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15
6 발광 다이오드 6.1 서론 LED의 기본 특성 광학적 특성 파장 선폭 일률 전기적 특성 광전변환효율 변조대역폭 6.2 과잉 운반자의 재결합 - 발광 구동: 발광 다이오드에 순전압을 걸어줌 발광: 전하와 양공의 방사 재결합 (비방사 재결합도 있다) 빛의 밝기는 방사 재결합율에 비례

Transcript of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Page 1: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 × 전자확률 × 양공확률

6 발광 다이오드

6.1 서론

LED의 기본 특성 광학적 특성 파장

선폭

일률

전기적 특성 광전변환효율

변조대역폭

6.2 과잉 운반자의 재결합 - 발광

구동: 발광 다이오드에 순전압을 걸어줌

발광: 전하와 양공의 방사 재결합 (비방사 재결합도 있다)

빛의 밝기는 방사 재결합율에 비례

Page 2: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 × 전자확률 × 양공확률

* 재결합율 = 방사 재결합율 + 비방사 재결합율 ⇒ 전체

방사

비방사

예 6.1 Si 방사(≈ 1 ms) ≫ 비방사(≈ 0.1 s)

방사 재결합의 조건 1. 방사 ≪ 비방사2. 전자와 양공이 같은 때, 같은 곳(드 브로이 파장 ~ 10 nm)에 있어야 함

3. 에너지와 운동량 보존

Page 3: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 × 전자확률 × 양공확률

LED의 성능 지표 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전자 확률×양공 확률×방사재결합 확률

띠간격

확률 =

⋅ 띠⋅ 띠

Page 4: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 × 전자확률 × 양공확률

그림 6.5 SiC LED의 발광 스펙트럼. 봉우리는 약 490 nm, 반값온폭은 375 meV

그림 6.4 빨간 빛을 내는 LED의 발광 스펙트럼. 봉우리는 약 700 nm, 반값온폭은 240 meV

Page 5: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 × 전자확률 × 양공확률

그림 6.6 이종구조 LED의 발광 스펙트럼. 봉우리는 약 1600 nm, 반값온폭은 60 meV이다. 활성영역의 두께는 약 반파장 정도이고, 띠간격이 더 넓은 물질로 둘러싸여 있어 빛이 흡수되지 않고 빠져나올 수 있다. 불순물을 잘 제어하면 파장이 긴 쪽의 꼬리가 잘린다.

이종구조: 활성 영역을 띠간격이 더 큰 물질로 둘러쌈

Page 6: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 × 전자확률 × 양공확률

같은 물질로 LED와 PD를 만들 때의 반응 특성: 차이를 설명?

Page 7: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 × 전자확률 × 양공확률

6.4 양자효율

≡들어간 전자의 수나오는 광자의 수

예 6.2 LED의 표면을 수직하게 빠져나가는 빛의 반사계수?

=

= 0.32; 임계 sin 16

6.5 빛을 더 많이 뽑아내는 방법?

Page 8: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 × 전자확률 × 양공확률

그림 6.12 LED의 표면을 처리하기 전, 후의 외부 양자효율 비교. 표면을 처리하면 외부 양자효율이 3배 이상 커진다. Appl. Phys. Lett. 63, 2174 (1993).

Page 9: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 × 전자확률 × 양공확률

6.6 반응시간

반응시간 결정 요소 1) 전자-양공의 재결합 수명

2) 회로 특성 (RC 시상수)

6.7 정상상태에서 주입 전류와 나오는 빛의 일률

기본전제: • 전류가 흐르면 비평형 과잉 전자와 양공 밀도가 생긴다 ( )

• 이 전자와 양공의 일부가 재결합하면서 광자를 낸다(내부)

• 이 광자의 일부가 LED 밖으로 빠져나온다(외부)

• 빛의 일률은 전류에 비례한다.

Page 10: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 × 전자확률 × 양공확률

가정: 방사재결합이 형쪽()에서 일어남

;

전기적 중성 조건

대량 작용법칙(law of mass action)

전하 운반자 농도의 변화: 운반자 농도의 변화율 = 전자 주입률 - 방사 재결합률 - 비방사 재결합률

비방사

: p-n 접합에서의 전자 밀도의 변화율

방사 재결합에 의한 전자-양공 농도의 알짜 변화율

비방사 비방사 재결합에 의한 전자-양공 농도의 알짜 변화율

Page 11: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 × 전자확률 × 양공확률

정상상태 ( )

비방사

≈ 비방사

방사

비방사

방사

; 내부 ≡

방사

비방사

방사

방사 비방사비방사

빛의 생성률

빛 외부⋅부피⋅ ⋅ 외부⋅부피⋅내부⋅

⋅ ⋅

요약 • (과잉 전자 농도 = 과잉 양공 농도)

• ≈

• ≡ 방사 (방사 재결합율)

• 빛 ⋅⋅ (빛의 일률은 전류에 비례한다)

Page 12: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 × 전자확률 × 양공확률

보기 6.4: LED의 정상상태 분석 = 50 mA = 1.35 m외부 = 0.1

비방사 = 2 ns

= 8×10cm/s = 5×10cm

Page 13: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 × 전자확률 × 양공확률

6.8 오름 시간

물음: LED 주입 전류가 변하면 나오는 빛의 밝기도 그에 따라 변하는가?

전류밀도

비방사

비방사

과잉 전류밀도 ‘

천이율 방정식

비방사

비방사

비방사

계단

Page 14: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 × 전자확률 × 양공확률

이완시간 계단

비방사

1. 주입전류가 작을 때 교류

비방사

2. 주입전류가 클 때 교류

Page 15: 6 발광 다이오드 - jbnu.ac.kr · LED의 성능 지표1. 분광분포 2. 양자효율 3. 변조대역폭 6.3 The Energy Spectrum of Light 상태밀도 × 전자확률 × 양공확률

문제 6.5

a) 대역폭의 정의: 대역폭 ≡

⇒ 대역폭

b) 전류를 조금 흘릴 때:

비방사

⇒ 대역폭

⋅ 비방사

전류를 많이 흘릴 때:

⇒ 대역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