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User Experience of Bicycle Riders in Ulsan Grand...

15
User Experience of Bicycle Riders in Ulsan Grand Park : Implication for the E-bike system development Jeonghee Pyo, Seonghee Pyo, Juntae Kim, MoonE Kim, Shazaib Rao, *KwanMyoung Kim The school of DHE (Design Human Engineering), UNIST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BSTRACT Objective: In order to develop an E-bike system for Ulsan Grand Park, the user experience of an existing bicycle system was examined. Background: Within near future, it is expected that more and more people start to use e-bikes. In this regards, Ulsan Grand Park is a good place to test the usability of an e-bike system with number of bike users. Through practical user research, probable directions can be suggested in order to prepare the e-bike market expansion. Method: The researchers selected four user research methods from IDEO Method cards’ four different categories respectively; Learn, Look, Ask and Try. These methods were efficiently combined and applied to the user research process. Also the experience of traditional bike user and e-bike users were compared. Results: Through the user experience analysis,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e-bike system in Ulsan Grand Park were identified. Also traditional bike users and e-bike users displayed different experiences and needs. Conclusion: The results imply a useful insight to develop a competitive e-bike system and activate its usage in terms of usability. Especially developing an e-bike system requires different perspectives and novel approaches compared to traditional bike-systems.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ide a direction to vitalize the usage of e-bikes. In addition to that, the results assist people to build a guideline when they try to develop an e-bike system for a much wider area. Keywords: User research, User experience, E-bike, E-bike system, Ulsan Grand Park. 1. Introduction 1.1 연구 배경 연구는 미래 성장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전기자전거 서비스 디자인을 위해 진행되었다. 통계에 따르면 세계 전지자전거 1 시장규모는 20102,450만대, 20112,650, 20123,000만대로 늘었다. 이는 연간 10% 이상의 성장률 나타내는 결과이다. 전기자전거 소비가 늘어날 수록 품개발과 더불어 전기자전거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위한 시스템이 구축 되어야 것이다. 따라서 시장의 성장률에 맞추어 편리한 전기자전거 사용을 위한 전기자전거 이용 1 ("Ed.Benjamin 2009 Korean Seminar," 2009) 시스템 설계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1.2 연구 목표 . 연구에 앞서 자전거를 사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결과, 공원 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을 선호하는 인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국내 최대규모(362만㎡) 공원인 울산 공원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다양한 행동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소비자에게 최적화된 전기 자전거 대여 서비 스를 디자인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표이다. 리는 특정 소비자를 위해 특화된 전기 자전거 서비스 개발하여 시장의 니치마켓(틈새시장)공략, 새로 가치를 창출하고 “ZEBStory(Zero-energy B-bike service)”명명한 새로운 전기자전거 시장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Transcript of 2.User Experience of Bicycle Riders in Ulsan Grand...

  • User Experience of Bicycle Riders in Ulsan Grand Park

    : Implication for the E-bike system development

    Jeonghee Pyo, Seonghee Pyo, Juntae Kim, MoonE Kim, Shazaib Rao, *KwanMyoung Kim

    The school of DHE (Design Human Engineering), UNIST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BSTRACT

    Objective: In order to develop an E-bike system for Ulsan Grand Park, the user experience of an existing bicycle system was examined. Background: Within near future, it is expected that more and more people start to use e-bikes. In this regards, Ulsan Grand Park is a good place to test the usability of an e-bike system with number of bike users. Through practical user research, probable directions can be suggested in order to prepare the e-bike market expansion. Method: The researchers selected four user research methods from IDEO Method cards’ four different categories respectively; Learn, Look, Ask and Try. These methods were efficiently combined and applied to the user research process. Also the experience of traditional bike user and e-bike users were compared. Results: Through the user experience analysis,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e-bike system in Ulsan Grand Park were identified. Also traditional bike users and e-bike users displayed different experiences and needs. Conclusion: The results imply a useful insight to develop a competitive e-bike system and activate its usage in terms of usability. Especially developing an e-bike system requires different perspectives and novel approaches compared to traditional bike-systems.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ide a direction to vitalize the usage of e-bikes. In addition to that, the results assist people to build a guideline when they try to develop an e-bike system for a much wider area.

    Keywords: User research, User experience, E-bike, E-bike system, Ulsan Grand Park.

    1. Introduction

    1.1 연구 배경

    본 연구는 미래 성장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전기자전거의 서비스 디자인을 위해 진행되었다. 통계에 따르면 세계 전지자전거 1시장규모는 2010년 2,450만대, 2011년 2,650만, 2012년 3,000만대로 늘었다. 이는 연간 10% 이상의 성장률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전기자전거 소비가 늘어날 수록 제품개발과 더불어 전기자전거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위한 시스템이 구축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시장의 성장률에 맞추어 편리한 전기자전거 사용을 위한 전기자전거 이용

    1 ("Ed.Benjamin 2009 Korean Seminar," 2009)

    시스템 설계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1.2 연구 목표 . 본 연구에 앞서 자전거를 사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

    로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공원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을 선호하는 인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최대규모(362만㎡) 공원인 울산 대공원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다양한 행동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소비자에게 최적화된 전기 자전거 대여 서비스를 디자인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우리는 특정 소비자를 위해 특화된 전기 자전거 서비스를 개발하여 시장의 니치마켓(틈새시장)을 공략,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ZEBStory(Zero-energy B-bike service)”라 명명한 새로운 전기자전거 시장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 2. 연구방법

    전기자전거 대여 시스템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현재의 상황에서 완전히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서는 디자인적인 접근방법을 따르는 것이 필요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 방법으로

    디자이너에게 널리 알려진 IDEO의 디자인 조사방법

    중 본 연구에 적합한 것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 2 User diary ” , “ Survey

    Questionnaire”, “Fly on the wall” 세가지 방법이 선

    정되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사용상의 문제점이나 니

    즈를 발견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이 조사방법을 통

    해서 얻은 자료들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Scenario 방법을 사용했다. 이로서 전기자전거의 서비

    스 시스템이 직접 적용되었다는 것을 가정하고 직접

    체험해보면서 더 나은 시스템을 개발할 수가 있었다.

    2.1 Try it yourself 첫 번째로 선택한 방법은 “Try it yourself”이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실제로 제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느

    낌이나 개선사항을 도출해 내는 것으로, 흔히 “User

    diary”라고도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을 선택한 이유는

    조사자가 직접 자전거를 타보고 자전거의 불편함을 직

    접 느껴봐야지만 앞으로의 다른 실험에서도 참가자들

    의 이야기나 실험 내용을 심도 있게 파악하는 데에 도

    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본 연구자 5명은 5주 동안,

    일 인당 한 주씩을 할애하여, 동일한 전기 자전거를

    직접 타보면서 느낀 감정이나 문제점 그리고 이에 대

    한 개선사항을 각자의 다이어리에 기록하였다. 전기

    자전거를 이용 하면서 발견된 문제점이나 새로운 점을

    즉석에서 사진을 찍고 한 주 동안 모아진 데이터를 서

    로 공유하여 해결 방법에 대해서 토론하였다.

    2.1 Survey Questionnaires 두 번째로는‘Survey Questionnaires’을 진행했

    다. 이 연구 방법에서는 두 과정으로 나누어서, 앞서

    설명한 Try it yourself를 진행하면서 얻은 결과물을

    바탕으로 사용자들을 파악할 수 있는 설문지를 만들었

    다. 첫 번째 과정에서는 울산 대공원을 직접 방문하여,

    실제 자전거 이용자와 보행자에게 현재 자전거 대여

    시스템과 자전거 사용에 관한 질문을 하였다. 두 번째

    2 (Yan, 2011)

    과정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전거 이용자에

    관한 정보와 자전거 대여 시스템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서 사용자들이 불편하게 생각하는 점을

    발견하고 동시에 사용자들이 자전거를 어떻게,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3.1 Fly on the wall 세 번째로는 ‘Fly one the wall’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조사자가 사용 현장에서 자연스러운 관찰을 통해서 사용자의 행동 속의 숨은 니즈를 파악 할 수 있다.

    위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Try it yourself, Survey & Questionnaires, Fly on the wall의 방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발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통된 문제와 니즈를 분석하여 시스템 디자인을 만들어 내고, 이를 바탕으로 Scenario를 설계하고 Scenario Simulation을 해 보았다.

    2.4 Scenario

    이렇게 만들어진 시스템 디자인이, 울산대공원에 적용이 되었다는 가정하에서, 현장을 방문 하기 전 시나리오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직접 시나리오에 따라서 연극을 해보면서, 시스템을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발견되는 니즈와 문제점을 예상하였다.

    그리고 현장 방문을 통해 직접 시뮬레이션을 해 본 결과 실내조사에서 예상하지 못한 문제점과 기회를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현장 조사 후 발견된 문제점과 기회에 대해서 토론해 보았다. 이 과정을 통하여 울산 대공원의 대여 자전거 대여

    서비스 시스템을 수정 및 보완하고 전기 자전거 대여 서비스가 제공될 시 어떤 문제점과 기회가 있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3. 데이터 분석 및 결과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전기 자전거는 페닌슐라 업체의 Tordo 전기자전거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전기 자전거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리튬 이온 배터리를 사용하고, 22kg의 무게로 이루어져 있는 현재 시판 중인 전기 자전거이다.

  • 연구의 시작으로‘Try it yourself’를 사용했다. 이 방법을 통하여 전기자전거 사용에 대한 정보와 문제점 등을 직접 파악할 수 있었다. 문제점 중에 대부분 경우는 자전거 디자인 및 기능에 관한 것들이 많았다. 첫 번째로는 현재 도로나 야외 거주 공간을 고려했을 때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기 콘센트가 많지 않다는 점이 지적이 되었다. 이로 인해 우리의 시스템에서는 여러 자전거를 한번에 충전할 수 있거나 혹은 배터리를 바로 교환해줄 수 있는 방안 등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사용 중에는 자전거의 모터의 동력이 약해, 오르막길을 오를 때에는 힘이 달린다는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현재 법규 상에서 전기자전거의 시속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해결이 쉽지 않아 보인다.

    자전거의 안장의 경우 충격 방지용 장비 부제로 인해 승차감이 좋지 않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충격 방지가 가능하도록 충격 방지 장치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전기 자전거의 경우 일반 자전거보다 빠른 속도로 운행 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자전거를 타고난 후,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할 때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배터리는 충전을 위한 콘센트 단자가 얇은 고무 커버로 덮여져 있는데, 이 고무커버를 벗기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필요한 디자인으로 여겨졌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무 커버의 디자인을 치약 뚜껑의 디자인과 유사한 방식으로 돌려서 여는 방법이 더 직관적인 디자인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배터리를 실내에서 충전하기 위해서는 자전거에서 배터리를 분리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는 크게 두 가지의 문제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하나는 배터리를 고정해주는 잠금 장치를 해제시키

    기 위해 열쇠를 이용 하여야 하는데 이 때 사용자는

    배터리의 잠금 장치가 해제되었는지 육안으로 파악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잠금 표시와 잠금 해제 표시의

    구분이 없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물쇠

    부분에 화살표와 같은 표식으로 현재의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자전거의 배터리를 뽑을 때 배터리가

    본체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여자이

    거나 힘이 약한 사람일 경우 배터리를 뽑기가 힘이 든

    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 자전거 배터리를 손으로 당겨 뽑는 방식이 아니라

    원 터치 방식의 버튼을 누를 경우에 배터리가 본체에

    서 분리되는 방법을 고안했다. 또한 이 자전거의 배터

    리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대는 배터리를 고정해주는 것

    이외에는 어떠한 역할도 하지 않는다. 실제 본 연구자

    들이 이 전기 자전거를 경험하였을 때 배터리고정 장

    치를 뒷 안장으로 여기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로 업체

    에 문의해본 결과 배터리 거치대 이외의 기능을 하지

    않는다고 답변을 받았다. 이에 자전거 뒷부분에 추가

    좌석을 제공하거나, 바구니, 고정대를 설치하는 것을

    참고해서 고정대에 추가 기능을 더하는 것을 생각해

    보았다.

    자전거 핸들에 왼 쪽에 있는 계기판은 여러 가지 정

    보를 보여주거나, 자전거의 상태 조절이 가능하다. 그

    중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기능의 경우에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 표시등은 정확한 배터리 잔량을 표시

    해주지 않는다. 그렇기에 정확한 배터리의 잔량을 확

    인하기 위해서는 자전거에서 내려서 전거 뒤쪽의 배터

    리에서 직접 배터리 잔량을 확인 해야 한다. 이 과정

    을 계기판에서 좀 더 정확하게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

    한다면 해결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이

    계기판에서 자전거의 전체 속도(low, medium, high)를

    조절 할 경우, medium에서 low로 바꾸기 위해서는 속

    도 조정 버튼을 두 번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자전거 속도가 빠른 경우 한번에 속도를 줄일 수

    없다면 사용자는 안전하게 자전거를 탈 수 없을 것이

    다. 버튼 방식이 아닌 다이얼 방식으로 디자인 한다면

    속도 조절에 있어서 안전함을 보장할 수 있다.

    오른쪽 핸들부분에는 가속을 위한 스피드 컨트롤러

    가 있다. 그러나 이 컨트롤러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

    자가 현재 속도를 파악하기 힘들다. 이러한 점을 고려

    해서 핸들 왼쪽의 기존의 계기판에 현재 속도를 보여

    주는 기능을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전기 자전거는 싣고 나를 수 있

    게 하기 위해 접이식으로 디자인 되었다. 하지만 자전

    거를 차로 옮기는 과정에서, 자전거의 무게가 너무 무

    겁고 자전거를 완전히 접기 위해서는 많은 과정을 거

    쳐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접는 방법을

    조금 더 간단하게 만드는 디자인적 해결 방안의 필요

    성을 느꼈다.

    Figure 1. 페닌슐라의 토르도 전기 자전거

  • 두 번째로 사용한‘Survey & Questionnaries’의 방

    법 경우,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진행했다. 첫 번째는

    울산대공원을 방문한 방문객에게 설문조사를 하는 방

    법이고, 두 번째는 좀 더 다양한 의견과 다양한 범위

    에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대공원을 방문한 20명의 자전

    거 사용자와 20명의 행인들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자전거 사용자들의 니즈를 파악함과 동시에, 자전거를

    사용하지 않은 사람이 자전거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와

    앞으로 그들을 시스템 상에서의 고객으로 만들기 위해

    서 어떤 것이 필요한지를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Figure2는 설문조사에 참가한 자전거 운전자의 나

    이를 분류해서 보여준다. 이 실험에는 여섯 명의 십대

    와 여섯 명의 이 십대, 두 명의 삼 십대 그리고 여섯

    명의 사 십대가 참여했다. 10대 6명은 친구들과 같이

    오거나 아니면 가족들과 같이 동행을 한 경우가 대다

    수였다. 20대의 경우는 연인들끼리 온 경우가 많았고

    30대는 연인 40대는 가족과 함께 피크닉을 온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주 타겟으로 생각해야 될 사용자 유형은 아이가 있는

    가족단위, 젊은 부부, 노 부부, 학생, 애완견과 함께 온

    애견인 등이다.

    Figure3는 울산대공원에서 자전거를 타고 있는 사

    람을 대상으로 자전거가 본인의 자전거인지 아니면 대

    여 한 자전거인지를 물어보았다.

    놀랍게도 단 두 사람만이 본인의 자전거를 이용하

    였고, 나머지 이용자의 경우 본인의 자전거가 아닌 대

    여한 자전거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자

    전거 대여 서비스는 이미 활성화가 되어 있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 자전거 서비스가 비즈니스 모델로서 수

    익 창출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파악할 수가 있었다.

    Figure4 의 경우에는 자전거 혹은 대여 자전거를 타고 울산대공원을 돌아다니는 도중에 사람들이 불편

    함을 느끼는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물어봤다.

    이에 대해서 가장 많은 여덟 명은 많은 가파른 길이

    올라가기에 힘들다는 이야기를 하였고, 여섯 명은 자

    전거 길과 도보 길의 구분이 없는 것에 대해서 지적하

    였다. 그리고 나머지 여섯 명은 자전거를 반납하기 위

    해서 빌린 곳에 다시 돌아가 반납해야 하는 점을 꼽았

    다. 이 자료에서 현재 울산대공원은 자전거를 대여와

    반납의 장소가 구분되지 않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고 생각했다. 또 현재 울산대공원은 자전거 도로와 인

    도가 구분되어 있지 않다. 공원 내에는 보행자, 트램카,

    자전거, 킥보드, 스케이트등 여러가지 탈 것들이 구분

    없이 위험하게 구분 없이 통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

    때문에 본 연구의 비즈니스 모델을 디자인 할 때 자전

    거 도로가 기본적으로 구분되어야 한다고 판단했다.

    6 6 8

    0

    10

    What is the most incommodity during riding a b

    Fixed bike return shop

    No distinction between sidewal and bike road

    Many slopes

    Figure 2. 설문조사 응답자 연령대 비율

    Figure 4. 자전거 이용자 중 불편 사항 응답

    Figure 5. 설문응답자 중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참가자의 연령대 비율

    Figure 3. 설문응답자 중 자전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한 비율

    2

    18

    0

    10

    20

    Is  this bike yours?

    Yes No

    10대, 4

    20대, 8

    30대, 2

    40대, 6

    10대, 4

    20대, 8

    30대, 2

    40대, 6

  • 다음으로 Figure 5는 설문에 참가한 자전거를 타지

    않고 걸어 다니는 참가자들을 나타낸 것이다.

    응답자 중 네 명이 10대, 여덟 명이 20대, 두 명의

    30대와 여섯 명의 40대가 있었다. Figure6은 이 참가

    자들에게 울산대공원을 방문한 목적이 무엇인지 물었

    다. 대다수의 20대, 30대는 데이트를 목적으로 방문을

    했고, 10대는 친구와 놀러, 40대는 가족들과 방문한 경

    우가 많았다. 이 중 여덟 명은 데이트를 목적으로 6명

    은 운동, 나머지 6명은 그냥 산책 등을 목적으로 왔다

    고 답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다시 한번 우리의 타겟 유저를 확

    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몇 가지 이유로 자전거를 타

    지 않지만, 자전거 대여 서비스로 유인할 수가 있다면

    좋은 고객이 될 것이다.

    Figure 7은 자전거를 타지 않은 사람들이 자전거를

    타지 않는 이유에 대한 응답이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응답자가 아이와 애완동물 때문

    에 자전거를 타지 않는다고 말했고 다음 여섯 명은 귀

    찮기 때문에, 그리고 나머지 세 그룹은 각각 두 명씩

    걷기를 좋아해서, 자전거를 타는데 익숙하지 않아서라

    는 의견이 있었다. 특히 귀찮기 때문에 타지 않는 사

    람들은 대여, 반납, 휴대의 번거로움 때문이라고 덧붙

    였다. 이 설문조사를 통해서 우리는 사용자를 좀더 끌

    어들이기 위해서 아이들과 애완동물과 동행한 사람들

    을 배려하는 디자인이나 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해서 파

    악을 했고, 자전거 타기를 귀찮아 하거나, 걷기를 좋아

    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우리 시스템에 조금 더 흥미롭

    고 현재 사람들의 관심을 끌만한 요소를 추가 해야 한

    다고 생각했다.

    다음 Figure8의 경우에는 행인들이 자전거를 타게

    될 경우 가장 타고 싶은 자전거의 유형에 대한 응답이

    다.

    여덟 명은 아이들이나 애완견을 태울 수 있는 자전

    거를 원했고, 여섯 명은 전기 자전거, 나머지 두 그룹

    각각 두 명은 기존의 자전거나 탠덤형 자전거를 희망했

    다. 이 자료를 통해 사용자들은 애완동물이나 아이들과

    동행 할 수 있는 자전거를 원했고, 울산 대공원의 지

    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전기 자전거를 희망하는 사람들

    이 전체에서 30%로 상당수를 차지해 사용자의 니즈가

    확실하다는 점이 파악이 되었다.

    6 68

    0

    5

    10

    What is your purpose in coming Ulsan grand park?

    Taking a walk Working out Dating

    2 2

    6

    2

    8

    0

    5

    10

    What is the reason why do not rid a bike?

    Prefet to walk Poor at riding a bike

    Bothering Not far sighted

    Due to Kids or Pets

    62 2

    8

    0

    10

    What kinds of bikes do you want to ride most?

    E-bike

    Traditional bike

    Tandem

    Bike carrying pets or kids(babies)

    Figure 3. 울산대공원 방문 목적

    Figure 4. 설문응답자 중 자전거를 타지 않는 이유

    Figure 5. 설문응답 중 행인들이 타고 싶어하는 자전거 유형

  • 다음으로 다양한 응답 범위와 다양한 질문을 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울산 거주민뿐만

    아니라 전체 대한민국 국민을 대상으로 함으로서 많은

    사람들의 자전거에 관련된 행동과 실태에 대해서 파악

    해보려고 하였다. 자료 조사는 온라인 자전거 커뮤니

    티와 자전거와는 상관없는 일반 카페 등에서 진행이

    되었다.

    Figure 9는 설문 응답자의 나이를 나타낸 자료이고

    Figure 10는 설문 응답자의 성별을 나타낸 자료로 남

    자가 28명으로 훨씬 더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인

    구, 자전거 커뮤니티에 참여를 하고 있는 성별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이 된다.

    Figure 11 은 사용자들에게 자전거를 타면 주중 주

    말 중에 언제 주로 타는 지를 알아본 자료로 28명의

    참가자가 주말, 12명의 참가자가 주중으로 대답 하였

    다.

    남자, 28

    여자, 9

    10대, 2

    20대, 26

    30대, 5

    40대, 4

    Figure 9. 웹 설문 참가자의 연령대 비율

    Figure 10. 웹 설문 응답자의 성비

    주중, 12

    주말, 28

    Figure 11. 웹 설문 응답자 중 자전거 이용 시간대

    비용, 5

    용도, 14디자인, 11

    사이즈, 2

    기타, 5

    Figure 12. 웹 설문 응답자 중 자전거 구입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

    이동수

    단, 8

    피크닉, 6운동, 13

    흥미, 

    재미, 9

    기타, 2

    Figure 13. 웹 설문 응답자 중 자전거를 타는 목적

    자전거

    도로, 15

    일반

    도로, 8

    공원, 16

    기타, 1

    Figure 14. 웹 설문 응답자 중 자전거를 타는 장소

  • 12에서는 사용자들이 자전거를 구입을 할 때에 가장

    고려 하는 부분은 무엇이냐 라는 질문에는 용도 14명

    디자인 11명 사이즈 2명, 비용 5명이라고 답해 자전

    거를 사용하는 용도와 디자인의 중요성을 알 수가 있

    었다. 이는 우리가 만드는 시스템에서도 적용되어, 공

    원의 찾는 사용자의 목적에 맞고 디자인도 좋은 제품

    을 공급해야겠다는 결론을 냈다. Figure 13에서는 자

    전거를 타는 목적으로는 운동이 13명 이동수단이 8명

    흥미, 재미 등으로 타는 사람이 9명으로 우리 자전거

    시스템에서 흥미, 재미와 운동 등의 요소를 강조 시킬

    수가 있는 부분이 많이 포함되어야 함을 생각했다.

    Figure 14에서 자전거를 타는 장소로 자전거 도로

    15명, 일반 도로 8명 공원 16명 기타 1명으로, 공원

    에서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고 동시에

    자전거 도로에서 타는 사람이 많았다. 이와 같은 설문조사의 내용은 우리가 만드는 시스템

    이 적용되는 울산대공원에 대한 아이디어 모티브를 제

    공하였다. 하지만 아직 울산대공원은 자전거도로가 제

    대로 구축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울산대공원에 자전거

    도로에 대한 해결책으로 자전거 코스를 만든다면 사용

    자로 하여금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Figure 15에서 자전거를 탈 때 일반적으로 타는 시

    간을 조사했을 때 30분에서 한 시간 미만이 22명, 삼

    십분 이하가 6명 1시간에서 2시간이 9명, 2시간 이상

    이 2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의 대여 서비스가 30

    분에서 1시간을 기본적으로 주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

    라는 생각을 할 수가 있었다.

    세 번째로 진행한 실험은 ‘Fly on the wall’ 방법

    으로 관찰자인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하

    거나, 상황을 조작하지 않고 마치 없는 사람처럼 다른

    사용자의 행동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이

    방법을 사용하기에 앞서서, 울산대공원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지나는 두 곳인 풍요의 못과 피크닉 장에서

    20분 동안 몇 명의 사람들이 지나가는지, 이러한 사람

    은 어떠한 이동 수단을 사용하는지를 관찰해보았다.

    Table 1. 울산대공원 각 지점 유형별 이용자 수

    풍요의 못 인원(명) 피크닉 장 인원(명) 총계

    도보 284 도보 168 452

    자전거 156 자전거 134 290

    유모차 38 유모차 34 72

    총계 478 336

    측정시간: 20분

    위의 Table 1은 총 20분 동안, 풍요의 못과 피크닉

    장을 지나간 이용자들의 이동수단을 조사한 표이다.

    조사한 인원은 총원 478명으로 보행자가 284명이

    지나갔고, 자전거는 156명, 유모차는 총 38대가 지나

    갔다. 피크닉의 장에는 보행자 168명, 자전거 134명

    그리고 유모차 34대가 지나갔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

    서, 우리는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유모차를 그리고 자

    전거를 사용 중이라는 사실을 알 수가 있었고 이를 반

    영한 디자인 및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 외에 제대로 된 표지판이 충분하지 않고 특히

    외국인을 위한 표지판이 없어 울산대공원을 방문한 많

    은 외국인에게 불편함을 주었다. 그리고 넓은 울산대

    공원에 있을 경우에 본인의 위치가 어디쯤인지를 정확

    하게 파악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 문제점에 대해

    서 우리는 현장에서 GPS나 스마트폰 어플을 사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울산대공원의 곳곳에 자전거 교환소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배터리 교환 자판기를 설치

    하는 방안을 떠올려보았다. 또한 자전거를 대여하는

    시스템의 낙후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유휴시간이 길

    었다. 이러한 유휴시간은 대공원 시설이용에 매우 비

    효율적인 결과를 낳는다. 왜냐하면 사용자들이 자전거

    를 빌리기 위해서는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을 기다려

    야 하기 때문이다. 자전거를 빌려주는 대여점의 입장

    에서도 남은 자전거의 개수와 반납될 자전거의 개수를

    파악하기 힘들었다. 실제로 당시 현장에서도, 직원이

    큰소리로 남은 자전거가 별로 없다는 사실을 말하자

    그때서야 사람들이 술렁이며 자리를 뜨는 모습을 관찰

    할 수가 있었다. 또 다수의 아이들이 자전거를 사용함

    을 관찰하면서 어린이용 전기자전거를 만들자는 아이

    디어가 나왔다. 이러한 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우리는

    우리의 시스템이 적용되었다는 것을 가정하에 우리가

    수행해야 될 시나리오를 작성할 수가 있었다.

    이 다음으로‘Scenario’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

    법은 크게 세가지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로는

    Figure 15. 웹 설문 응답자 중 자전거 이용 시간

  •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솔루션을 고안했고, 그것을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만들어보았다, 두 번째로는 현장

    에 직접 방문하여, 추가적인 니즈를 파악함과 동시에,

    시나리오의 수정 작업을 통해 시나리오를 실행해보았

    다. 세 번째로는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견된

    니즈와 해결 방안 등에 대해서 현지방문을 한 후 의견

    을 교환했다. 이 첫 번째 방법에서 1. 지정된 자전거

    대여소에서 멤버십 카드를 가지고 자전거를 빌리고, 2.

    자전거를 타는 도중에 배터리를 교체할 일이 생길 때

    에,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들러 배터리를 교체하고

    휴식을 취한 다음에, 3. 다시 자전거를 타고 다니며 공

    원에서 여유를 즐긴 다음 4. 본인이 원하는 자전거 대

    여소 아무 곳에서나 가서 자전거를 반납하는 시나리오

    를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시나리오 실행을 위해 직접

    현장에 방문을 했을 때에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니즈

    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했다.

    울산대공원 주변의 카페에는 자리를 잡기 힘들 정도

    로 사람들이 붐볐다. 이러한 점은 현장 방문 전에 미

    처 예상하지 못한 큰 발견이었다. 공원을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그 곳에서 휴식을 취하기도 하고 자전거를

    가지고 온 사람들은 카페 앞에 자전거를 세워놓고 휴

    식을 취하는 장면을 목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용자

    의 행동을 통해 아이디어를 얻은 우리들은, 우리의 자

    전거 대여소를 그냥 대여소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

    라 카페 운영을 더해, 사람들이 카페에서 쉬면서 자전

    거를 빌릴 수가 있고, 동시에 자전거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가 있는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포착 하였다. 이에 기존의 시나리오에서 대여소에서

    자전거를 빌리는 부분을 카페에서 자전거를 빌린다고

    수정하여 시나리오를 진행하였다. 시나리오 시뮬레이

    션을 진행한 다음, 다시 연구실로 돌아와 미팅을 가졌

    다. 이 미팅에서 카페의 실효성과 가치에 관해서 다시

    한번 심도 깊은 토론을 가지고 이와 같이 사용자의 감

    성과 가치를 더해줄 수 있는 니즈 혹은 솔루션이 없을

    까에 대해서 토론해보았다. 특히 우리가 이전에 만든

    시스템 맵에서, 카페가 들어올 경우 이 시스템 맵의

    변경사항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 관해서도 이야기

    를 나누었다.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실험 방법을 통해서 우리는 시

    스템 설계를 위한 다방면의 니즈를 파악하고 동시에

    솔루션을 생각해볼 수가 있었다. 발견된 니즈 및 솔루

    션은 다음 비지니스 서비스 제안에서 좀더 상세하게

    전달하고자 한다.

    4. 전기자전거 대여서비스: ZEBStory

    앞선 사용자 경험 관찰하는 4가지(try it your self, survey& Questionarries, fly one the wall, scenario )방법을 통해 얻은 데이터와 사용자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기 자전거의 대여 시스템에 관한 다음과 같은 디자인 아이디어를 도출 할 수 있었다. 4.1 비즈니스 컨셉

    4.1.1 소비자 니즈

    본 연구에서는 울산 대공원의 현장 조사와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몇 가지 충족되지 못한 소비자 니즈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앞선 현장 관찰 조사를 통해 울산 대공원 방문객 10명중 7명의 비율로 자전거 대여 시스템을 이용함을 알 수 있었다. 많은 비율의 자전거 이용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전거 대여소의 내부 환경 및 외부 경관 이 대공원의 입지와 맞지 않게 낙후 되어 있었다. 공원 내 자전거 대여소의 분위기는 조명이 없어 어두컴컴한 창고같은 느낌을 주었고 스텐파이프 셔터가 내려져 있어 환경 친화적이고 밝은 공원의 분위기와 부조화를 이룬다. 또한 현장 조사를 통해 자전거 대여 서비스 방법이 소비자가 이용을 했을 때 불편함을 준다는 의견을 얻었다. 구 체적으로, 자전거 대여자가 자전거를 반납하고자 할 때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자전거 대여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분증을 다시 돌려 받기 위해 원래 대여했던 장소에 돌아가 반납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서 이용자는 순환 방식으로 코스를 돌기 보다는 왔던 코스 그대로 다시 돌아와야 하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또한 사람이 가장 많이 붐비는 주말에는 자전거 수가 부족하여 방문객들이 자전거를 빌리고자 할 때 막연히 기다려야 야만 했다. 현재의 자전거 대여 시스템은 보유 자전거와 빌려간 자전거의 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도 힘들고 반납되는 자전거의 수를 예측하기도 힘들어 피크타임에 붐비는 사람들의 불만을 해결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 하는 ZEBstory를 통해 자전거 대여소의 내부환경을 개선할 뿐 만 아니라 대여 서비스의 병목 현상도 해결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울산 대공원 내의 경사가 심한 지형 적 특징 때문에 자전거 이용자들이 기존의 자전거를 이용하여 공원을 순환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의 사용자 인터뷰에 따르면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경사진 길이 불편하다는 의견이 있었고, 자전거를

  • 타지 않는 사람들 중에서는 자전거를 타기가 불편하고 번거롭기 때문에 빌리지 않는 방문객의 의견이 있었다. 하지만 전기 자전거의 이용이 활성화가 된다면 오르막 길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영, 유아를 동반한 부모 세대부터 노 부부와 같이 다양한 연령층이 운동, 레저, 산책, 데이트, 애완 견 산책의 목적에 의해서 울산 대공원을 방문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다양한 연령층과 목적으로 공원을 이용하지만 자전거는 성인용, 어린이용 두 가지 종류로만 대여 가능 하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는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 시킬수 있는 전기 자전거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지속 가능한 개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소비자의 꾸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카페라는 커뮤니티 의 장을 도입하고자 한다.

    4.1.2비즈니스 아이디어 현대 사회에서의 카페 이용은 단순히 커피를 마시러 간다는 의미이기 보다는 카페에서 소비자가 커피를 마시는 행동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적인 요인 때문에 더 많이 선호 한다. 현대인들의 작위적이고 주변 환경에 대한 의식적인 행동 패턴를 통해 ‘카페’와 기존의 자전거 보다 비싼 ‘전기자전거’의 과시욕을 드러내고자 하는 벤드 웨건 효과와 스놉 효과의 비슷한 성질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현장 관찰을 통하여 울산 대공원 주변의 카페가 매우 활성화 되어 있다는 점이 눈에 띄었다. 실제로 울산대공원 정문 바로 앞에 위치한 ‘엔젤리너스'와 ‘투썸플레이스' 두 곳을 조사한 결과, 전 좌석 중 70%~ 80%의 좌석이 채워져 있었고, take out 을 이용하는 고객의 수는 좌석에 앉아 있는 수보다 훨씬 많았다.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커피 소비량, 카페 사업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본 연구는 이를 기회 선점으로 삼아 울산 대공원 내부에 ‘ZEBstory’라고 명칭을 한 자전거 카페를 설립하여 전기 자전거를 대여 할 수 있는 동시에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전기 자전거 대여 카페라는 비지니스 모티브를 통해 대여뿐만 아니라 수리, 배터리 교환 및 충전, 휴식 공간, 그리고 사람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의 장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또한 멤버십 시스템을 도입하여 고객의 개인 정보와 함께 자전거 결함 및 개선 사항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용 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고착화를 통해 지속적인 전기 자전거 카페의 활성화가 가능하다.

    4.2 전기자전거 대여 카페 “젭스토리(ZEBStory)”

    본 연구에서는 울산 대공원의 정문, 남문, 동문 총 3 개의 입구에 ZEBStory를 개장하고자 한다. 그리고 각 카페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피크닉 장’과 ‘느티나무 산책로’에 2 개의 무인 배터리 교환소를 설치하고자 한다. 4.3 관련 서비스

    4.3.1 멤버십 시스템 ZEBstory 카페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ZEBstory 회원으로 등록을 해야 한다. 회원 등록은 on-off line으로 가능하다. ZEBstory를 직접 방문하여 등록이 가능하며,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간단한 인적 사항을 기입한 후 전기자전거 대여가 가능하다. 멤버십 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로 하여금 연회비를 지불 해야 한다. 카드의 등급에 따라 카드의 포인트 마일리지를 달리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범위에 따라 카드의 등급을 선택할 수 있으며, 카드의 등급은 레인보우카드, 플라워 카드 그리고 선샤인 카드(가제), 이렇게 세 가지이다. 이러한 회원 등록제를 도입하면 자전거 개발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자전거 선호도, 자전거의 잦은 고장 원인 등을 데이터로 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카페경영자는 사용자에 대한 인적 사항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이용패턴, 시장 경향 등을 데이터로 분석해 시장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 정보를 바탕으로 계속적인 카페 경영전략을 세울 수 있다. 또한 회원제로 하여금 고객 충성도를 높일 수 있다. 회원등록제는 사용자에게도 편리함을 준다. 사용자가 다른 지역의 공원을 방문하였을 때 그 지역에 ZEBstory가 있다면 사용자는 회원카드를 통해서 간단하게 전기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매번 전기 자전거를 빌릴 때 마다 현금을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카드 마일리지 시스템을 도입하면 이용자들이 친환경적인 활동을 통해서 카드 마일리지 포인트를 쌓으면서 저탄소 녹색성장운동을 실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이컵 사용 대신 카페에서 머그컵이나 텀블러를 사용했을 때 사용자로 하여금 일정한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방식이다. 이처럼 지역 내에서도 분리수거, 공병 재활용, 자전거 타고 출 퇴근 하기 등 여러가지 규정을 통해 포인트 적립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할 수 있다.

  • 4.3.2 자전거 이용 중 부가 서비스 (1) 전기자전거 대여 서비스: 자전거를 대여하기 위해 오랜 시간 줄을 서서 기다리지 않고도 카페에 앉아 여유롭게 자전거를 대여한다. (2) 카페서비스 이용: 카페 본래의 기능인 음료, 휴식, 만남의 장소 등 제공한다. (3) 위치 정보 서비스: 근처의 ZEBStory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페가 어디에 있는지 확인 할 수 있고 가장 가까운 무인 배터리 교환소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4) 카페에서 테이크 아웃한 음료를 담아 이동할 수 있는 자전거의 컵 홀더(holder) (5) 전기자전거 충전: 공원 내 무인 배터리 교환소에서 ZEBStory 멤버십 카드/ 혹은 일반 신용카드로 결제하여 전기자전거의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충전할 수 있다. (6) 전기자전거 반납: 카페 사이의 ZEBStory 서비스 연동을 통하여 자신이 어느 곳에서든 반납할 수 있다. (7) ZEBStory 멤버십: 멤버십 가입 고객은 ZEBStory와 연결되어있는 모든 서비스를 멤버십 카드 하나로 사용할 수 있다.

    4.3.3 시스템 맵 (system map) (1) 소비자는 공원 근처의 카페에서 음료를 구매하여 마시거나, 휴식을 취한다. (2) 멤버십 카드를 사용하여 카페에 정비되어있는 전기자전거를 대여한다. (3) 전기자전거와 보호장구를 함께 대여한다. (4) 카페에 자전거를 전시함으로 판촉효과를 얻는다. (5)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충전소를 짓는다. (6) 자전거 시승 중 배터리가 부족할 경우, 멤버십카드를 사용하여 무인 배터리 충전소를 이용한다. (7) ZEBstory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카페에 사용한 전기자전거를 반납한다. (8) 회사에서는 전기자전거 이용자들에게 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4. Conclusion

    전기자전거 대여 시스템에서의 디자인적인 측면과, 현대인의 문화 요소를 결합하여 카페에서 전기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ZEBStory는 울산 대공원뿐 아니라, 시민이 이용하는 전국의 모든 크고 작은 공원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전기자전거 대여 시스템이다.

  • 1. 시스템 맵

  • Reference

    Ed.Benjamin 2009 Korean Seminar. (2009). http://ecomotors.tistory.com/9

    SGchem. (2013). Tordo yellow. from http://www.peninsular.co.kr

    Ulsan Grand park guide.). from http://www.ulsanpark.com

    Yan, Gao. (2011). Ideo Method Cards. from http://www.scribd.com/doc/46309026/Ideo-Method-Cards

    Author listings

    Jeonghee Pyo: [email protected] Major: School of Mechanical and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Seonghee Pyo: [email protected] Major: School of Technology Management Juntae Kim: [email protected] Major: School of Design and Human Engineering MoonE Kim: [email protected] Major: School of Design and Human Engineering Shazaib Rao: [email protected] Major: School of Design and Human Engine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