행렬 에서 자동차

부품산업 부문의 행과 열을 제외시킨 것이며,

는 앞에서 제외시킨 산출계수행렬의 자동차부품

산업 부문 행벡터에서 자동차부품산업 부문의 값

을 제외시킨 것을 나타낸다. 식(5)를 이용하여 자

동차부품산업 부문의 공 지장이 각 산업에 미치

는 효과를 구할 수 있으며, 이를 공 지장비

용(shortage cost)이라고 한다(Yoo and Yang,

1999). 를 들어, 자동차부품산업 부문의 산출이

감소하여 타부문으로의 간재 투입이 지장을 받

게 되었을 때, 경제 체에 미치는 효과가 크

면 클수록 자동차부품산업 부문을 높은 우선순

에 두어야 한다는 평가를 내릴 수 있다(Miller and

Blair, 1985). 한 외생화 모형에서는 자동차부품

산업 부문의 공 이 제한되었을 때, 이로 인한 공

지장비용이 가장 크게 나온 부문이 자동차부품

산업 부문의 공 이 1순 로 이루어져야 하는 산

업임을 의미한다(Yoo and Yang, 1999).

따라서 공 유도형 모형을 이용하면, 자동차부

품산업의 공 지장이 각 산업에 미치는 직․간

인 효과를 구할 수 있으며, 이를 공 지장

효과(supply shortage effect)이라고 한다(Howe

and Smith, 1994).

3. 레온티에프 가격모형

온티에 가격모형을 이용하면 물가 효과

를 구할 수 있는데, 물가 효과란 자동차 부품

산업의 산출물 가격이 변동될 때 자동차 부품산업

을 제외한 타 산업의 산출물 가격에 미치는 향

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액단 의 투입산출

분석을 통해 실물단 의 물가 효과를 도출하

기 해 가격 정규화 방법의 결과를 그 로 이용

한다(Yoo and Yang, 1999 ;유승훈 등, 2004). 정규

화된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 상인 부문을 외생

화하여 정리하면 식 (9)가 된다.

∆ ′ ′∆ (9)

여기서, ∆는 부문이 제외된 가격변동율

벡터이며, ∆는 부문의 가격변동율을 의미

한다. 그리고 ′는 ′의 부문 열벡터에서

부문 원소만을 제외하고 남은 부분을 의미한다.

최종 으로 식 (6)을 이용하여 부문의 가격인상

이 타 산업부문에 미치는 물가 효과를 계측할

수 있다.

4. 산업간 연쇄효과

산업간 연쇄효과란 방연쇄효과 후방연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 산업간의 상호의존 정

도를 의미한다. 산업간 연쇄효과를 살펴볼 수 있

는 지표로는 확산감응도(sensitivity of dispersion)

를 측정함으로써 방연쇄효과(forward linkage

effect)를 나타내는 감응도계수와 확산력(power

of dispersion)을 측정함으로써 후방연쇄효과

(backward linkage effect)를 나타내는 향력계

수가 있다(Hirschman, 1958 ; Jones, 1976 ;이정 ,

1983).

감응도계수()는 부문의 최종수요를 모두

한 단 씩 증가시키기 해 번째 산업이 생산해

야 할 단 의 산업 평균치에 한 비율로 부

문에 해 식 (10)으로 정의된다.

32 정동원․한종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10)

여기서 는 온티에 역행렬의 원소를 의

미한다. 향력계수()는 산업 평균 생산유

발계수에 한 산업별 생산유발계수의 비율로

번째 산업에 해 식 (11로 정의된다.

(11)

Ⅳ.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민경제적

산업파급효과 분석결과

1. 자료

본 논문에서는 가장 최근인 2012년에 한국은행

이 발표한 2010년도 산업연 표를 사용한다. 한국

은행에서는 5년 단 로 산업연 표를 작성하는데,

이때 작성되는 표가 실측표이며, 그 간에 부분

인 조사를 통해 연장표를 발표한다. 앞서 언

하 듯이 2010년도 산업연 표는 연장표이다. 한

국은행이 발표하는 산업연 표 내에서의 산업은

403개 기본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효과 인

분석을 해 한국은행의 28부문 분류 방식에 근

거하여 산업연 표를 재구성한다. 그런데 자동차

부품산업은 15번째 수송 장비 부문에 포함되어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부품산업을 구

성하고 있는 한국은행 통합소분류 168부문에서

자동차엔진 부분품(통합소분류 100)을 별도로

분리해 내어 16번째 부문으로 다루어, <표 3>과

같이 총 29부문에 한 산업연 표를 작성하여 이

후의 분석을 수행한다.

<표 3> 재분류된 29부문 산업연관표

부문코드

산업명부문코드

산업명부문코드

산업명

1 농림수산품 11 속제품 21 음식 숙박

2 산품 12 일반기계 22 운수 보

3 음식료품 13 기 자기기 23 통신

4 섬유 가죽제품 14 정 기기 24 융 보험

5 목재 종이재품 15 수송 장비 25 부동산 사업서비스

6 인쇄․출 복제 16 자동차 부품산업 26 공공행정 국방

7 석유 석탄제품 17 가구 기타제조업 27 교육 보건

8 화학제품 18 력가스 수도 28 사회 개인서비스

9 비 속 물제품 19 건설 29 기타

10 제1차 속 20 도소매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민경제 효과 분석 -산업연 분석을 이용하여- 33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2. 분석결과

1) 수요유도형 모형의 분석결과

자동차 부품산업이 타 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

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추정한

결과는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자동차 부품산

업에 한 1원의 투자는 타 산업의 생산을 유발하

는 효과를 살펴보면 제1차 속(제10부문)이

0.1978원, 화학제품(제8부문)이 뒤를 이었다. 이들

부문들은 자동차 부품의 생산 활동을 한 투입요

소로서 많이 활용된다는 에서 생산 유발효과가

크게 분석되었다. 체 으로 보면 자동차 부품산

업에서의 1원 생산 증가는 자동차 부품산업 자체

에서 1.0000원의 생산유발효과를 가져오며 타 산

업에서 0.7330원의 생산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분

석되어 국민경제 정체 으로 볼 때 1.7330원의 생

산을 유발한다.

<표 4> 자동차 부품산업이 타 산업의 생산, 부가가치,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부 문 명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단 : 원) 순 (단 : 원) 순(단 :

명/10억원)순

1. 농림수산품 0.0021 22 0.0011 20 0.0620 11

2. 산품 0.0008 26 0.0005 24 0.0036 25

3. 음식료품 0.0036 20 0.0009 21 0.0107 22

4. 섬유․가죽제품 0.0055 18 0.0016 19 0.0344 15

5. 목재 가죽제품 0.0071 14 0.0018 17 0.0262 16

6. 인쇄․출 복제 0.0015 24 0.0006 23 0.0123 21

7. 석유․석유제품 0.0319 7 0.0066 10 0.0044 24

8. 화학제품 0.1617 2 0.0325 1 0.2882 3

9. 비 속 물제품 0.0058 17 0.0018 18 0.0178 19

10. 제1차 속 0.1978 1 0.0321 3 0.1408 7

11. 속제품 0.0373 6 0.0108 6 0.2034 5

12. 일반기계 0.0228 11 0.0058 11 0.0855 9

13. 기 자기기 0.0397 5 0.0086 8 0.0757 10

14. 정 기기 0.0014 25 0.0004 25 0.0069 23

15. 수송 장비 0.0005 27 0.0001 27 0.0008 27

17. 가구 기타제조 0.0067 16 0.0019 16 0.0411 14

18. 력가스 수도 0.0246 8 0.0074 9 0.0220 17

19. 건설 0.0018 23 0.0007 22 0.0157 20

20. 도소매 0.0485 3 0.0273 4 0.9754 1

21. 음식 숙박 0.0068 15 0.0026 13 0.1418 6

22. 운수 보 0.0238 10 0.0086 7 0.2088 4

23. 통신 방송 0.0080 13 0.0036 12 0.0213 18

24. 융 보험 0.0245 9 0.0140 5 0.1250 8

25. 부동산 사업서비스 0.0479 4 0.0321 2 0.3750 2

26. 공공행정 국방 0.0003 28 0.0002 26 0.0023 26

27. 교육 보건 0.0034 21 0.0022 14 0.0489 13

28. 사회 기타서비스 0.0039 19 0.0020 15 0.0588 12

29. 기타 0.0130 12 0.0000 28 0.0000 28

계 0.7330 0.2076 3.0089

34 정동원․한종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부가가치 유발효과에 한 분석결과를 살펴보

면, 화학제품(제8부문)이 0.0325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동산 사업서비스(제24부문)이

0.0321원, 제1차 속(제10부문) 0.0321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부문의 산출물은 자동차 부품산업

의 생산을 해 간재로 많이 투입되므로 상

으로 많은 부가가치가 유발되는 것으로 볼 수 있

다. 체 으로 보면 자동차 부품산업의 1원 생산

증가는 타 산업에서 0.2076원의 부가가치를 유발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울러 자동차 부품산

업의 총산출에서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 은

0.2069원으로 자동차 부품산업의 1원 생산은 국민

경제 체 으로 0.4146원의 부가가치를 유발한다.

자동차 부품산업에서의 10억원 생산으로 인해

타 산업에 유발되는 취업자 수를 의미하는 취업유

발효과를 살펴보면, 도소매 부문(제19부문)이

0.9754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동산 사

업서비스 부문(제24부문)이 0.3750명, 화학제품이

(제8부문)이 0.2882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체

으로 보면 자동차 부품산업에서의 10억원 생산 증

가는 타 산업에 3.0089명의 취업을 유발시키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자동차 부품산업에서의

10억원 생산에 한 취업자 수는 2.6118명이므로,

자동차 부품산업에서의 10억원 생산에 따른 취업

유발 인원은 국민경제 체 으로 5.6207명으로

분석되었다.

반 으로 보면 자동차 부품산업의 생산은 화

학제품과 제1차 속, 화학제품 등과 같은 제조업

산업의 생산, 부가가치, 취업을 많이 유발하며 서

비스업 에서는 도소매 부동산 사업서비스

부문에 한 효과가 큰 것으로 단된다.

2) 공 유도형 모형의 분석결과

자동차 부품산업의 산출액 1원 감소에 의해 타

부문에 발생하는 생산 감소분을 의미하는 공 지

장효과의 분석결과는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자동차 부품산업의 공 이 1원 만큼 지장을 받으

면 타 산업의 생산을 0.5449원 만큼 감소시키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공 지장효과가 0.5원을 과한

다는 은 자동차 부품산업의 산출물이 타 산업의

생산을 한 간재로서 제 로 공 되지 않을 때

타 산업에서 발생하는 생산차질이 작지 않음을 의

미한다. 를 들어 자동차 부품산업의 공 이 10

억원 만큼 차질을 빚는다면 경제 체에 미치는

손실은 략 5억 원에 달한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표 5> 자동차 부품산업의 1원 공급지장이 타 산업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부 문 명 공 지장효과(단 : 원)

1. 농림수산품 0.0024 20

2. 산품 0.0012 24

3. 음식료품 0.0052 15

4. 섬유․가죽제품 0.0022 22

5. 목재 가죽제품 0.0019 23

6. 인쇄․출 복제 0.0007 28

7. 석유․석유제품 0.0024 21

8. 화학제품 0.0104 10

9. 비 속 물제품 0.0056 13

10. 제1차 속 0.0077 11

11. 속제품 0.0044 16

12. 일반기계 0.0160 4

13. 기 자기기 0.0114 8

14. 정 기기 0.0008 27

15. 수송 장비 0.3010 1

17. 가구 기타제조 0.0010 26

18. 력가스 수도 0.0012 25

19. 건설 0.0117 7

20. 도소매 0.0122 6

21. 음식 숙박 0.0029 19

22. 운수 보 0.0450 3

23. 통신 방송 0.0036 18

24. 융 보험 0.0043 17

25. 부동산 사업서비스 0.0123 5

26. 공공행정 국방 0.0056 14

27. 교육 보건 0.0107 9

28. 사회 기타서비스 0.0541 2

29. 기타 0.0071 12

계 0.5449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민경제 효과 분석 -산업연 분석을 이용하여- 35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공 지장효과가 가장 큰 부문은 수송장비(제15부

문)로 0.3010원이며, 그 뒤를 사회 기타서비스

(제28부문) 0.0541원, 운수 보 (제22부문)

0.0450원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동차 부품산

업의 공 이 제 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수송 장비

와 련된 부문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게 된다.

3) 온티에 가격모형의 분석결과

온티에 가격모형을 이용하여 자동차 부품

산업 부문에서의 10% 가격상승으로 인해 타 부문

에 야기되는 물가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표

6>에 제시되어 있다. 자동차 부품산업의 가격상

<표 6> 자동차 부품산업 10% 가격상승의 타 산업에 대한 물가파급효과

부문명물가 효과(단 : %)

1. 농림수산품 0.0038 19

2. 산품 0.0263 4

3. 음식료품 0.0045 17

4. 섬유․가죽제품 0.0035 22

5. 목재 가죽제품 0.0055 10

6. 인쇄․출 복제 0.0069 8

7. 석유․석유제품 0.0014 27

8. 화학제품 0.0038 18

9. 비 속 물제품 0.0134 5

10. 제1차 속 0.0029 24

11. 속제품 0.0049 13

12. 일반기계 0.0115 6

13. 기 자기기 0.0027 25

14. 정 기기 0.0036 21

15. 수송 장비 0.1903 1

17. 가구 기타제조 0.0046 16

18. 력가스 수도 0.0012 28

19. 건설 0.0051 11

20. 도소매 0.0062 9

21. 음식 숙박 0.0029 23

22. 운수 보 0.0316 3

23. 통신 방송 0.0050 12

24. 융 보험 0.0026 26

25. 부동산 사업서비스 0.0036 20

26. 공공행정 국방 0.0048 15

27. 교육 보건 0.0049 14

28. 사회 기타서비스 0.0557 2

29. 기타 0.0106 7

산출액에 한 가 평균값 0.0146

승으로 인해 가장 큰 향을 받는 산업은 수송장

비(제15부문)으로 0.1903%이며, 사회 기타서비

스(제28부문) 부문이 0.0557%, 운수 보 (제22

부문) 부문이 0.0316%로 그 뒤를 잇는다. 자동차 부

품산업의 10% 가격인상이 국민경제 체 으로

발생시키는 물가 효과를 구하기 해서는 부

문별 물가 효과를 단순하게 합하거나 산술평

균을 취해서는 안 되며, 각 부문의 산출이 총산출

에서 차지하는 비 에 해 가 평균을 해야 정확

한 값을 구할 수 있다(유승훈 외, 2008). 이 게 하

여 구한 물가 효과는 0.0146%이다. 즉 자동차

부품산업의 산출물 가격이 10% 인상되면 국민경

제 체 으로 0.0146%의 물가상승효과가 발생하

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산업간 연쇄효과 분석결과

앞에서 자동차 부품산업을 외생부문으로 다루

면서 자동차 부품산업을 심으로 한 각종 효

과를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자동차 부품산업이 경

제 체에서 차지하는 상 인 치를 악하기

해 29개 산업 체에 해 방연쇄효과와 후방

연쇄효과를 분석하여 서로 수평 으로 비교한다.

모든 부문의 생산물에 한 수요가 각각 한 단

씩 발생할 때, 간재로 사용되는 자동차 부품

산업의 산출물 공 도 증가해야 한다. 이때, 간

재 산업으로서 자동차 부품산업이 받는 향의 정

도가 감응도계수이다. 감응도계수로 악할 수 있

는 방연쇄효과는 자동차 부품산업의 산출물을

다른 산업생산의 원료로 악하는 것이다. 일반

으로 한 산업의 제품이 각 산업부문에 간재로

리 사용되는 산업일수록 감응도계수는 커진다.

36 정동원․한종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표 7> 29개 부문의 감응도 계수와 영향력 계수

부문명

감응도계수

( 방연쇄효과)

순향력계수

(후방연쇄효과)

1. 농림수산품 0.9500 16 0.9447 20

2. 산품 0.5659 27 0.8575 23

3. 음식료품 1.1075 10 1.0840 8

4. 섬유․가죽제품 0.7831 19 1.0172 14

5. 목재 가죽제품 1.0529 12 1.0041 16

6. 인쇄․출 복제 0.6402 22 1.0547 10

7. 석유․석유제품 1.2835 5 0.6216 29

8. 화학제품 1.9715 2 1.0243 13

9. 비 속 물제품 0.7141 21 0.9801 18

10. 제1차 속 2.1895 1 1.1622 5

11. 속제품 0.9998 14 1.2107 3

12. 일반기계 0.8695 17 1.2003 4

13. 기 자기기 1.1319 8 1.0112 15

14. 정 기기 0.5749 26 1.0537 11

15. 수송 장비 0.5626 28 1.1366 6

16. 자동차 부품산업 1.0871 11 1.3228 2

17. 가구 기타제조 0.6166 24 1.1324 7

18. 력가스 수도 1.1399 7 0.7501 28

19. 건설 0.5894 25 1.0690 9

20. 도소매 1.3661 4 0.8748 21

21. 음식 숙박 1.0158 13 1.0461 12

22. 운수 보 1.1135 9 0.8086 25

23. 통신 방송 0.8514 18 0.9563 19

24. 융 보험 1.2281 6 0.8661 22

25. 부동산 사업서비스 1.7433 3 0.7989 26

26. 공공행정 국방 0.5227 29 0.7861 27

27. 교육 보건 0.6184 23 0.8093 24

28. 사회 기타서비스 0.7353 20 0.9871 17

29. 기타 0.9753 15 1.4294 1

자동차 부품산업의 향력계수는 자동차 부품

산업의 최종수요가 한 단 발생할 때 간재로

사용되는 타 산업부문에 미치는 향력을 의미한

다. 향력계수로 악할 수 있는 후방연쇄효과는

자동차 부품산업의 산출물을 최종재로 보고 다른

산업의 산출물을 자동차 부품산업에서의 생산을

한 원료로 악하는 것이다. 일반 으로 생산과

정에서 여러 산업으로부터 간재를 필요로 하는

산업일수록 향력계수는 커진다.

감응도계수의 평균과 향력계수의 평균은 정

확하게 1이므로 1보다 낮으면 평균보다 낮으며, 1

보다 크면 평균보다 크다고 보면 된다. 29개 부문

에 해 감응도계수와 향력계수를 분석한 결과

는 <표 7>에 제시되어 있다. 각 산업별로 감응도

계수 순 는 제1차 속(제10부문)로 2.1895으로

가장 크며, 화학제품(제8부문) 1.9715, 부동산

사업서비스(제24부문) 1.7433으로 각각 2 3

를 차지한다. 자동차 부품산업의 감응도계수는

1.0871로 11 를 차지하 다. 감응도계수가 1보다

크다는 것은 일반 인 경기가 호황일 때 자동차

부품산업이 반 으로 산업성장에 자극받는 정

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동차 부품산업

은 경기변동에 향을 받는 산업이라는 것을 의미

하며, 최종수요 성격보다는 간수요 성격을

가진다.

각 산업별 향력계수 순 는 기타 부문(제29부

문)이 1.42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동차 부

품산업(제16부문) 1.3228, 속제품(제11부문)

1.2107로 각각 2 , 3 를 차지하여 자동차 부품산

업의 향력계수는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향력

계수가 크다는 것은 자동차 부품산업의 투자지출

에 따른 경제 효과, 즉 다른 사업을 견인하

는 정도가 다른 부문보다 상 으로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자동차 부품산업이 원시산업 성

격보다는 제조업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

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 부품산업은 방연쇄효

과는 1보다 크고 후방연쇄효과는 1보다 크기에

간수요 제조업형이라 할 수 있다.2)

2) 후방연쇄효과의 크기에 따라 산업을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후방연쇄효과가 모두 높은 산업

은 간수요 제조업형, 둘째, 방연쇄효과가 높고 후방연쇄효과가 낮은 산업은 간수요 원시산업형, 셋째, 후방연

쇄효과가 높고 방연쇄효과가 낮은 산업은 최종수요 제조업형, 마지막으로 후방연쇄효과가 모두 낮은 산업은 최종

수요 원시산업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한국은행, 1987).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민경제 효과 분석 -산업연 분석을 이용하여- 37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Ⅴ. 결 론

자동차 부품산업은 한-미, 한-EU FTA의 체결

로 인하여 FTA 최 수혜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

다. 한 자동차 부품산업은 국내경제에서 큰 비

을 차지하고 있는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없어서

는 안 되는 요한 산업으로 성장하 으며, 국내

경제에서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논문은 2010년도 투입산출표에 근거한

투입산출분석을 통해 자동차 부품산업의 경제

효과인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

업유발효과, 산업간 연쇄효과를 분석하고자 하

다. 특히 자동차 부품산업에 한 투자가 자기 산

업에 미치는 향과 타 산업에 미치는 향을 구

분할 수 있는 외생화 기법을 이용하여 경제 내 타

부문에 한 기여도를 보다 엄 하게 도출하 다.

자동차 부품산업을 외생화하여 자동차 부품산업

이 타 산업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 1>에서와 같이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자동차 부품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부가

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살펴보았다. 자기

부분에서의 부가가치 유발효과와 취업유발효과의

값은 제15부문 수송장비 부문에서 자동차 부품산

업을 따로 분리한 후 자동차 부품산업에서의 부가

가치와 취업유발인원의 값을 나 값이다. 타 산

업에 한 효과를 종합해 보면, 자동차 부품산업

에서의 1원 생산은 타 산업의 생산 부가가치에

0.7330원 0.2076원 만큼 유발하고 있다. 부가가

치 유발효과가 낮은 원인은 자동차 부품 생산에

필요한 주요 간재들이 수입에 많이 의존하고 있

기 때문인 것으로 악된다. 이는 정책 으로 자

동차 부품소재산업에 한 지속 인 연구개발과

투자가 필요하며, 이들 부품산업이 육성되어야지

만 향후 정부의 경기 부양에도 큰 도움이 됨을 시

사한다. 그리고 10억원 생산에 따라 발생하는 취

업유발효과는 3.0089명만큼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자동차 부품산업 자체에 미치는 효과까지

도 포함하여 국가경제 체 인 효과를 계산해 보

면, 자동차 부품산업에서의 1원 생산은 1.7330원

의 생산유발효과와 0.4146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를 가져오며, 10억원 생산은 5.6207명의 추업을 유

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동차 부품산업에 미치는 효과

타 산업에 미치는 효과

총 효과

생산유발효과

➡ 1원당 1.0원 + 1원당 0.7330원 = 1원당 1.7330원

부가가치유발효과

➡ 1원당 0.2069원 + 1원당 0.2076원 = 1원당 0.4146원

취업유발효과 ➡10억원당 2.6118명

+10억원당 3.0089명

=10억원당 5.6207명

<그림 1> 자동차 부품산업 활성화의 수요측면에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결과

38 정동원․한종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둘째, 공 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자동차 부품

산업의 1원 공 지장이 타 산업에 유발하는 생산

감소액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 지장을 크게

받는 부문은 수송장비 부문, 사회 기타서비스

부문 그리고 운수 보 부문으로 분석되었다.

국민경제 체 으로 본다면 자동차 부품산업의

1원 공 지장은 타 산업에서 0.5449원의 생산감소

효과를 가져 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동차

부품산업의 산출물이 최종수요재이기 때문에 자

동차 부품산업에서 공 에 차질을 빚게 된다면,

후방산업의 생산이 감소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

한다.

셋째, 온티에 가격모형을 이용하여 자동차

부품산업의 10% 가격인상이 타 부문에 유발하는

물가 효과를 분석하 다. 수송장비, 사회

기타서비스, 운수 보 부문이 큰 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국민경제 체 으로는

0.0146%의 물가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넷째, 자동차 부품산업의 방연쇄효과 후방

연쇄효과를 분석하 다. 자동차 부품산업의 방

연쇄효과는 29개 부문 11번째로 산업 평균보다

조 높지만, 후방연쇄효과는 29개 부문 2번째

로 산업 평균보다 크게 높았다. 따라서 자동차 부

품산업은 최종수요 제조업형에 속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자동차 부품산업의 후방연쇄효과가 큰

것은 자동차 부품산업의 투자지출에 따른 경제

효과, 즉 다른 산업을 견인하는 정도가 다른

산업에 비해 큼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동차 부품

산업을 육성한다면 연 산업에 한 지식 기

술의 공유・확산 등을 통해 자동차 부품산업의 성

장이 여타 산업의 성장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

이다.

본 연구 결과를 선행연구에서의 정동원 등(2008)

의 연구와 비교하여 살펴본다면, 생산유발효과의

경우 자동차 부품산업이 자동차 산업보다 더 뛰어

남을 알 수 있으며,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

효과의 경우 자동차 부품산업보다 자동차 산업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제 체에

서 차지하는 상 인 치를 악하기 한 방

연쇄효과와 후방연쇄효과는 자동차 부품산업의

경우 모든 값들이 1보다 크게 나와 후방연쇄효과

에서만 1보다 크게 나온 자동차 산업보다는 경제

반에 더 큰 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3)

본 연구는 정책 인 측면뿐만 아니라 연구 인

측면에서도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

에서는 일반 으로 사용하는 수요유도형 모형과

산업간 연쇄효과뿐만 아니라 공 유도형 모형과

온티에 가격모형을 용하 다. 특히 본 연구

에서는 자동차 부품산업을 외생화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택함으로써 자동차 부품산업에

해 논의를 집 시킬 수 있었다.

한편,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구・경북지역에 자

동차 부품산업 체계 지원을 하여 자동차 부품

신클러스터를 조성하는 한편, 산・학・연 력사

업의 지원을 통해 기술개발역량을 강화, 자동차

부품산업의 형화를 유도하기 한 구조조정을

지원, 해외시장 정보를 신속히 수집・제공하고 해

외마 지원을 강화하는 등 수출산업화를 극

유도하기 해 수출 통상지원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 구경북지역의 자동차 부품산

업 기업의 특성상 기업보다 소기업이 많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이들 기업들의 경쟁력 향상을

한 융지원을 극 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 제시된 투입산출분석을 보다 확장할

수 있는 추후 연구주제로는 여러 연도의 산업연

3) 분석 상 산업과 분석 상 기간의 차이로 인하여 단순 값들을 가지고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민경제 효과 분석 -산업연 분석을 이용하여- 39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표를 동 으로 연결한 동 분석, 선진국 산업연

표에 근거한 국가간 비교분석, 산업연 표의 업

데이트 기법을 이용한 자동차 부품산업의 미래에

한 측 등을 들 수 있다. 앞으로 련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 한다.

참고문헌

김동환a, 2012, 「자동차부품산업의 동향과 그룹별 리

스크」, 하나 융경 연구소.

김동환b, 2012, 「2012 자동차 부품산업 내 유망업종

히든챔피언」, 하나 융경 연구소.

김안호․기성래, 2004, “자동차산업의 경제 효과분

석;산업연 분석을 심으로”,「산업경제연구」,

17(4) : 1057-1075.

오성동․오성철, 2000, “한국 자동차산업의 발 방안”,

「한국동서경제연구」, 12(1) : 111-131.

유승훈․허재용․김기주, 2004, “투입산출표의 외생화

를 이용한 방송산업의 산업 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17(5) : 1593-1612.

유승훈․임응순․정군오, 2008, “산업연 분석을 이용

한 방송산업의 국민경제 효과 분석”,

「방송과 커뮤니 이션」, 9(1) : 134-158.

이정 , 1983, “연쇄효과지표에 한 고찰,” 경제학연

구, 31(1) : 57-80.

이춘근, 2011, 「 구경북지역간 주력산업의 연 구조

와 발 과제」, 구경북연구원.

정동원․유승훈․황삼생, 2008, “자동차 산업의 국민

경제 산업 효과”, 산업 신연구, 24(3) :

187-209.

정동원․한종호, 2012, “물류산업의 국민경제

효과 분석”, 「한국물류학회지」, 22(2) : 203-226.

충남테크노 크, 2012, 「자동차부품산업입문」.

한국은행, 1987, 산업연 분석해설, 서울.

한국은행, 2012, 2010년 산업연 표, 서울.

한건택․김혜민․유승훈, 2012, “집단에 지산업의 국

민경제 효과 분석”, 「에 지 공학」, 21(2)

: 47-54

허재용․이진섭․곽승 , 2008, “한국과 일본 제조업

의 산업 효과 분석:자동차․조선․반도체산

업을 심으로”, 「아시아연구」, 10(3) : 1-28.

Davis, H. C. and Salkin, E. L., 1984,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Estimation of Economic

Impacts Resulting from Supply Constraints”,

Annals of Regional Science, 18(3) : 25-34.

Han, S. Y., Yoo, S. H., and Kwak, S. J., (2004),

“The Role of Four Electric Power Sectors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Energy Policy, 32(13) : 1531-1543.

Hirschman, A. O., 1958, The Strategy of Economic

Development :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Hoover, E. M., 1975, An Introduction to Regional

Economics(2nd ed.) : New York, Alfred A.

Knopt.

Howe, C. W. and Smith, M. G., 1994, “The Value

of Water Supply Reliability in Urban Water

System”,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26(1) : 19-30.

Ghosh, A., 1958, “ Input-output Approach in

an allocation system”, Economica, 58(97) :

58-64.

Giarratani, F., 1976, “Application of an Interindustry

Supply Model to Energy Issue”, Environment

and Planning A, 8(4) : 447-454.

Jones, L. P., 1976, “The Measurement of

Hischmanian Linkage Hypothesis”,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90(2) : 323-333.

Kwak, S. J., Yoo, S. H., and Chang, J. I., 2005,

“The role of Maritime Industr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 An Input-Output Analysis”,

Marine Policy, 29(4) : 371-383.

40 정동원․한종호

대구경북연구 제12권 제1호

Miller, R. E. and Blair, P. D., 1985, Input-output

Analysis, Prentice-Hall, New Jersey.

Osterhaven, J., 1988, “On the Plausibility of

Supply-driven Input-output Model”, Journal of

Regional Science, 28(2) : 203-217.

Osterhaven, J., 1996, “Leontief versus Ghoshian

Price and Quantity Models”, Southern

Economic Journal, 62(3) : 750-759.

Rose, A. and Allison, T., 1989, “On the Plausibility

of the Supply-driven Input-output Model :

Empirical Evidence on Joint Stability”, Journal

of Regional Science, 29(3) : 451-458.

Wu, R. H. and Chen, C. Y., 1990, “On the

Application of Input-output analysis to energy

issues”, Energy Economics, 12(1) : 71-76.

Yoo, S. H. and Yang, C. Y., 1999, “Role of Water

Utilit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International Journal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15(4) : 527-542.

논문 수일: 2013. 1. 21, 심사완료일: 2013. 4. 4

최종원고: 2013.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