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복의기원dgau.ac.kr/Major/News_Upload/패션과_문화02.pdf · 2016-06-01 ·...

Post on 26-Jun-2020

3 views 0 download

Transcript of 의복의기원dgau.ac.kr/Major/News_Upload/패션과_문화02.pdf · 2016-06-01 ·...

의복의 기원

1. 용어정의

2. 유 형

3. 기 원

의복의 어원

Klotho 실잦는사람(spinner)

Cloth(布) Clothes(衣服) Clothing(被服)

Clotho(탄생 상징)

Lachesis(인간수명,운명상징)

Atropos(종말 상징)

용어의 의미

Clothes(의복) - 인체의 구간부(몸통, 팔, 다리)를 둘러싸는 옷

Clothing(피복) - 협의: 의복을 포함하여 머리에 쓰는 것, 손에 끼는것, 발에 신는 것 등

광의: 의복, 모자, 장갑, 양말과 침구, 양산, 커튼, 카펫 등 인체주위에 있는 모든 직물류 총칭

clothed apparel or attire(복장 ) - 피복을 입음으로써 나타나는 상태

clothing and ornament(복식) - 피복류전반+부속장식품(or 장신구)

Costume(의상) - 특정지역, 민족, 시대, 행사를 위한 옷

Dress(드레스) – ‘외관을 다듬는다’ (정장, 예장)

Uniform(제복)

의복의 기본유형

• 요의형'(腰衣形), '요포형'(腰布形), '센티'(Shenti)

• 허리둘레에 착용하는 옷

• 가장 원시적인 형태 이집트의로인 클로스 (Loin cloth)

• 열대지방의 원주민이 많이 착용-최근에는 특수한 스포츠(레슬링, 스모, 수영경기 등)

• 경쾌한 동작 가능

• 방서기능 특징

• 권의형'(卷衣形), '드레이퍼리'(Drapery)

• 장방형 또는 반 월형(천을어깨에 걸쳐 몸을 감싸 입는 옷)

• 체형에 관계없이 착용할 수있는 장점

• 재단과 봉제 無

• 대표적인 권의의 -로마의토가(Toga), 그리스의 히마티온(Himation)

• 오늘날-남방지역 (인도의사리(Sari))

• 관 두 의 '( 貫 頭 衣 ), ' 판 쵸 형'(Poncho)

• 한 폭의 천을 둘로 접어 머리를 통할 만큼의 구멍을 뚫어서 머리를 끼워 입는 옷

• 재단과 봉제 無, 소매가 없는것이 원형

• 대표적인 관두의-이집트의로브(Robe),페르시아의 칸디스(Candys), 중앙아메리카의판쵸(Poncho)

• 오늘날-방수천의 레인코트

• 전개형(展開形) , 혼합의(混合衣), 카프탄형'(Kaftan)

• 앞이 나누어져 있어 앞을여미고 따로 졸라 매어 입는 앞여밈 옷이 많음-어느정도 체형에 맞도록 구성

• 대표적인 혼합의-일본의기모노(kimono), 중국의 심의, 한국의 한복 등

• 체형형(體形型), 착의형(窄衣型),튜닉형'(Tunic)

• 체형에 따라 몸에 밀착되어알맞게 감싸는 형태의 옷

• 몸통과 팔, 다리-신체구성으로 성립(몸판, 소매, 바지또는 스커트)

• 활동적인 작업, 운동-생활편리(현대에까지 널리 이용)

• 방한의 기능

인류가 지구상에 나타난 이래 약 200만년을 경과해 오고 있지만, 그 대부분의 세월은 완전한나체로서 생활해 왔다. 인류학, 고고학 등에 의하면 인간이 복식다운 것을 몸에 걸치기 시작한것은 불과 5∼10만년 전부터라고 한다. 그러므로 복식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 가운데서 참으로최근에 속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복식의 기원에 관해서는 그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의 설이 있다.

의복의 변천(기원)

보호설(保護設, protection)

기후적응설

신체보호설

외부 물체에 의한 상해 보호.

점차로 체모가 없어지게 된 인류- 유연한 피부 보호

더위추위에 대한 생리적 요구설

ex) 5∼10만년 전 네안데르탈인(Homoneanderthalensis)

의 제4빙하기 대응(동굴,불사용, 짐승의 모피의류)

• 남미 남단의 티에라델퓌이고(tierra delego)섬의 야간족,

뉴우기니아섬의 다니족 등(한랭지한랭시에도 나체 또는나체에 가까운 상태로 생활을 하고 있는 종족)

•야간족

•오나족(남미)

장식설(裝飾設, adornment)

인체를 장식하려는 욕구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1) 호부설(Theory of amulets)

(2) 상징설(Theory of symbolism)

원시 신앙적인 관념 - 질병, 재해 등을 피하고, 안녕 및 안산을 도모할 목적(부적)

•트로피설(trophyism)-상징으로서는 용기, 강건, 기능 등(맹수의 이빨,

모피 등의 전승기념물)

•토템설(totemistic theory)- 씨족의 시조로서 신앙하는 동물의 가죽이

나 깃털 등을 몸에 지녀서 다른 씨족과 구별하는 관습에서 복식이생겼다는 설

(3) 성차설(Theory of sex attraction)

이성의 시선을 의식한다는 설

•정숙성- 성서에 의한 설

•비정숙성(이성유인설) – 신체에 대한 성적호기심유발(미니스커트,

쫄티, 하이힐 등)

(4) 심미설(Aestheic theory)

인간의 미적 감정의 표현으로서 아름다운 물체나 물질을 가지고신체를 장식하려는 본능적인 충동에 의해 복식이 시작되었다는설

피부채색 문신 상흔 인체변공

•반정숙설

•피부채색

•피부문신

•피부상흔

•인체 변공

복합설(複合設, Mixture)

각종 요인이 복합하여 이루어졌다는 설

모든 사회는 육체적 매력에 대해 각기 고유의 개념미에 대한 독자적 관점을 가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