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 1 day ago · 326 2020. 7월호 2020. 7월호327 기 때문에 모돈부터 prrs...

Post on 25-Jul-2020

0 views 0 download

Transcript of 국내 · 1 day ago · 326 2020. 7월호 2020. 7월호327 기 때문에 모돈부터 prrs...

2020. 7월호PB 3252020. 7월호

현장&실전 테크닉

컨설팅파일

PRRS 안정화를 위한 후보돈 순치의 중요성

국내에서 양돈장을 운영하는 거의 대부분의 농장주

는 질병 중 PRRS가 가장 큰 문제이며, 이를 청

정화·안정화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PRRS는 이름 그대로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이며, 조

산과 유산, 교배 실패 등 번식성적 하락과 자돈에서 면역

력 억제로 인한 복합호흡기증후군, 2차 세균의 복합감염

에 의한 폐사를 발생시키며 치료를 위한 약품비 증가로 인

한 인력·금전적 손해가 막대하다.

오 도 형 수의사

대전충남양돈농협 수의방역팀

▲ (사진 1) 유산 ▲ (사진 2) 헤모필루스 등 복합감염

2020. 7월호326 3272020. 7월호

1. PRRS 발생 시 검사

농장에서 갑작스럽게 유산과 조산이 증가하거나 자돈에서 폐사가 증가하지만,

자가치료를 해도 호전이 되지 않을 때 컨설팅이나 진료를 의뢰하는 경우가 많다.

자돈 폐사의 경우 부검 및 혈청, 조직검사 진행 시 PRRS 항원이 양성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헤모필루스 파라수이스(haemophilus parasuis), 마이코플라스마,

파스튜렐라 등 복합호흡기증과 대장균, 클로스트리디움, 살모넬라 등 2차 세균 감

염이 발생한다.

유산과 조산의 경우 유산 태아, 태반, 유산모돈 채혈을 병행하는데 PRRS, 돼지

써코바이러스(PCV2), 돼지인플루엔자(SI) 등이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다른 원인

에 의한 유산이 많아서 결과가 나오지 않는 경우도 많다.

PRRS에 의한 유산과 조산의 경우, 후보돈 구입 후 적절한 순치과정 없이 임신

사에 합사한 후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돈 폐사의 경우 이유자돈사(컨테이

너 자돈사) 또는 자돈사 이동 후 위축·폐사되는 경우가 많아 돈사 내 바이러스 오

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

2. PRRS 안정화 과정

PRRS 청정화는 모돈부터 비육돈까지 전체 PRRS 음성을 의미하며, 청정화 과

정은 농장을 새로 짓는 수준의 비용 및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종돈장이 아닌 경

우 실행하기 어려우며, 보통 PRRS 안정화를 시행하게 된다.

PRRS 안정화는 농장 내

PRRS 질병은 있으나 유산과

조산, 폐사 등 질병의 피해가

최소화되는 상태로 모돈부터

자돈사까지 PRRS 백신 접종

수준의 항체가와 10주령까지

PRRS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

수준을 생각하면 된다.

농장 내 모돈이 임신, 분

만, 포유자돈, 이유자돈, 자

돈의 순서로 돼지가 이동하▲ (사진 3) 모돈의 PRRS 질병 안정화를 위해서는

적절한 모돈 순치과정이 필요하다.

2020. 7월호326 3272020. 7월호

기 때문에 모돈부터 PRRS 안정화를 진행해야 이후 자돈 단계의 질병 안정화를 진

행할 수 있다.

모돈 PRRS 질병 안정화가 안 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적절히 순치되지 않은 후

보돈 도입으로 모돈의 PRRS 재감염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3. 후보돈의 순치과정

후보돈의 순치는 PRRS 등 질병에 가장 안정적인 상태로 만드는 것으로 항체는

있으나 항원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다른 의미로는 순치가 끝난 후보돈을 임신사

로 합사하여도 기존 모돈에 PRRS바이러스를 감염시키지 않는 단계이다.

실제 농장에서 이 단계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는데, 사육 공간의 부족으로 격리

후보돈사가 없는 경우가 많다. 있어도 후보돈 도입 간격이 짧아 순치 중간단계에서

임신사로 입식하는 경우, 비육사에 후보돈을 넣어야 하는 경우 등 제대로 순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모돈에서 지속적인 유·사산과 조산 등이 발생하게 된다.

게다가 PRRS 백신 접종은 순치기간을 8주 정도로 단축시켜 줄 순 있어도 100%

PRRS 안정화를 시켜 주지 않는다.

후보돈 순치과정은 PRRS 음성인 후보돈을 들여와서 농장 내 상재하는 PRRS에

감염시켜 그 바이러스에 면역력을 기르고, 백신으로 바이러스 배출기간을 단축(8

주 이상)시켜 안정한 상태로 기존 돈군에 합사하는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

순치기간 중 공간 부족으로 후보사에서 비육사 등 다른 돈사로 이동 시 다른 유

형의 PRRS에 감염되어 재감염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 가능하면 동일한 장소에서

순치하길 권장한다.

(그림 1) 후보돈 순치과정

2020. 7월호328 3292020. 7월호

4. 후보돈의 PRRS 항체, 항원검사 예시

(표 1, 2)는 PRRS 음성 후보돈 도입 후 1주령, 3주령 PRRS 북미형 백신 후 4주

령, 7주령 PRRS 항체·항원검사 예시이다.

검사 결과에서처럼 4주 순치의 경우 항원이 검출된다. 농장에서 사육 공간 부족

등의 이유로 한 달 순치 후 임신사에 합사할 경우, 농장 내 재감염이 발생하여 후

보돈 도입 때마다 유산과 조산 등의 번식 문제와 분만사 포유자돈의 위축과 폐사가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5. 후보돈의 순치와 농장의 PRRS 안정화 사례(사육단계별 PRRS 항체가 변화)

(표 1) 도입 후 4주령-S/P ratio 0.4 이상 양성

번호 구분S/Pratio

판독

1 후보돈1 3.56 양성

2 후보돈2 4.21 양성

3 후보돈3 1.73 양성

4 후보돈4 0.96 양성

5 후보돈5 3.30 양성

평균 2.75 100%

항원 양성

(표 2) 도입 후 7주령

번호 구분S/Pratio

판독

1 후보돈1 1.00 양성

2 후보돈2 1.67 양성

3 후보돈3 2.56 양성

4 후보돈4 1.36 양성

5 후보돈5 1.38 양성

평균 1.59 100%

항원 음성

(그림 2) 1달 간격 후보돈 도입으로 인해 기존 순치 중이었던 후보돈을

비육사로 이동한 후 1달간 순치 후 임신사에 이동하여 PRRS에 재감염된 사례

2020. 7월호328 3292020. 7월호

6. 농장주에 대한 당부

지속적인 종돈 개량으로 인해 산자수와 성장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후보돈 초교

배 일령과 체중도 그 전보다 높아지고 있다. 농장의 생산성적 향상을 위해 고체중

(120kg 이상)의 후보돈을 들여와 순치기간을 줄이고 교배시키는 방식은 일순 이익

이 될 것처럼 보이지만, 지속적인 질병 피해를 유발하게 된다.

90~100kg의 후보돈을 들여와 8주 이상 격리 순치시키는 것은 후보돈 첫 발정

이 일정하고 약 9주 후에 오는 3회 발정 때 적정한 체중에 교배시킬 수 있는 이점

이 있으며, 농장 전체 질병을 안정화시

킬 수 있는 방법이다. 후보돈 도입 후

7주령 경에 PRRS 항체·항원검사를

하여 확인과정을 거친다면 더욱 안정

적으로 질병관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원고에 대한 궁금한 사항은

글쓴이에게 문의바랍니다.

☎ 글쓴이 연락처 : 010-3933-5426

문의사항

(그림 4) 모돈의 안정화 이후 디팝, 올인 올아웃(All in All out) 등 비육사까지 안정화 진행(종돈장)

(그림 3) 2달 이상의 후보돈을 격리 순치한 후 안정화된 모돈 PRRS 안정화 사례